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9 No.5 pp.743-752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5.29.5.743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1a

Sang Ok Chung2*, Yoon-Sik Cho2, Yoon Seok Choi2, Hee-Do Jeung2, Jae Hee Song2, Hyoung Kyun Han2
2Tidal Flat Research Institute - National Fisheries R&D Institute, Gunsan, Jeonbuk 54014, Korea

a 이 논문은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곰소만·근소만 갯벌어장환경 생태 연구(R2015060)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

Corresponding author: Tel: +82-63-472-8600, Fax: +82-63-467-2675, hydbiol@korea.kr
October 7, 2015 October 22, 2015 October 23, 2015

Abstract

We studied the spatio-temporal microalgal (phytoplankton and benthic diatom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Hajeonri intertidal zon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4. Seawater and phytoplankton analysis were conducted all through the months.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easured. As a result, diatom was dominant among a total of 113 species identified. On a seasonal basis (Feb. May, Aug., Nov.), we carried out studies on benthic diatoms on the surface of the sediments and their habitats at nine stations on the transect line at Hajeonri at low tide. The grain of the surface sediments was mainly composed of sandy silt and sandy mud. Organic pollution level was low. Benthic microalgal biomass (chlorophyll a) was high in the spring and summer. A total of 163 benthic diatom species were identified. Navicula sp.1 and Paralia sulcata were dominant over the study period. Five diatom species were observed both in water column and on surface sediment at the same time.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1a

정 상옥2*, 조 윤식2, 최 윤석2, 정 희도2, 송 재희2, 한 형균2
2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2015060

    서 론

    갯벌에 서식하는 미세조류는 바닷물 속의 식물플랑크톤 과 표층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로 크게 나눌 수 있 다. 미세조류는 해수와 갯벌 표면에서 광합성을 하는 1차생 산자로서 기능을 하며 그 과정에서 영양염 순환과 이산화탄 소 고정, 산소 형성 및 퇴적물 안정화(Lee, 1989; 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Underwood and Kromkamp, 1999)에 기여한다. 또한 이들의 시공간적인 군집 종조성 및 현존량 또는 생체량은 초식자와 같은 먹이피라미드의 상위 영양자나 영양염, 온도, 빛 등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변동을 겪는다(Montani et al, 2003). 특히 저서미세 조류는 표층퇴적물의 입도 등에 따라 다양한 변동 양상을 보여준다(Du et al, 2010; Jesus et al, 2010).

    갯벌 표층퇴적물의 미세조류는 해수 중으로 유입되어 식 물플랑크톤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거나(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Lucas, 2003) 조하대 초식자의 먹이원으 로 기여(Kang et al., 2003)한다. 하지만 조하대 기여부분에 대해서는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Lee et al., 2012). 저 서대형동물에 먹히거나 환경에 의해 분해되는 미세조류 생 물량은(Helling and Baars, 1985; Montagna et al., 1995; Park et al., 2013) 그들의 현존량인 엽록소 a의 산분해 형태 인 phaeopigment 농도로 측정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갯벌 미세조류 관련 연구는 퇴적물의 입도 등 환경요인(Chang and Choi, 1998; Oh et al., 2006; Jung et al., 2010), 양식해역의 환경 특성(Choi et al., 2013; Choi et al., 2014), 저서미세조류 변동(Yoo and Choi, 2005; Park et al., 2013), 색소분석을 통한 미세조류 중 규조가 우점하 지만 식물플랑크톤 우점종과 저서규조 우점종이 거의 일치 하지 않는다는 보고(Lee et al., 2012)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서해안 중남부에 위치한 반 폐쇄적인 곰소만 조간대의 저서규조 군집 및 표층 퇴적환경의 시공간적 변동 과 조간대 하부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환경 요인 변화를 살펴 곰소만 미세조류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연구지역

    본 연구는 곰소만 갯벌의 일부인 전북 고창군 심원면 하 전리 갯벌(이하 하전 갯벌)에서 이루어졌다. 곰소만은 우리 서해안 중남부에 위치한 반 폐쇄적인 만으로 대부분 수심 10m 미만의 천해로 만의 80%가 조간대에 속하며 최고 폭 은 6km 이고 조간대 면적은 60km2에 이른다. 만 내부로는 주진천이 유입되어 퇴적이 우세한 환경이다(Chang and Choi, 1998; Jeong et al., 2006). 또한 우리나라 최대의 바지 락(패류) 양식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2재료 및 방법

    조사 갯벌의 해양수질 환경은 2014년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1회 간조 시에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pH는 현장에서 수질측정기(YSI-556MP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양염 및 엽록소 a 농도는 현장(Figure 1)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옮긴 후 분광광도계(Cary 100 Conc, Varian)를 이용하여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조사 갯벌의 저서규조 및 표층퇴적환경 분석을 위해 2014년 2월, 5월, 8월 그리고 11월에 하전리 어장진입로 측선을 기준으로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선정한 총 9개 정점(Figure 1)에서 코어 채집기(지름 28㎜)로 표층 0.5cm 이하의 퇴적물을 채집하여, 냉장 및 냉동 보관 상태로 실험 실로 운반한 후 분석 전까지 냉동보관 하였다. 퇴적물의 입 도(grain size), 함수율(WC), 강열감량(IL), 화학적산소요구 량(COD) 및 산휘발성황화합물(AVS)의 분석은 Jung et al(2010)의 방법에 의거하였다. 표층퇴적물의 유형은 Folk(1968) 의 분류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퇴적물의 평균입도(Mz), 분급도(sorting), 왜도(skewness) 등의 통계변수는 Folk and Ward(1957)의 기준에 따라 구하였다. 4ф체로 분리한 세립 질 퇴적물은 Micromeritics사의 자동입도분석기(Sedigragh-5120) 로 분석하였다.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 분석을 위한 표층퇴 적물의 엽록소 a 및 phaeopigment 분석 및 농도 계산은 Park et al.(2013)Lorenzen(1967)에 따라 실험실에서 분 광광도계(Cary 100 Conc, Varian)를 이용하였다.

    해수와 저서의 주요 1차생산자인 미세조류(식물플랑크 톤 및 저서규조)에 관한 연구는 루골용액으로 고정한 시료 를 100~400 배율의 광학현미경(Olympus BX 41, Japan)을 이용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동정 및 계수는 Sedgewick- Rafter chamber를 이용하여 단위체적 당 개체수(세포수)를 계산하였다. 저서규조는 Park(2005)을 따라 분리, 세척 및 Naphrax로 고정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모든 조사시 기의 정점 시료 당 평균 100∼250개체 내외를 계수하고 각 분류단위(taxon 또는 species)의 상대풍도(relative abundance)를 계산하여 출현종의 우점도를 계산하였다. 미 세조류의 분류에 사용한 문헌은 Cupp(1943), Dodge (1982), Jin et al.(1985), Underwood(1994), Chihara and Murano(1997), Tomas(1997), Park(2005), Woelfel et al.(2007), Falasco et al(2009), Pitcher and Joyce(2009) 등 이었다.

    결과 및 고찰

    1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이화학적 환경

    1)해수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의 월별 변화

    수질 환경

    2014년 2월부터 10월까지 하전 갯벌의 해수 수온은 6.8~26.5℃, 염분은 28.2~32.3, pH는 7.41~8.01, 용존산소 는 3.72~9.05㎎L-1, 규산염(silicate)은 0.038~0.979㎎L-1, 암모니아성질소(NH4-N)는 0.019~0.59㎎L-1, 아질산성질소 (NO2-N)는 0.001~0.01㎎L-1, 질산성질소(NO3-N)는 0.013~ 0.07㎎L-1, 인산염인(PO4-N)은 0.003~0.035㎎L-1의 농도를 보였다(Figure 2). 해수의 이화학적 환경 요인 및 영양염류 분포가 태안 진산리(Park et al, 2013)나 본 연구의 조사 정점 보다 부안군 쪽에 더 가까운 곰소만 내의 1999~2000 년 결과(Lee et al, 2012)와 크게 다른 특이점은 없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엽록소 a), 출현량 및 종조성

    2월부터 10월까지 하전 갯벌의 엽록소 a 농도는 평균 3.03㎍L-1, 0.55~8.77㎍L-1 변화를 보였으며 2월에 가장 높 았다가 봄철 내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계수에 의한 출현량은 평균 29x104 cellsL-1, 3.2x104~ 120x104 cellsL-1로 폭넓은 변화를 보였으며 엽록소 a 농도 변화와 동일하게 2월에 최고 출현량을 보였다가 감소하였 다(Table 1).

    2월부터 10월까지 하전 갯벌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그 룹은 규조(Bacillariophyceae, Ba), 와편모조(Dinophyceae, Di), 유글레나(Euglenophyceae, Eu), 규질편모조(Silicoflagellates, Si), 녹조(Chlorophyceae, Ch) 등 5개였다. 하전 갯벌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상대풍도(relative abundance)로 본 군집 특성은 평균 94.3%, 70.7~99.9%를 점하는 규조 우점 군집이었다. 9월에만 Ceratium fusus(27.2%)의 높은 출현 량에 따라 와편모조가 규조군 다음의 아우점군(28%)으로 출현하였다(Figure 3). 조사 기간에 출현한 종 수는 총 113 종이었으며, 22~50종이 매월 출현하였다. 출현종은 주로 해 양부유성으로 Asterionellopsis karina, Guinardia delicatula, Cylindrotheca closterium, Skeletonema costatum 등의 규조였 으며, Cylindrotheca closterium, Nitschia sp. 및 Skeletonema costatum 3종은 매월 출현하였다. 우점군 특성에 따라 월 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의 점유율은 69~91%로 소수의 규조 종에 의한 우점이 두드러졌다(Table 2). 주로 출현하는 서식 환경 특성에 따라 구분해보면, 담수종(녹조 Scenedesmus sp.) 부터 염분 30 이하에 나타나는 종(규조 Pleurosigma angulatum)이나 연안 퇴적물에 풍부한(규조 Paralia sulcata) 종 등 다양한 서식환경을 가진 종들이 출현하였다(www.algaebase.org, 이하 algaebase).

    패류 양식이 성행하는 하전 갯벌에 해양 환경 및 생물에 위해가 되는 우리나라 연안의 대표적인 유해적조종인 Cochlodinium polykrikoides(와편모조)는 출현하지 않았으 나, 유해성 또는 적조유발종으로 분류되는 와편모조인 Ceratium furca, C. fusus, DinophysisGonyaulax 등이 출현하였다 (algaebase). 곰소만 해수 중에 규조가 우점군인 특징은 이 연구 보다 15년 전에 곰소만 내 다른 지역에서 수행된 결과 (Lee et al., 2012)와 유사하나 하전 갯벌에서 규조군의 우점 도가 더욱 커졌음을 알 수 있다.

    2저서규조와 표층퇴적물의 시공간적 분포

    1)표층퇴적물

    입도 분포

    하전 갯벌 표층퇴적물 시료 총 36개의 입도분석 결과(9개 정점, 사계절), 31개 시료가 주로 사질실트(sZ, sandy silt, 64%)와 사니질(sM, sandy mud, 22%) 이었으며 그 외에 사질(S, Sand), 니질(M, Mud) 및 실트질모래(zS, silty sand) 로 분석되었다. 평균입도는 4.00~6.43ф(평균 4.92±0.5)로 세립한 경향을 보였으며 해안선에 가까운 하부 정점 9에서 가장 세립하게 나타났다. 분급도는 0.67~2.75ф(평균 1.52±0.5)로 “조금 양호~매우 불량한” 분급을 보여 평균적 으로 불량한 분급도를 보였다. 왜도는 –0.31~0.58(평균 0.29±0.2)로 대부분 양의 값을 보였다(Table 3). 4ф 이상의 세립한 갯벌은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Oh et al., 2006)에서 도 나타나며, 곰소만의 일부인 하전 갯벌의 조사 지역 역시 퇴적이 우세한 환경이라는 보고(Chang and Choi, 1998)가 있었다. 조간대 최상부인 정점 1에서 다른 정점과 다른 입도 인 사니질이 4계절 동안 나타났으며 봄을 제외하고 침식되 는 양상을 보였다. 하전 갯벌 표층퇴적물은 니질(mud)로 분류할 수 있는 62.5㎛ 이하의 silt (실트)와 clay (점토)함량 은 37.4~92.9%로 폭넓게 분포하여 표층 유형상으로 볼 때 는 니질 갯벌이 아니었다. 저서규조는 니질 부착형(epipelic) 의 출현량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olijin and Dijkema, 1981; Park et al., 2012).

    유기물 오염도

    하전 갯벌 표층퇴적물 시료의 유기물 함량 및 계절적 변 화특성을 알기 위하여 분석한 WC, COD, AVS 및 IL 결과 를 Figure 4에 나타내었다. WC는 5.4~16.4%(평균 10.0±2.85) 범위였는데 모든 정점에서 봄에 가장 낮았고 여름에 가장 높은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IL은 0.1~0.4%(평균 0.2±0.096) 범위로 겨울과 여름에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미국 환경보호 청의 보통오염 기준인 5% 보다 매우 낮았다. COD는 0.0~19.3㎎g-1d.w.(평균 5.75±4.55)을 넘는 곳이 없어서 일 본의 유기물 오염기준(20㎎g-1d.w)을 넘지 않았으나 봄과 가을 및 하부(정점 8~9)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표층퇴적물 최상위 깊이에서도 하전 갯벌 하부에서 생물 활동이 왕성한 계절에 COD 농도가 오염 상한에 근접 하므로 보다 깊은 퇴적물 깊이에 서식하는 바지락 등 저서 동물의 서식환경은 열악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표층퇴적물 건강도의 지시자로 쓰이는 AVS는 불검 출~0.006㎎g-1d.w.이내(평균 0.000±0.001)로 일본의 유기 물 오염 기준값인 0.2㎎Sg-1d.w.보다 매우 낮게 나타났다.

    2)저서미세조류 생물량과 저서규조 분포 변화

    저서미세조류 생물량

    하전 갯벌의 표층퇴적물 시료에서 분석된 조사 시기의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엽록소 a 농도)은 4.2~84.9㎎m-2 (평균 31.3±14.8㎎m-2)의 시공간적 변화(Table 4)를 보였 다. 2월 평균 24.7㎎m-2(13.1~36.6㎎m-2), 5월 평균 36.2±10.4 ㎎m-2(13.4~55㎎m-2), 8월 평균 34.9±15.4㎎m-2(14.2~84.9㎎ m-2) 및 11월 평균 27.0±18.7㎎m-2(4.2~ 79.7㎎m-2) 농도 분포 를 보여 봄과 여름에 보다 왕성한 생산자 활동을 나타냈다. 또한 저서미세조류의 연 평균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중부 조간대인 정점 6이었고, 그 다음으로 높은 32~39.5㎎ m-2 구간의 연평균치를 보인 곳은 최상부인 정점 1과 하부 역인 정점 8과 9이었으며, 그 외 조간대의 연 평균치는 22~29㎎m-2 사이로 분석되었다. 저서미세조류의 생물량이 불검출~45.4 ㎎m-2를 보인 곰소만(Lee et al., 2012), 만경강 갯벌의 0.69~32.1㎎m-2(Oh et al., 2004), 함평만의 21.4~35.2 ㎎m-2(ME, 2009) 보다 높았는데, 다른 연구에서는 색소를 HPLC 로 분석하거나 분석 시료의 표층퇴적물 깊이가 0.5 cm 보다 낮거나 깊게 나타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저서미세조류의 생리 환경적 상태

    생태계 먹이단계 상위자에 의한 저서미세조류 소비량 혹 은 환경 스트레스 등에 의한 분해량으로 볼 수 있는 phaeopigment는 연평균 30.2±24㎎m-2, 0.6~128.9㎎m-2의 농도 변화를 보였다. 2월 평균 19.1±30.8㎎m-2(0.6~95.5㎎ m-2), 5월 평균 40.8±22㎎m-2(18.4~128.9㎎m-2), 8월 평균 34.9±15.4㎎m-2(14.2~84.9㎎m-2), 및 11월 평균 21.9±22.9 ㎎m-2(1.0~86.8㎎m-2)를 보여 함평만의 25.3~45.2㎎m-2(ME, 2009) 보다 변화 폭이 매우 컸다. 또한 다른 연구 결과와 비교 가능한 엽록소 a 대비 phaeopigment 농도 비(Phaeo/Chl a)는 연평균 0.96으로 엽록소 a 농도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2월 평균(겨울) 0.77, 5월 평균(봄) 1.12, 8월 평균 (여름) 1, 및 11월 평균 0.81로 5월과 8월에는 엽록소 a 농도 보다 phaeopigment 농도가 더 높거나 비슷한 경향을 보였 다. 게다가 이 비가 0.5 내외인 유럽 갯벌(Park et al, 2013), 0.63~0.84를 보인 곰소만(Lee et al, 2012), 함평만(ME, 2009)의 경우 보다 훨씬 높은 초식 및 환경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하전 갯벌 생태계를 이루는 생물들의 활동이 봄과 여름에 매우 왕성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곰소만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Lee et al., 2012). 조간 대 상부에서 해안선 근처의 하부까지 조위별 엽록소 a와 phaeopigment 농도의 증감 추이는 일반화하기 어려우나 엽 록소 a 농도 대비 phaeopigment를 백분율로 환산한 상대농 도로 살펴보거나(Figure 5) Phaeo/Chl a로 알아보면, 최하 부 정점 9에서는 모든 조사 시기에 phaeopigment 평균농도 가 엽록소 a 평균농도 보다 높고 연평균 Phaeo/Chl a는 1.99 로 매우 높았으며, 하부 정점 7과 8 역시 연평균 Phaeo/Chl a는 1.1~1.2로 매우 높은 경향을 보여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양식 환경을 위해서는 하부 저서생태계의 상위영양단계인 주요 소비자 역할을 하는 생물 군에 대하여 심도 깊은 연구 와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저서규조 종조성과 출현 특징

    하전 갯벌에서 조사 기간에 출현한 저서규조는 총 163종 이었으며(본 종이 같이 출현한 경우 var. 제외), 모든 시기 에 100종 이상의 다양한 종(102~122종)이 출현하였으며, 최소종수는 2월에 정점 9, 최다종수는 8월의 정점 6에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조사 시기에 Navicula sp.1은 36개 정점 중 상부에서 하부에 이르는 24개 정점에서 우점종(상대빈도 67%)이었는데 특히 8월엔 모든 정점에서 우점종으로 분포 하였다. 다른 10개 정점에서는 Paralia sulcata(상대빈도 28%)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는데 주로 정점 6∼정점 9의 (중)하부에 분포(Table 5)하였다. 두 종외의 우점종으로 Thalassiosira sp.(2월, 정점 7), Amphora sp.1(11월, 정점 1)이 출현하였다. 특히, 우점종∼아우점종 조합으로 Navicula sp.1∼Paralia sulcata 또는 Paralia sulcataNavicula sp.1조 합은 42%(상대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기에 모든 정점에서 출현한 종은 Actinoptychus senarius, Amphora sp.1, Delphineis sp.1 및 Navicula sp.1 이었다. 이 들 주요 종 대부분은 서해안 태안 갯벌(Park et al., 2013)과 강화 갯벌(Yoo and Choi, 2005)에서도 주요종으로 출현한다고 보고되었다. 조사 시기 전반적으로 3∼22%의 우점도를 보이는 5∼7종의 소수종 조합이 절반에 가까운 46∼54%의 우점도를 보였다(Table 6).

    조사 기간에 하전 갯벌에서 출현한 저서규조 종은 담수부 유성, 담수/해양부유성, 해양부유성, 담수/해양저서성 등 다 양한 서식환경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Paralia sulcata 는 연안 퇴적물에 풍부하게 분포하는 종이며 Navicula spp. 역시 폭넓은 다양한 서식처에서 출현한다(algaebase). Thalassiosira sp.와 Chaetoceros sp.는 대표적인 해양부유 성인데 바닷물이 완전히 빠져나가기 전 표층 시료에 잔존했 던 것으로 보인다. Amphora속은 지리적으로 폭넓게 분포하 며 많은 종을 거느리고 있으며 Cyclotella sp.는 주로 담수에 출현하나 담수 영향을 받는 연안에도 출현한다.

    3저서규조와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비교

    하전 갯벌 조간대에서 썰물 때 채취한 시료 중 식물플랑 크톤과 저서규조로서 동일 계절에 Chaetoceros sp., Cylindrotheca closterium, Paralia sulcata, Pleurosigma sp. 및 Thalassiosira sp. 5종이 출현하였다. Chaetoceros sp., Cylindrotheca closteriumThalassiosira sp.는 대표 적인 해양 식물플랑크톤으로 분류되는데(algaebase) 해수 가 간조 때 빠지면서 표층퇴적물 공극수에 잔류했을 수 있 을 것으로 추정되며 Paralia sulcata, Pleurosigma sp. 는 대표적인 연안저서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5종은 하전 갯 벌의 식물플랑크톤 출현종 수의 4%와 저서규조 출현종 수 의 3%에 불과하나 미세조류 서식처(해수∼저서) 간 재부유 혹은 침전에 의한 이동(de Jonge and van Beusekom, 1995; Kang et al., 2003; Lucas, 2003)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곰소만 저서규조의 재부유가 관찰되지 않은 Lee et al.(2012)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선 밀물 시에 해수 및 표층퇴 적물 시료를 채취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Figure

    KJEE-29-743_F1.gif

    A map showing survey site and sampling stations at Hajeonri, Gochang, Korea. Star indicates seawater sampling station and circles indicate sediment sampling stations in 2014

    KJEE-29-743_F2.gif

    Monthly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pH(left) and nutrients(NH4-N, NO2-N, NO3-N, PO4-P, Silicate)(right) of seawater at Hajeonri, Gochang,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KJEE-29-743_F3.gif

    Monthly variations of the proportion of all phytoplankton taxonomic groups at Hajeonri, Gochang,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KJEE-29-743_F4.gif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COD, Ignition loss, AVS, and Water content in surface sediment of Hajeonri, Gochang, Korea

    KJEE-29-743_F5.gif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averaged percentage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and phaeopigment at Hajeonri, Gochang, Korea

    Table

    Monthly variations of chlorophyll a concentration(μL-1) and phytoplankton abundance(×104 cellsL-1) in water column at Hajeonri, Gochang, Korea during the study period

    Monthly variations of dominant phytoplankton species of Hajeonri, Gochang, Korea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mean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 of Hajeonri, Korea

    Spatio-temporal variation of microphytobenthic chlorophyll a content on surface sediment(mgM-2), at Hajeonri, Korea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dominant-subdominant benthic diatom assemblages at Hajeonri, Korea

    Seasonal variations of dominant benthic diatom species and percentage at Hajeonri, Korea

    Reference

    1. Chang JH , Choi JY (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The Sea」 , Kor. Soc. Oceanogr, Vol.3 (3) ; pp.149-157
    2. Chihara M , Murano M (1997) Marine plankton in Japan , Tokai Univ. Press, pp.-1574
    3. Choi YS , Park KJ , Yoon SP , Chung SO , An KH , Song JH (2013)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arine shellfish farm in Namhae-po tidal flat of Taean , Koran J. Malacol, Vol.29 (1) ; pp.51-63
    4. Choi YS , Song JH , Yoon SP , Chung SO , An KH , Park KJ (2014)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n the cultured manila clam(Ruditapes philippinarium) at Hwangdo and Jeongsanpo of Taean in West coast of Korea , Koran J. Malacol, Vol.30 (2) ; pp.117-126
    5. Colijin F , Dijkema KS (1981)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s and distribution of chlorophyll a on an intertidal flat in the Dutch Wadden Sea , Mar. Ecol. Prog. Ser, Vol.4; pp.9-21
    6. Cupp EE (1943) Marine plankton diatoms of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 Univ. California Press, pp.-237
    7. De Jonge VN , van Beusekom JEE (1995) Wind-and tide-induced respensions of sediment and microphytobenthos from tidal flats in the Ems estuary , Limnol. Oceanogr, Vol.40 (4) ; pp.766-778
    8. Dodge JD (1982) Marine dinoflagellates of the British Isles , Hobbs the printers of Southhampton, pp.-303
    9. Du GY , Son M , An S , Chung IK (2010) Temporal variation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phytobenthos in intertidal flat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86; pp.62-70
    10. Falasco E , Bona F , Ginepro M , Hlúbikova D , Hoffmann L , Ector L (2009) Morphological abnormalities of diatom silica walls in relation to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artificial growth conditions , Water SA, Vol.35; pp.595-606
    11.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 Hemphill Publishing Co, pp.-170
    12. Folk RL , Ward WC (1957) Brazo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n of grain size parameters , J.Sed.Petol, Vol.27; pp.3-26
    13. Helling GR , Baars MA (1985) Changes of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 in grazing experiments , Hydrobio. Bull, Vol.19; pp.41-48
    14. Jeong YH , Kim YT , Kim KH , Kim SY , Kim BH , Yang JS (2006) Mass balance of salts, DIP, DIN and DON in the Gomso tidal flat.「The Sea」 , J. Kor. Soc. Oceanogr, Vol.11 (2) ; pp.69-81
    15. Jesus B , Brotas V , Ribeiro L , Mendes CR , Cartaxana P , Paterson DM (2009) Adaptations of microphytobenthos to sediment type and tidal position ,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29; pp.1624-1634
    16. Jin DX , Chen ZD , Li JM , Junmin L , Li SC (1985) The Marine Benthic Diatoms in China , China Ocean Press, Vol.1; pp.-314
    17. Jung RH , Hwang JD , Kim YG , Koh BS , Song JH , Choi HG (2010) Temporal variations in the sedimentation rate and benthic environment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round Bteonsan peninsula. Korea , Kor. J. Fish Aquat. Sci, Vol.43 (6) ; pp.723-734
    18. Kang CK , Kim JB , Lee KS , Kim JB , Lee PY , Hong JS (2003) Trophic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to macrozoobenthos in coastal bay systems in Korea: dual stable C and N isotope analyses , Mar. Ecol. Prog. Ser, Vol.259; pp.79-92
    19. Lee RE (1989) Phycology , Cambridge Univ. Press, pp.-645
    20. Lee YW , Park MO , Yoon JK , Huh SB (201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The Sea」 , J. Kor. Soc. Oceanogr, Vol.17 (2) ; pp.87-94
    21.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a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 Limnol. Oceanog, Vol.12; pp.343-346
    22. Lucas C (2003) Observations of resuspended diatoms in the turbid tidal edge , J. of Sea Research, Vol.50; pp.301-308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ject(II). Korea, pp.-1855
    24. Montagna PA , Blanchard GF , Dinet A (1995) Effect of produc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on meiofaunal grazing rates , J. Exp. Mar. Biol, Vol.185; pp.149-165
    25. Montani S , Magni P , Abe N (2003) Seasonal and interannual patterns of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combination with laboratory and areal production estimates , Mar. Ecol. Prog. Ser, Vol.249; pp.79-91
    26. Oh JK , Do JD , Jo YG (2006)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hwa island, eastern yellow sea , J. Kor. Eart. Sci. Soc, Vol.27 (3) ; pp.328-340
    27. Oh SJ , Moon CH , Park MO (2004) HPLC analysis of biomass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microphytobenthos in The Seamankeum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 J. Kor. Fish. Soc, Vol.37 (3) ; pp. 215-225
    28. Park JS , Khim JS , Ohtsuka T , Araki H , Witkowski A , Koh CH (2012) Diatom assemblage o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with reference to the biogeography of marine benthic diatoms in Northeast Asia Botanical Studies , Vol.53; pp.105-124
    29. Park JS (2005) Taxonomic study of benthic diatoms in Nanaura mudflat, Ariake Sea, Japan. M.S. Dissertation, Seoul Nat. Univ., Seoul, Korea, pp.-195
    30. Park SK , Kim BY , Choi HG , Oh JS , Chung SO , An KH , Park KJ (2013)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icrophytobenthos at Jinsanri , Teaan. Korea. J. Kor. Fish. Soc, Vol.46 (2) ; pp.176-185
    31. Pitcher GC , Joyce LB (2009) Dinoflagellate cyst production on the southern Namaqua shelf of the Benguela upwelling system , J. Plankton Res, Vol.31; pp.865-875
    32.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lankton , Academic Press, pp.-858
    33. Underwood GJC (1994)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in epipelic diatom assemblages in the severn estuary , Diatom Res, Vol.9; pp.451-472
    34. Underwood GJC , Kromkamp J (1999)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and microphytobenthos in estuaries , Adv. Ecol. Res, Vol.29; pp.93-153
    35. Woelfel J , Schumann R , Adler S , Hübener T , Karsten U (2007) Diatoms inhabiting a wind flat of the Baltic Sea: species diversity and seasonal succession , Estuar. Coast. Shelf Sci, Vol.75; pp.296-307
    36. Yoo MH , Choi JK (2005) Seasonal distribution and primary production of microphytobenthos on an intertidal mud flat of the Jandhwa in Ganghwa island, Korea.「The Sea」 , J. Kor. Soc. Oceanogr, Vol.10 (1) ; pp.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