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5 pp.651-680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5.29.5.651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1a

Jung-Hyun Kim2, Sun-Yu Kim3, Chan-Ho Park2, Byoung Yoon Lee2, Jong-Hak Yun4*
2Plant Resour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22689, Korea
3Exhibition and Education Division, Nakdonggang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Sangju 37242, Korea
4Task Force on Riparian Ecosystem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33657, Korea

a 논문은 정부(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생물자원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NIBR201301045).

Corresponding author: Tel: +82-41-950-5360, Fax: +82-41-950-5921, jhyun225@hotmail.com
July 13, 2015 September 16, 2015 October 6, 2015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Namdeogyu of Mt. Deogyu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nine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Deogsangyo (650m alt.) to the Namdeogyusan (1,507m alt.). A total of 455 taxa belonging to 99 families, 280 genera, 402 species, 5 subspecies, 43 varieties, 4 forms and 1hybrid were vegetated on survey areas. Around 700 m high did species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decrease rapidly.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divide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to five groups; areas below 700m alt., 700~1,100m alt., 1,100~1,300m alt., and areas above 1,300m alt.. These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investigated areas has high correlation with climate elements of temperature. Vascular plants should be crowded within their ownoptimal ranges of vegetation. Climate change would result in shift of these distribution ranges, and thus vegetation shift will be happened accordingly.


덕유산국립공원내남덕유산관속식물의고도별온도구배에따른수직분포1a

김 중현2, 김 선유3, 박 찬호2, 이 병윤2, 윤 종학4*
2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전시교육실
4국립생태원 생태공간 조사·평가팀

초록

남덕유산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덕산교(650m)에서 남덕유산 (1,507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9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12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9과 280속 402종 5아종 43변종 4품종 1교잡종의 총 45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700m(WI=81.0°C․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60)에 대하여 해발 700m(WI=83.4), 1,100m(WI=67.5), 1,300m(WI=59.8)를 경계로 4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제2축(Eig.=0.27)에 대하여 해발 800~9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른 구간별 간의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Ministry of Environment
    NIBR201301045

    서 론

    덕유산은 태백산맥에서 서남방향으로 갈라진 소백산맥 줄기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무주군과 장수군,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에 걸쳐있다. 지리적으로 북위 35°44'35"∼35°59'40", 동경 127°40'30"∼127°49'45" 사이 에 위치하고 향적봉(1,614m)를 주봉으로 하여, 북서쪽으로 적상산(1,029m), 남서쪽으로 덕유산(1,594m), 남덕유산 (1,507m)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1975년에 국립공원으로 지 정되었다.

    덕유산은 식물구계지리학상 남부아구(Lee and Yim, 1978)에 속하며, 식생군계로는 냉온대 중부와 냉온대 남부 에 걸쳐 있어 참나무속(Quercus), 단풍나무속(Acer), 서어 나무속(Carpinus) 등을 우점종으로 하는 냉온대 낙엽활엽 수림대와 고해발 지역에는 구상나무(Abies koreana) 등의 아한대 상록침엽수종이 정상부근에서 아고산대림을 형성 하고 있다.

    덕유산의 식물상은 Yim et al.(1994), Kil and Kim(1994) 에 의해 각각 541분류군, 795분류군이 발표된 바 있으며, 최근 보고된 덕유산 국립공원 일대의 자원식물상 연구(Park et al., 2005)에서는 549분류군, 남덕유산의 식물상(Lee et al., 2013)에서는 507분류군을 제시하였다. 식물군락에 대 한 연구로는 Kim and Choo(1999), Kim et al.(2009), Oh et al.(2013) 등이 보고한 냉온대 낙엽활엽수림의 신갈나무 군락, 졸참나무군락 등과 아한대 상록침엽수림의 구상나무 군락의 식생구조에 대한 연구가 있다. Kim et al.(2009)은 남덕유산 지역의 낙엽활엽수림 식물군락을 5개 군락으로 구분하여 졸참나무군락은 해발 728~864m, 서어나무군락 은 해발 808~842m, 층층나무군락은 해발 751~1,212m, 들 메나무군락은 921~1,326m, 신갈나무군락은 823~1,348m 에서 분포하며, 각 식물군락에 대한 특징을 밝힌 바 있다.

    식물종은 기후요인 중에서 온도에 대한 고유한 호적범위 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 산지 내에서 해발고에 따른 수직적인 분포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Yim, 1977a). 또한,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는데 있어 완만한 경사 보다는 급한 경사면 지역일수록 식물의 분포와 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 는데 용이하다(Yun et al., 2010; 2011; 2012). 덕유산국립 공원 지역에서 남덕유산(덕산교∼남덕유산)은 덕유산의 다 른 지역에 비하여 경사가 급하며, 신갈나무 군락, 굴참나무 군락 등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과 남덕유산의 정상부근에 는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아한대 상록침엽수림의 식생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덕산교∼남덕유산구간은 해발에 따 른 식물상과 온도와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되어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 와 온도적 분포범위를 파악함과 동시에, 조사구간 간 식물 분포 종조성의 유사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여 기후변화 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적 특성파악과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 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조사지역

    남덕유산(덕산교∼남덕유산)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에 위치하며, 전라북도 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 함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덕유산국립공원 능선의 남 쪽에 자리 잡고 있다. 조사지역은 남사면 방향의 경사가 급 한 덕산교(해발 650m)에서 하봉, 중봉, 상봉을 지나 남덕유 산(해발 1,507m)에 이르는 약 3.6㎞ 지역을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였다(Figure 1). 조사지역의 기후요인은 본 조사지역 과 가장 가까운 함양군, 서하 관측소의 기후 자료를 토대로 하여 확인한 결과, 과거 17년간(1997∼2013년) 연평균기온 11.5℃, 연평균강수량 1,535㎜를 나타내고 있다(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2조사 및 분석방법

    본 조사지역인 덕산교(650m)에서 남덕유산(1,507m)에 이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해발 100m 단위로 등분하여 선상 조사를 통해 9개 구간(section)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에 대하 여 2012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4회 현지조사를 통한 구간별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채집된 식물체는 건조 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건조표본수장 고(KB)에 보관하였다. 조사경로는 등산로를 따라 좌우 5m 반경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해발고도에 따른 식물 분포역을 파악하기 위해 GPS 수신 자료를 사용하였다. GPS수신기는 미국의 GARMIN사의 GPSmap 60CSx 기종으로 95%의 신뢰도에 10m 이내 위치정확도를 가졌으며, 기압고도계와 연동하여 통상 ±10m 정확도로 고도값을 표현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종이다(Lee et al., 2009). 식물의 동정은 Chung(1957), Lee(1980; 2003), Lee (1996a; 1996b), Lee(1996; 2006), Oh(2006), Korean Fern Society(2005), Kim and Kim(2011) 등의 식물도감을 이용 하였으며, 학명과 국명은 Lee et al.(2011)에 준하였다. 작성 된 소산식물을 기초로 한반도 고유종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3),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에 따라 작성하 였고, 기후변화 생물지표 관속식물은 Lee et al. (2010), 귀 화식물은 Park(2009), 생활형에는 Raunkiaer(1934)에 따라 분류하였다.

    기후요인 중에서 식물분포와 상관관계가 큰 온량지수 (Warmth Index: WI)를 계산하기 위해 함양군, 서하 관측소 의 기상자료(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를 이용하였다. Kira(1948)에 따라 기온 저감율 -0.55℃ /100m를 적용하여 월평균 5℃이상인 달의 온도 값에서 5℃를 뺀 값을 적산하여 온량지수(WI)를 계산하였다. 또 한,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종의 고도별 분포변화를 파악 하기 위해 100m구간별 식물목록 자료를 이용하여 DCA에 의한 ordination 분석(Hill and Gauch, 1980)을 실시하여 구 간별 간 식물 종구성의 유사정도와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1관속식물의 종 구성

    본 조사지역(덕산교∼남덕유산)내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은 양치식물 10과 14속 20종 1변종 1교잡종 22분류군, 나자 식물은 2과 4속 6종 6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8과 207속 289종 5아종 32변종 4품종 330분류군, 단자엽 식물은 9과 55속 87종 10변종 97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총 99과 280속 402종 5아종 43변종 4품종 1교잡종 총 455분류 군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338 분류군(Lee et al., 2011)의 10.4%에 해당된다. 조사된 관속 식물 중 종 다양성이 높은 상위 10개과는 국화과(47분류군) ⋅화본과(43분류군)⋅장미과(23분류군)⋅백합과(21분류 군)⋅콩과(18분류군)⋅사초과(17분류군)⋅미나리과(15분 류군)⋅꿀풀과(15분류군)⋅마디풀과(14분류군)⋅미나리 아재비과(13분류군) 순으로 전체 소산식물 455분류군의 49.6%에 해당된다(Table 2). 본 지역에서 확인된 한반도 고유종은 구상나무⋅할미밀망⋅은꿩의다리⋅노각나무⋅ 키버들⋅고광나무⋅큰세잎쥐손이⋅병꽃나무⋅고려엉겅 퀴⋅각시서덜취⋅가야산은분취⋅그늘실사초⋅둥근산부 추⋅백운산원추리⋅좀비비추 등 10과 14속 12종 3변종의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집계되었으 며, 등급별 평가점수에 의하면 총 201점이 산출되었다. 이 중 IV등급에 흰참꽃⋅둥근산부추⋅솔나리 등의 3분류군, III등급에 구상나무⋅가문비나무⋅흰진범⋅세잎종덩굴⋅ 개박달나무⋅거제수나무⋅노각나무⋅난쟁이바위솔⋅참 바위취⋅산오이풀⋅참조팝나무⋅시닥나무⋅단풍나무⋅ 선백미꽃⋅긴병꽃풀⋅가지더부살이⋅가야산은분취⋅별 꿩의밥⋅애기감둥사초⋅수염개밀⋅광릉용수염풀 등의 21 분류군, II등급에 다람쥐꼬리⋅퍼진고사리⋅노랑제비꽃⋅ 민둥뫼제비꽃⋅산앵도나무⋅돌양지꽃⋅고본⋅큰참나물 ⋅붉은병꽃나무⋅정영엉겅퀴⋅고려엉겅퀴⋅곰취⋅나래 박쥐나물⋅각시서덜취⋅나도그늘사초⋅시베리아잠자리 피⋅처녀치마⋅금강죽대아재비 등의 18분류군, I등급에 관 중⋅전나무⋅잣나무⋅개비자나무⋅투구꽃⋅촛대승마⋅ 동자꽃⋅쇠털이슬⋅말털이슬⋅나래회나무⋅큰괭이밥⋅ 오갈피나무⋅덩굴꽃마리⋅들메나무⋅털개회나무⋅올괴 불나무⋅덤불쑥⋅껍질용수염풀⋅일월비비추⋅좀비비추 ⋅흰여로 등의 21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4). 귀화식물 은 흰명아주⋅애기수영⋅돌소리쟁이⋅다닥냉이⋅족제비 싸리⋅아까시나무⋅토끼풀⋅달맞이꽃⋅미국실새삼⋅선 개불알풀⋅미국가막사리⋅지느러미엉겅퀴⋅망초⋅개망 초⋅털별꽃아재비⋅서양민들레⋅오리새⋅큰김의털⋅미 국개기장 등의 9과 18속 19종 19분류군(Table 5)으로 조사 지역내 분포하는 455분류군의 4.2%에 해당하며, Park(2009) 에 의해 집계된 국내 외래식물 286분류군의 6.6%에 해당된 다. 한편, 환경부에서 선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 종 중 구상나무⋅사스래나무 등의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2고도별 관속식물상

    고도에 따른 식물군락 분포 유형은 해발 약 700~900m에 서 졸참나무군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목층에는 졸참나 무⋅ 굴참나무⋅서어나무가 우점하고 아교목층에는 졸참 나무⋅신갈나무⋅복장나무⋅당단풍나무⋅쪽동백나무⋅ 서어나무⋅산벚나무, 관목층에는 노린재나무⋅철쭉⋅개 옻나무⋅생강나무⋅서어나무⋅조록싸리 등이 혼생하여 분 포한다. 초본층에는 조릿대⋅노루오줌⋅단풍취⋅실새풀 ⋅선밀나물⋅주름조개풀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해발 약 900~1,500m에는 신갈나무군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목 층에는 신갈나무가 우점한 가운데 피나무⋅쇠물푸레⋅당 단풍나무 등이 혼생하며,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쇠물푸 레⋅함박꽃나무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관목층에 진달래⋅ 철쭉⋅개옻나무⋅노린재나무 등이, 초본층에 조릿대⋅모 시대⋅큰개별꽃⋅산박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국 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구상나무는 1,400m부터, 사스 래나무는 1,100m부터 관찰되었다. 조사지역 내에 분포하는 식물종의 고도에 따른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 해발 100m단 위로 나누어 구간 내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종 다양성을 제시하였다(Table 6, Appendix Appendix).

    1)해발 600∼700m

    이 조사구간에서 84과 221속 289종 2아종 29변종 1품종 의 총 3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는 흰진범(III등급)⋅노각나무(III등급)⋅단풍나무(III등급) ⋅긴병꽃풀(III등급)⋅가지더부살이(III등급)⋅애기감둥사 초(III등급)⋅수염개밀(III등급)⋅민둥뫼제비꽃(II등급)⋅ 고려엉겅퀴(II등급)⋅각시서덜취(II등급)⋅전나무(I등급)⋅ 개비자나무(I등급)⋅투구꽃(I등급)⋅촛대승마(I등급)⋅큰 괭이밥(I등급)⋅오갈피나무(I등급)⋅올괴불나무(I등급)⋅ 껍질용수염풀(I등급)의 18분류군, 고유종은 은꿩의다리⋅ 노각나무⋅키버들⋅고광나무⋅병꽃나무⋅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등의 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흰명아 주⋅애기수영⋅돌소리쟁이⋅다닥냉이⋅족제비싸리⋅아 까시나무⋅토끼풀⋅달맞이꽃⋅미국실새삼⋅선개불알풀 ⋅미국가막사리⋅지느러미엉겅퀴⋅망초⋅개망초⋅털별 꽃아재비⋅서양민들레⋅오리새⋅큰김의털⋅미국개기장 등의 19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 조사구간은 덕산교에서 남 덕유산에 이르는 초입구간으로 계곡지역, 도로주변 및 개간 지로 인간간섭에 의한 훼손이 심하며, 조사지역 전체 소산 식물 70.5%의 식물종이 분포하는 구간이다.

    2)해발 700∼800m

    50과 77속 86종 3아종 9변종 1품종의 총 99분류군이 확 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흰진범(III등급)⋅노 각나무(III등급)⋅애기감둥사초(III등급)⋅전나무(I등급)⋅ 개비자나무(I등급)⋅올괴불나무(I등급)⋅덤불쑥(I등급)의 7분류군, 고유종은 2분류군으로 은꿩의다리⋅노각나무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 서양민들레 1분류군이 확인되었으 나 귀화식물의 유입이 거의 없는 구간이다. 서어나무⋅신나 무⋅올괴불나무 등은 이 구간까지 관찰되었다.

    3)해발 800∼900m

    45과 65속 82종 6변종 1품종의 총 89분류군이 확인되었 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흰진범(III등급)⋅애기감둥 사초(III등급)⋅민둥뫼제비꽃(II등급)⋅전나무(I등급)⋅잣 나무(I등급)⋅개비자나무(I등급)의 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고유종은 3분류군으로 할미밀망⋅은꿩의다리⋅병꽃나무 가 관찰되었다. 때죽나무⋅산딸나무⋅아그배나무⋅짝자 래나무 등은 이 구간까지 관찰되었다.

    4)해발 900∼1,000m

    50과 85속 95종 2아종 8변종 2품종의 총 10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노각나무(III등급) ⋅애기감둥사초(III등급)⋅민둥뫼제비꽃(II등급)⋅각시서 덜취(II등급)⋅전나무(I등급)⋅개비자나무(I등급)⋅투구꽃 (I등급)⋅껍질용수염풀(I등급)의 8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고 유종은 은꿩의다리⋅노각나무⋅큰세잎쥐손이⋅병꽃나무 ⋅각시서덜취 등의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해발 1,000m를 경계로 비목나무⋅상수리나무⋅졸참나무⋅찔레나무는 그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이 구간은 다른 구간에 비해 풍부한 식물종이 생육하며 107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조사지역의 전체 소산식물 23.5%의 식물종이 분포 하는 구간이다.

    5)해발 1,000∼1,100m

    39과 63속 71종 1아종 6변종 1품종 1교잡종의 총 80분류 군이 확인되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거제수나무 (III등급)⋅노각나무(III등급)⋅애기감둥사초(III등급)⋅큰 참나물(II등급)⋅각시서덜취(II등급)⋅개비자나무(I등급) ⋅투구꽃(I등급)⋅껍질용수염풀(I등급)의 8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고유종은 은꿩의다리⋅노각나무⋅각시서덜취의 3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까지 은꿩의다리⋅노각나무 ⋅다릅나무⋅작살나무 등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구간부 터 거제수나무 등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조사지역의 전체 소산식물 18%의 식물종이 분포하며 조사 구간 중 가장 적 은 분류군이 분포하는 구간이다.

    6)해발 1,100∼1,200m

    49과 75속 77종 2아종 10변종 1품종의 총 9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거제수나무(III등급) ⋅붉은병꽃나무(II등급)⋅나래박쥐나물(II등급)⋅각시서덜 취(II등급)⋅전나무(I등급)⋅잣나무(II등급)⋅개비자나무(I 등급)⋅투구꽃(I등급)⋅관중(I등급)⋅쇠털이슬(I등급)⋅나 래회나무(I등급)⋅껍질용수염풀(I등급)의 12분류군이 관찰 되었다. 고유종은 각시서덜취의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까지 전나무⋅개비자나무⋅느릅나무⋅쪽동백나무 등 이 관찰되었다. 사스래나무가 이 구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 였다.

    7)해발 1,200∼1,300m

    47과 79속 87종 3아종 7변종 1품종의 총 98분류군이 확 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세잎종덩굴(III등급)⋅ 거제수나무(III등급)⋅애기감둥사초(III등급)⋅고본(II등 급)⋅붉은병꽃나무(II등급)⋅정영엉겅퀴(II등급)⋅투구꽃 (I등급)⋅관중(I등급)⋅말털이슬(I등급)⋅나래회나무(I등 급)⋅덩굴꽃마리(I등급)⋅들메나무(I등급)⋅껍질용수염풀(I 등급)의 13분류군, 고유종에는 1분류군으로 병꽃나무가 확 인되었다. 이 구간까지 생강나무⋅까치박달⋅층층나무⋅거 제수나무 등의 목본식물이 관찰되었으며, 눈빛승마⋅큰개 현삼 등의 초본식물이 관찰되었다. 또한, 고본⋅참나물⋅송 이풀⋅산꼬리풀⋅정영엉겅퀴⋅수리취 등의 초본식물이 이 구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귀화식물에는 개망초 1분류 군이 확인되었다.

    8)해발 1,300∼1,400m

    37과 65속 76종 1아종 7변종의 총 84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 흰참꽃(IV등급)⋅둥근산부추 (IV등급)⋅솔나리(IV등급)⋅산오이풀(III등급)⋅참조팝나 무(III등급)⋅시닥나무(III등급)⋅가야산은분취(III등급)⋅ 애기감둥사초(III등급)⋅광릉용수염풀(III등급)⋅돌양지꽃 (II등급)⋅고본(II등급)⋅붉은병꽃나무(II등급)⋅정영엉겅 퀴(II등급)⋅각시서덜취(II등급)⋅나도그늘사초(II등급)⋅ 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관중(I등급)⋅털개회나무(I 등급)⋅일월비비추(I등급)⋅좀비비추(I등급)⋅흰여로(I등 급)의 2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유종은 각시서덜취⋅가야 산은분취⋅둥근산부추⋅백운산원추리⋅좀비비추의 5분류 군이 확인되었다. 이 구간부터 털진달래⋅흰참꽃⋅시닥나 무⋅털개회나무 등의 목본식물과 만주우드풀⋅바위채송화 ⋅돌양지꽃⋅산오이풀⋅왜우산풀⋅가야산은분취⋅둥근 산부추⋅백운산원추리⋅일월비비추⋅좀비비추⋅솔나리 등의 초본식물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9)해발 1,400∼1,500m

    45과 89속 101종 1아종 11변종 2품종의 총 11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흰참꽃(IV등급)⋅ 둥근산부추(IV등급)⋅솔나리(IV등급)⋅구상나무(III등급) ⋅가문비나무(III등급)⋅흰진범(III등급)⋅세잎종덩굴(III 등급)⋅개박달나무(III등급)⋅난쟁이바위솔(III등급)⋅참바 위취(II등급)⋅산오이풀(II등급)⋅참조팝나무(III등급)⋅시 닥나무(III등급)⋅선백미꽃(III등급)⋅가야산은분취(III등 급)⋅별꿩의밥(III등급)⋅애기감둥사초(III등급)⋅다람쥐꼬 리(II등급)⋅퍼진고사리(II등급)⋅노랑제비꽃(II등급)⋅산 앵도나무(II등급)⋅돌양지꽃(II등급)⋅고본(II등급)⋅붉은 병꽃나무(II등급)⋅정영엉겅퀴(II등급)⋅곰취(II등급)⋅각 시서덜취(II등급)⋅나도그늘사초(II등급)⋅시베리아잠자리 피(II등급)⋅처녀치마(II등급)⋅금강죽대아재비(II등급)⋅ 잣나무(I등급)⋅투구꽃(I등급)⋅동자꽃(I등급)⋅관중(I등 급)⋅덩굴꽃마리(I등급)⋅털개회나무(I등급)⋅일월비비추 (I등급)⋅좀비비추(I등급)의 39분류군으로 다른 구간에 비 하여 가장 많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확인되었다. 고유 종에는 구상나무⋅각시서덜취⋅가야산은분취⋅그늘실사 초⋅둥근산부추⋅백운산원추리⋅좀비비추의 7분류군이 확 인되었다. 귀화식물에 미국가막사리가 관찰되었다. 이 구간 에서만 구상나무⋅가문비나무⋅개박달나무⋅마가목 등의목본식물과 다람쥐꼬리⋅구실사리⋅동자꽃⋅난쟁이바위 솔⋅바위떡풀⋅참바위취⋅과남풀⋅선백미꽃⋅처녀치마 등의 고산성 식물이 관측되었다.

    3주요식물의 수직분포와 온량지수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식물종의 해발 경도에 따른 온도적 분포범위를 알아보기 위해 기온 저감율 -0.55℃ /100m(Kira, 1948)를 적용하여 온량지수(Warmth Index: WI)를 계산하였다.

    1)목본식물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상 관관계에 대하여 Yim and Kira(1975; 1976)와 Yim(1977a; 1977b)의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Yim(1977a)은 한반 도 93개 지역에서 조사된 목본식물 50종에 대하여 온량지 수(Warmth index: WI)구배에 따른 분포역과 호적범위를 계산하여 아고산 식물종군(WI=30-70℃·month), 냉온대 식 물종군(WI=50~90℃·month), 난온대 낙엽식물종군(WI=80~ 100℃·month), 난온대 상록식물종군(WI=100~120℃·month), 4개의 종군으로 구분하였다.

    본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종 중에서 난온대 상록식물종군 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목본식물들 은 Yim(1977a)이 보고한 온량지수(WI) 구배에 따른 분포 범위 내에서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거제수나무⋅사스 래나무⋅털진달래⋅흰참꽃⋅시닥나무⋅털개회나무⋅구상나무 ⋅가문비나무⋅개박달나무⋅마가목은 해발 1,000m이상 (WI=69.4 이하)의 고해발 지역에 분포하였다. 이들 중에 거제수나무는 해발 1,000~1,300m(WI=48.2~57.9), 사스래나무는 해발 1,100~1,200m(WI=65.6~61.7), 털진달래⋅흰참꽃⋅시닥나 무⋅털개회나무는 해발 1,300m이상(WI=57.9이하), 구상나무 ⋅가문비나무⋅개박달나무⋅마가목은 해발 1,400m이상 (WI=54.0이하)에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수종간의 분포적 차이를 보였으나 Yim(1977a)의 아고산 식물종군의 분포 하 한선인 WI=70℃·month이하에서 분포를 나타냈다. Yim(1977a) 의 냉온대 및 난온대 낙엽식물종군의 분포역 WI=50~100의 분포범위에 분포하면서, 고해발 지역까지 분포하는 신갈나 무는 조사지역 전 구간 해발 600~1,500m(WI=44.8-50.2), 고 로쇠나무⋅물푸레나무는 해발 1,400m이하(WI=54.0이상) 에서 분포범위를 나타내었다. 생강나무⋅까치박달⋅층층나 무는 해발 1,300m이하(WI=-57.9이상)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전나무⋅개비자나무⋅느릅나무⋅쪽동백나무는 해발 1,200m 이하(WI=-61.7 이상)에서 분포를 나타내었다. 노각나무⋅작 살나무는 해발 1,100m(WI=-65.6이상)를 분포 상한선으로 하여 분포하였다. 또한, 해발 1,000m이하(WI=69.4이상)에 졸참나무⋅상수리나무⋅비목나무⋅산딸나무⋅때죽나무 ⋅굴참나무⋅서어나무가 분포하고 있으며, 졸참나무⋅상 수리나무⋅비목나무는 해발 1,000m이하(WI=69.4이상), 산딸나무⋅때죽나무⋅굴참나무는 해발 900m이하(WI=73.3 이상), 서어나무는 해발 800m이하(WI=77.1이상)에서 분포 하였다(Figure 2).

    2)초본식물

    조사지역내에서 해발고에 따른 뚜렷한 분포 양상을 보이 는 초본식물을 대상으로 온량지수의 호적범위를 조사하였 다(Figure 3). 특히, Yim(1977a)이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제 시한 온량지수(WI) 30~70℃·month의 호적범위를 나타내 는 아고산 목본 식물종군과 유사한 분포역을 보이는 초본 식물종으로 눈빛승마⋅큰개현삼⋅모시대⋅고본⋅참나물 ⋅송이풀⋅산꼬리풀⋅정영엉겅퀴⋅수리취⋅만주우드풀 ⋅바위채송화⋅돌양지꽃⋅산오이풀⋅왜우산풀⋅가야산 은분취⋅둥근산부추⋅백운산원추리⋅일월비비추⋅좀비 비추⋅솔나리⋅다람쥐꼬리⋅구실사리⋅동자꽃⋅난쟁이 바위솔⋅바위떡풀⋅참바위취⋅과남풀⋅선백미꽃⋅처녀 치마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초본 식물종들의 분포 고도 및 온량지수를 세분하여 살펴보면, 눈빛승마⋅큰개현삼은 해 발 900~1,300m(WI=73.3~57.9), 모시대는 900m이상 (WI=73.3이하), 고본⋅참나물⋅송이풀⋅산꼬리풀⋅정영 엉겅퀴⋅수리취는 해발 1,200m이상(WI=61.7이하)에서 분 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주우드풀⋅바위채송화⋅돌양 지꽃⋅산오이풀⋅왜우산풀⋅가야산은분취⋅둥근산부추 ⋅백운산원추리⋅일월비비추⋅좀비비추⋅솔나리는 해발 1,300m이상(WI=57.9이하)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다람쥐 꼬리⋅구실사리⋅동자꽃⋅난쟁이바위솔⋅바위떡풀⋅참 바위취⋅과남풀⋅선백미꽃⋅처녀치마는 해발 1,400m이 상 (WI=54.0이하)의 분포를 나타냈다(Figure 3).

    4조사구간의 식물종 분포 유사성 분석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종의 고도에 따른 분포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DCA기법을 이용하여 ordination 분석(Hill and Gauch, 1980)을 실시하였다. 목본식물(Figure 4-A), 초 본식물(Figure 4-B) 그리고 초본·목본식물(Figure4-C)의 DCA ordination분석을 통해 해발 100m구간(section)의 stand가 가까이 분포하는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구간 간 식 물 종구성의 분포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었다. 목본식물 (Figure 4-A), 초본식물(Figure 4-B) 그리고 초본·목본식물 (Figure 4-C)의 구간 stand의 배치는 제1축에 대하여 왼쪽의 낮은 스코어 부위에 저해발 구간이, 오른쪽 높은 스코어 부 위에 고해발 구간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 이와 같은 결 과로 유추하여 볼 때, 제1축은 다른 환경적인 요소를 감안하 고서라도 온도 변화가 고도별 식물분포 양상에 크게 관여하 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목본식물 121분류군의 9개 구간의 식물종 분포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제1축과 제2축의 DCA ordination(Figure 4-A)에서 제1축(Eig.=0.57)에 대하 여 각 구간 간에 분포하는 종조성에 대한 유사정도가 클수록 구간 stand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 4개 Group(T1∼4)으로 구분되었으며, 해발 700m(WI=83.4), 1,000m(WI=71.3), 1,300m(WI=59.8)를 경계로 분포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1,300m를 경계로 목본식물의 종구성의 분포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발 1,300m를 경계로 털진달래 ⋅흰참꽃⋅시닥나무⋅털개회나무⋅구상나무⋅가문비나 무⋅개박달나무⋅마가목 등의 고해발에 분포하는 식물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제2축(Eig.=0.12)에 대 하여 Group T2에서 해발 800∼900m구간이 다른 구간과 상하로 분리되어 배치됨으로써 식물분포 변화를 나타내고 있으며, Eigenvalue가 0.12로 비교적 낮지만 제2축에 대하 여 동일 Group내에서 해발(온도) 이외에 다른 환경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초본식물 334분류군의 9개 구간(section)은 제1축과 제2축 의 DCA ordination(Figure 4-B)에서 제1축(Eig.=0.63)에 대 하여 구간 stand는 해발 700m(WI=83.4), 1,100m(WI=67.5) 를 경계로 3개 Group(H1∼3)으로 구분되어 배치되었으며, 특히 해발 700m를 경계로 해발고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변 화가 크게 나타났다. 제2축(Eig.=0.20)에 대하여 Group H3 내에서 해발 1,200m를 경계로 구간 stand는 상하로 크게 분산, 배치되어 해발(온도) 이외의 다른 환경요인이 구간별 종조성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초 본식물의 경우 해발 700m이하에서 흰명아주⋅애기수영⋅ 돌소리쟁이⋅다닥냉이 등 19분류군의 귀화식물 이입이 관 찰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인간간섭으로 인해 해발 700m를 경계로 종조성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 중에 하나라고 판단 된다.

    초본·목본식물(Figure 4-C) 455분류군의 9개 구간에 대 한 제1축과 제2축의 DCA ordination(Figure 4-C)에서 제1 축(Eig.=0.60)에 대하여 구간 stand는 5개 Group(TH1∼4) 으로 구분되며, 해발 700m(WI=83.4), 1,100m(WI=67.5), 1,300m(WI=59.8)를 경계로 식물종의 분포변화를 나타냈 다. 제2축(Eig.=0.07)에 대해서는 Group TH2에서 해발 800 ∼900m구간이 다른 조사구간과 상하로 분리, 배치되어 분 포변화를 나타내었다. 초본·목본식물의 DCA분석 ordination 의 배치는 대체로 목본식물의 분포변화(Figure 4-B)와 유사 하며, 이 지역의 해발고에 따른 식물분포의 변화는 초본식 물보다 목본식물의 분포와 관계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에 대한 식물종의 분포는 일차적으로 고도에 따라 온도 영향을 받으며, 목본식물(Figure 4-A)의 경우 해 발 800∼900m구간, 초본식물(Figure 4-B)은 해발 1,100∼ 1,200m구간, 초본·목본식물(Figure 4-C)의 경우 해발 700 ∼800m구간이 동일 그룹 내에서 고도에 따른 온도 영향 이외에 인간간섭, 지형, 강수량, 습도, 사면방향, 사면정도, 토양 등의 이차적인 다양한 환경요인이 기인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식물종은 온도에 따른 고유한 내성범위를 가지고 분포하 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 의 이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Lee et al., 2010), 식물군락의 종 구성 변화 및 식물종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환경부에서 선정한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 100종 중 남덕유산의 덕산교~ 남덕유산(정상) 구 간에 생육하는 구상나무⋅사스래나무를 비롯하여, 고해발 지역에 분포하는 가문비나무⋅동자꽃⋅피나무⋅흰참꽃⋅ 산앵도나무⋅꼬리까치밥나무⋅시닥나무⋅왜우산풀⋅과 남풀⋅곰취⋅나도그늘사초⋅둥근산부추⋅처녀치마⋅금 강죽대아재비 등은 1,000m 이상의 구간부터 확인되어 기후 변화에 따른 분포역 축소나 쇠퇴 등 잠재적 요소가 높은 취약종으로 평가된다. 높은 산의 정상 일대는 낮은 기온, 바람, 강수량, 일사, 토양 등 혹독한 자연환경을 보여 기온이 상승하면서 산정에 분포하는 식물들이 생리적 스트레스를 받아 쇠퇴하거나 다른 식물들과의 경쟁에서 밀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ng et al., 2014). 특히 극지와 고산 등 한랭 한 기후에 적응하여 살아온 생물들에게 기온 상승은 생육에 결정적인 피해를 미치며(Kong et al., 2011), 분포역이 좁고 산정 가까이에 한정되어 나타나는 종들은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의한 생육환경 변화로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Kong et al., 2014). 앞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의한 분포역 변화, 식물의 생태 환경적 특징 파악 및 생육지 변화 등의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식물자원의 보전 및 관 리에 있어 식물자원의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E-29-651_F1.gif

    Investigated area (Deogsangyo to Namdeogyusan) in this study

    KJEE-29-651_F2.gif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WI (Warmth Index) of tree species by altitude differences in survey areas

    KJEE-29-651_F3.gif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WI (Warmth Index) of herbal species by altitude differences in survey areas

    KJEE-29-651_F4.gif

    Ordination diagram of the nine sections for plant distribution using the DCA method

    Table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Major families of vascular plants vegetated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The list of 4th to 1st degree taxa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investigated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vestigated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Vascular plants distributed by 100m altitude differences of survey areas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Ph: phanerophytes, Ch: chamaephyes, H: hemicryptophytes, G: geophytes, Th: therophytes, HH: hydrophytes and helophytes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Deogsangyo to Namdeogyusan, Mt. Deogyu National Park

    *E: Endemic plants, N: Naturalized plants, I~IV: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Reference

    1. Chung TH (1957) Korean Flora , Shinjisa, Vol.I, II; pp.507-1025
    2. Hill MO , Gauch HG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 Vegtatio, Vol.42; pp.47-58
    3. Kil BS , Kim CH (1994) The flora of Tǒkyusan National Park , Korea. Bull. Wonkwang Univ, Vol.28; pp.63-100
    4. Kim GT , Choo GC (1999)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subalpine zone of Togyusan. -Abies koreana forest , Kor. J. Env. Eco, Vol.13; pp.70-77
    5. Kim HS , Lee SM , Chung HL , Song HK (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 Kor. J. Env. Eco, Vol.23; pp.471-484
    6. Kim JS ,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 Dolbegae, pp.-688
    7. Kira T (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 Kanti-Nogaku, Vol.2; pp.147-173
    8. Kong WS , Lee SG , Yoon KH , Park HN (201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phytogeographical Values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0 (3) ; pp.381-395
    9. Kong WS , Kim KO , Lee SG , Park HN , Cho SH (2014) Distribution of high mountain plants and species Vulnerability against climate chang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3 (2) ; pp.119-136
    10.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p.-399(in Korean)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12. Lee BY , Nam GH , Yun JH , Cho GY , Lee JS , Kim JH , Park TS , Kim KG , Oh KH (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 Korean J. Pl. Taxon, Vol.40 (4) ; pp.202-207
    13. Lee BY , Nam GH , Lee JY , Park CH , Lim CE , Kim MH , Lee SJ , Noh TK , Lim JA , Han JE , Kim JH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 NIBR, pp.-633
    14. Lee DH , Jin DP , Lee JH , Choi IS , Choi BH (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 Korean J. Pl. Taxon, Vol.43; pp.69-79
    15. Lee HS , Jung GS , Yoo HH (2009) Slope analysis of mountain trail using mobile GP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17 (2) ; pp.81-90
    16.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 Hyangmunsa, pp.-990(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 Hyangmunsa, Vol.I, II; pp.-914910(in Korean)
    18. Lee WT ,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 Korean J. Pl. Taxon, Vol.8 (Appendix) ; pp.1-33(in Korean)
    19. Lee WT (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 Academy Press, pp.-1688(in Korean)
    20.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 Academy Press, pp.-624(in Korean)
    21. Lee YN (1996) Flora of Korea , Gyohaksa, pp.-1236(in Korean)
    2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 Gyohaksa, Vol.I, II; pp.-974885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NIBR, pp.-912(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IBR, pp.173-226
    25. Oh JG , Kim CH , Kang EO , Gin YR (2013)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Namdeogyu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Korea. KJEE, Vol.46; pp.440-44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YC (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Vol.41; pp.-757(in Korean)
    27. Park KW , Kwon YH , Choi K , Oh SH , Kim DK , Tho JH , Tae KH , Kim JH (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 Korean J. Plant Res, Vol.18; pp.32-56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 Ilchokak, pp.-575
    29.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raphy: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 Clarendon Press,
    30. Yim KB , Kim YS , Chun SH , Jeon JI (1994) Floristic study on Tǒkyusan National Park , Kor. J. Env. Eco, Vol.7; pp.91-103
    31. Yim YJ ,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 Jap. J. Ecol, Vol.25; pp.77-88
    32. Yim YJ , Kira T (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aridity , J. Ecol, Vol.25; pp.157-164
    33. Yim YJ (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 Jap. J. Ecol, Vol.27; pp.177-189
    34. Yim YJ (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 Jap. J. Ecol, Vol.27; pp.177-189
    35. Yun JH , Kim JH , Oh KH , Lee BY (2010)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 Kor. J. Env. Eco, Vol.24; pp.680-707
    36. Yun JH , Kim JH , Kim SY , Park CH , Lee BY (2012)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Osaek valley, Seoraksan National Park by temperature gradient , Kor. J. Env. Eco, Vol.26; pp.156-185
    37. Yun JH , Hukusima T , Kim MH , Yoshikawa M (2011)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and Japan around the East Sea , Kor. J. Env. Eco, Vol.25; pp.327-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