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1 No.2 pp.252-265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7.31.2.252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Heejoon Choi2, Junga Lee3, Heejung Sohn2, Donggil Cho3, Youngkeun Song2*
2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Bldg.#82,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3Ecological Engineering Institute NEXUS Group, B903, 40, Imi-ro, Uiwang-si, Gyeonggi-do, 16006, Korea

a 연구비 지원: 산림청 (Project No. S111616L090100)

Corresponding author:+82-2-880-8860, songyoung@snu.ac.kr
February 21, 2017 April 10, 2017 April 10, 2017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with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and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reen patches, thereby introducing urban garden for generating green networks in residence areas. To this end, Yeoksam-Dong was selected as the site area since it is classified as both green initiative zone and alienated area of park service in Seoul.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green spaces in Yeoksam-Dong was identified by five categories: Street trees,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rooftop garden, and park. Then, the landscape index analysis through FRAGSTATS and connectivity assessment via multi-buffer zone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green network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value of green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green areas in the site were distribu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street tree,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park, and rooftop garden. In case of the street trees whose total core area (TCA, 1,618m2) is as high as the park’s (1,128m2). Private garden has potential for green network 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by gardening since the shape of the patches are irregular (ED = 78.1m/㏊)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tches is close (ENN=33.9m). Public pocket garden has also potential for garden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evenly (LPI=5.7%, SHEI=0.9) with exposing external disturbance (TCA = 66m2). For the green network, 84% of all the study site is covered by small green network in 50m butter range of connected green area. The effect of green network was expected through gardening in public pocket garden (27%) and street tree (26%). Accordingly, it is encouraged to actively utilize street tree, private gardens, and rooftop gardens and to establish the urban gardens like local-based community gardens in public pocket garden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near residential areas. By doing so, green networks can effectively be established in built up area with high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fostering the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urban gardens.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최 희준2, 이 정아3, 손 희정2, 조 동길3, 송 영근2*
2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3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 (TCA)이 1,618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m2)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 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m2),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 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 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Korea Forest Service
    S111616L090100

    서 론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고 있고(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2006) 한국의 경우 약 92%에 달하는 인 구가 도시지역에 집중되어있어(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의 파괴, 생물다 양성 저하, 생태계 회복력 감소가 심각하다. 특히 과밀화된 도심부에서는 녹지공간의 확보가 어려워 시민의 삶의 질 저하와 도시 생태계의 건강성 저하로 이어지고 있어, 도시 내 녹지조성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Savard, 2000). 한편, 생물다양성이 높은 도시의 녹지일수록 시민에 게 주는 혜택이 크고(Fuller et al., 2007) 나아가 도시환경의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므로, 소규모 녹지 조성과 연결성 확 보를 통한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도시녹지의 창출 과 관리의 중요한 사항으로 고려되고 있다(Han et al., 2014).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도심 내 생활권 녹지의 소외지역은 존재하고 있으며, 반면 녹지에 대한 시민의 수 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공원 및 녹지 조경의 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생활권 공원 면적은 54.93㎢ 이지만, 인구수 대비 1인당 생활권 공원의 면적은 5.33㎡으로 (http://stat.seoul. go.kr, 2015) 세계보건 기구(WHO) 권고 기준인 9㎡의 44% 밖에 못 미치는 수준 이다. 이에 시 당국에서도 녹지, 공원, 조경, 자연생태 등을 담당하는 전문 부서 등을 통해 생태적 환경을 고려한 도시 녹지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일정 규모 이 상의 새로운 도시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건물이 나 땅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보상절차 등 많은 예산과 시 간이 요구되어 어려움이 있어, 그 대안으로 정원 등 생활권 내 소규모 녹지 조성을 통한 녹지네트워크 구축방안이 제기 되고 있다. 도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공원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정원도 광범위하고 독특한 자원으로서 그 자체로 서식처로 작용할 수 있고 생태네트워크를 형성하 는 연결녹지(corridor)로 기능할 수 있음을 밝힌 바 있다 (Goddard, 2010). 정원의 사전적 의미는 ‘집안에 있는 뜰이 나 꽃밭’을 의미하는 사적인 영역으로 볼 수 있지만, 한국형 현대의 도시정원의 의미는 도시 내 주거 공간 내외를 포함 한 주변 환경, 즉 생활권 내에서 인간과 유기적으로 상호작 용할 수 있는 외부 환경을 포함하고 있다(Woo and Suh, 2016). 즉, 생활권 녹지의 형태로 조성될 수 있는 정원은 도시 곳곳의 일상에서 시민들에 의해 가꿔지는 공간으로, 시민들의 여가활동을 통해 자유로운 형식과 친근한 형태, 실용성을 갖춘 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다(Sim and Zoh, 2015). 이러한 정원은 사람들의 심신의 안정, 여가활동 증진 등 생태계서비스 제공으로 사람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큰 도 움을 주기에(Mitchell and Popham, 2008) 이를 활용하고자 최근 들어 지역단체 내에서도 자투리 공간의 활성화와 같은 정원 조성 노력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수목원・정 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정원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어 도시 내 녹지 확충을 위하여 정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를 확충하고 유 기적인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소규모 녹지들의 가치 및 활용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관지수 및 연결성 분석을 통해 소규모 녹지들의 잠 재성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녹지 네트워크 조성에 도입할 수 있는 대안적 녹지의 유형과 활용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세부 목표로는, 1) 항공사진에서 추출된 소규모 녹지 패치 매핑을 통해 유형별 활용 가능한 녹지들 의 현황을 파악하고, 2) 경관지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패치형태 및 공간분포에 따른 잠재성을 진단하며, 3) 연결성 분석을 통해 대상지 내 녹지 네트워크 형성에 기여하는 바를 밝힘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도시정원 도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1.연구대상지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에서 생활권 녹지 면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축에 속해 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위한 녹지 비율의 증대, 녹지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되는 지역을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하 였다. 강남구는 전체 공원율 15.71%로 서울시 전체 평균치 인 26.2%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며, 특히 고밀도 거주지 의 공원율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Seoul Statics, 2015). 1인당 공원 면적은 강남구가 10.91㎡/인으로 나타나 며, 강남구가 속하는 동남권의 경우 시가화지역 공원율이 14.16%로 서울전체 시가화지역 공원율 15.93%을 밑도는 수준이다. 또한 동남권의 1인당 시가화지역 공원면적은 6.55m²/인으로 나타나, 서울시의 평균 1인당 시가화지역 공 원면적(6.31㎡/인)에 상응하는 수준이다(2030 Seoul Green Space Planning, 127p).

    선정된 대상지는 강남구 역삼2동 일대로(Figure 2), 서울 시 2015 도시생태현황도를 이용하여 녹지면적을 계산해 본 결과 46,844m²이었고, 대상지 전체 면적 546,898m²의 8.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토지이용현황 은 주택지 및 상업업무시설지가 토지 이용의 86%를 차지했 으며(2015 Urban biotope map green rate and land use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건물현황의 경우 근린생 활시설과 주택이 대상지 내 건물의 89.22%를 차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2). 따라서 대상지 내에서는 중규모 이상의 녹지패치의 신규조성은 어렵지만 지역거주민 참여 에 의한 소규모 녹지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공간이다.Figure 1

    대상지 주변 주요 녹지패치로는 남쪽으로 도곡공원, 양재 천, 북동쪽으로 선정릉 등이 위치하고 있다(Figure 2). 따라 서 대상지 내 녹지가 확보된다면 대모산~양재천~도곡공원 의 녹지축이 선정릉 일대까지 연결되는 생태네트워크의 회 복을 기대할 수 있다.

    2.연구방법

    1)경관지수

    경관 지수는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경관의 기능적 측면 인 생태 건강성을 평가하여 정량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발 되었다(McGarigal and Marks, 1995). 경관 지수의 활용은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 지역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특성을 정량화 함으로써 경관 패턴 과 변화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Park et al., 2004; Kwon et al., 2012). 뿐만 아니라, 경관지수를 이용한 평가 는 광역적인 범위에서의 계획과, 관리에 이용 가능하며, 식 물 서식지 연결성, 파편화, 경관 내부 및 주연부의 면적 구성 등의 현황 평가와 대안비교에 활용 될 수 있다. 경관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도구로 미국 내무성과 오레곤 주립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가 널 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 도구를 활용하여 Patch, Class, Landscape 등 다양한 스케일에 따라 산출된 경관지수로부 터 다양한 서식지 특성 값을 얻을 수 있다.(McGarigal and Marks, 1995; Kim and Oh, 2011; Kang et al., 2012). 본 연구에서는 적합한 경관지수를 선정해 생활권 녹지 네트워 크 평가에 활용하였다.

    2)자료의 수집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Table 3)과 같다. 녹지 현 황 파악 및 유형분류를 위하여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제공 하는 항공사진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항공사진 을 캡쳐 후 연속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Geo-referencing을 실시하였으며, 영상에서 확인되는 모든 녹지를 ArcGIS 10.2 상에서 폴리곤 형태로 분류하였다.

    3)연구의 절차

    (1)녹지 분류

    대상지 내 녹지 분류는 객체지향분류(Object Oriented Classification)를 실행하여 분류하였다. 객체지향기법은 분 광정보 및 형태정보를 모두 사용하여 대상물을 벡터형태의 지형물로 각각 분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 방법의 결과물 은 사람이 영상을 직접보고 수작업으로 객체를 분류해내는 것과 비슷하나, 자료에 따라 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녹지 를 분류할 수 있다(Lillesand et al., 2015, 570-573p). 본 연구에서는 영상자료(Table 3)의 RGB값과 녹지경계 형상 으로부터 일차적으로 대상지 전체에 대한 객체분류를 실시 한 뒤, 목시 확인을 통해 오분류된 녹지 다각형들을 수작업 으로 제거해주었다.

    (2)경관지수를 활용한 녹지 패치의 구조적 특성 분석

    앞서 분류된 녹지 폴리곤들에 대하여 경관 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들(Jung et al., 2005; Kim and Oh, 2011; Kang et al., 2012; Ji et al., 2016; Kim et al., 2016)을 참고하여 면적/밀도/가장자리, 형태, 핵심지역, 다양도 등 경관 지수의 주요 카테고리 별로 유효한 지수들을 (Table 4)와 같이 선정하였으며, 다양도 지수(Shannon’s diversity index, Shannon’s evenness index)의 경우 분류 항목 별 각 패치의 분포와 형태의 다양성을 분석하도록 응용하였다. 분 석에는 FRAGSTATS 4.2(McGarigal and Marks, 1995)을 이용하였다.

    3)연결성 분석

    대상지 내 생태네트워크의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Wei Hou et al.(2017)의 ‘다중버퍼생성(multi-buffer procedure)’ 방법을 적용하여 녹지패치 간 연결성을 분석 및 생태네트워 크(econets)을 추정하였으며, 맵핑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패치들에 바깥쪽 버퍼를 생성해 준 뒤, 버퍼에 의해 연결된 모든 패치들을 합쳐(merging)준다. (2) 바깥쪽 버퍼 를 생성해 준 것만큼 합쳐준 패치들에 다시 안쪽 버퍼를 생성해 준다. 이 때, 한 공간에 모여 있는 중심패치들(core patches)은 수축된 버퍼에 의해 연결이 된다. (3) 2번째 단계 에서 경계 레이어(barrier layer)를 이용하여 연결된 패치들 을 지워준다. 경계가 존재하는 곳의 연결은 단절되게 된다. (4) 연결된 패치들을 하나의 패치군집(patch cluster)으로 묶는다. (5) 녹지 패치들에 다시 바깥쪽 버퍼를 생성해 준 뒤, 같은 군집에 속하는 패치들만 다시 합쳐준다. (6) (5)에서 다시 (2)와 같은 방법으로 안쪽 버퍼를 생성한다. 같은 군집 내 포함된 패치들 간의 연결지역을 잠재적 연결 통로(corridor)로 간주한다. (7) 각 연결통로의 지형적 요소 들을 확인하고 패치들 사이에 연결이 안 된 연결통로 혹은 잘못된 군집과 연결된 통로들을 제거해준다.

    ‘다중버퍼생성’ 방법에서는 각 패치의 전이대 경계를 따 라 군집을 구분하는 과정이 포함되지만(muti-buffer procedure 3rd process), 본 대상지는 대체적으로 소규모 조성녹지로 구성되어 전이대가 없다고 판단해 이 과정을 생략하였다. Wei Hou et al.(2017)는 동일 분석 방법 적용 시 1000㏊이 상의 넓은 대상지 내에서 소규모 패치들이 가지는 잠재적 징검다리 기능과 일반종(generalist)들의 이동 반경을 고려 하여 각각의 녹지 패치에 대한 버퍼 범위를 50, 100, 150, 200m로 설정하였다(Bastian and Schreiber, 1999; Müller, 1981; PAN, 2006).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지는 약 55㏊ 소면적의 고밀 시가화 지역으로, 비교적 넓은 서식범위를 가지는 포유류 등의 평가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 기에, 소형 조류종의 일일 이동 임계거리(DMDT; daily movement threshold distance)로써 50m 버퍼만을 적용하였 으며(Aderson and Bodin, 2009; Kang and Park, 2015), 녹 지패치들 또한 이를 근거로 반경 50m의 범위에서 생태적 연결성을 담보한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각 패치에 50m 버퍼를 패치 바깥으로 생성한 뒤, 버퍼끼리 겹치는 부 분들을 합치고(merge) 이렇게 합쳐진 버퍼들의 경계로부터 안쪽으로 50m 버퍼를 생성함으로써, (Figure 3)과 같이 생 태적 연결성을 평가하였다.

    4)생활권 녹지 도입 방안 제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녹지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Table 5), 경관지수를 활용한 유형별 녹지 평가와 녹지 패 치간의 연결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생활권 녹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적합한 녹지형태 및 조성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및 고찰

    1.녹지분류 결과

    녹지는 항공사진기반 객체분류 결과와 수치지도의 건물 현황 정보를 토대로 옥상정원, 가로녹지, 자투리공지, 공원, 개인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Table 5). 건물 위 옥 상에 녹지가 조성되어 있는 경우 옥상정원으로 분류하였다. 차도와 인접한 보도 상에 위치하는 녹지는 가로녹지로 분류 하였으며, 건물과 건물 사이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자투리 공간의 녹지는 자투리공지로 분류하였다. 분류되지 않은 녹 지들 중 197㎡ 이상의 비교적 큰 면적의 패치들은 공원으로 분류하였으며, 수치지도 상에서 주택으로 분류된 건물에 분 포하는 녹지는 개인정원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지 내 총 녹지면적은 58,379㎡로써, 수치지도 상에 서 녹지로 분류된 면적(Table 1)보다 11,535㎡에 해당하는 소규모 녹지들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지 내 녹지 중 가장 넓은 면적의 유형은 가로녹지(34%)로 나타났 으며, 이어 개인정원(22%)과 자투리공지(20%)가 뒤를 이 었다(Table 5). 이 세 유형의 합이 대상지 전체 녹지면적의 76%를 차지하여, 공원(15%)에 비해 중요한 녹지 서비스의 공급원임을 알 수 있었다. 옥상정원은 전체 녹지의 9%에 불과하나 금융결제원 등 공공건물 및 테헤란로 방면 일부 상가건물들에 기 조성되어 있어(Figure 4) 고밀 시가화지역 의 녹지 확보 수단으로써 잠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치의 수를 고려한 모든 녹지유형의 특성을 살펴보면 (Figure 5), 표준편차가 공원패치(1245±1,162㎡)를 제외한 모든 유형의 녹지에서 평균보다 크게 계산되었는데, 이는 패치 군집 내 녹지패치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큰 패치로 분류된 녹지패치들이 있는 반면, 연결되지 않은 단 목 혹은 좁은 면적의 녹지들은 각각의 작은 패치들로 분류 되었기 때문에 면적분포가 상당히 넓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 된다.Table 6

    각 녹지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공원(1245±1,162㎡)의 패 치들이 다른 유형의 녹지 패치들보다 큰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공원패치유형이 대상지 내에서 큰 녹지패치로써 생태적 기능을 수행함이 기대된다. 대상지 내 공원 패치의 수는 7개로 다른 녹지 유형들에 비하여 적게 분포하고 조성 면적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시설들이 밀집한 대상지 내에서는 새로운 공원조성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가로녹지패치(137.2±505.28㎡)의 경우 도심이라는 위치적 특성 때문에 가장 많은 145개의 패치들이 분포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패치자체의 면적(137.2±505.28㎡) 또한 작게 나타나기 에 향후 고밀화된 시가화 지역에 가로 녹지환경을 조성하여 녹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결성을 증진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 판단된다. 개인정원패치 (215.64±300.13㎡)의 경우 주택이 대상지 건물의 43%를 차 지함에 따라 그 패치수도 60개로 비교적 많이 나타났으며, 패치들의 면적(215.64±300.13㎡) 또한 공원(1245±1,162㎡) 다음으로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대상지 내에서 중규모 녹지 네트워크의 중간 노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된다. 자투리공지패치(123.27±153.23㎡)의 경우 가로녹지 패치(145개) 다음으로 많은 패치들(95개)이 대상지 내에서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면적(123.27±153.23㎡) 이 가로녹지패치들보다도 작기 때문에 대상지 내 건물과 건물 사이 자투리 공간에 포켓정원과 같은 소규모 녹지를 조성함으로써 대상지 내 녹지의 연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녹지유형으로 판단된다. 옥상정원패치(92.96±128.55㎡)의 경우 타 녹지유형에 비하여 작은 면적이 산출되었는데, 이 는 건물옥상이라는 공간 특성상 공간적, 환경적 제약에 의 해 넓은 면적의 녹지를 조성하기 까다로워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된다. 기 조성된 옥상정원은 대상지 내 건물 1,011동 중 55동(5.44%)에만 조성되어 있기에 향후 옥상정원이 미 조성된 건물 중 적합한 건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 된다.

    2.경관지수 분석결과

    각 유형별 총 면적의 크기(TA)는 (Table 5)와 동일하게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 순으로 나 타났다. 각 유형별 가장 큰 패치가 해당 유형 내에서 차지하 는 비율을 나타내는 최대패치지수(LPI)의 경우 공원이 31.9% 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 공공건물(금융결제원·한국은행 강남 지부) 부지 내 공원의 비율이 큼을 알 수 있었으며, 반면 자투리공지는 5.7%로 나타나 큰 패치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자리는 총 핵심지역 면적(TCA)의 경우 가장자리 효과를 5m로 상정하여 분석한 결과 가로녹지가 1,61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공원(1,128㎡)에 상응하는 생물서식지로써의 잠재성을 보였다. 경관 내 다양한 패치형 태의 분포 균등도를 나타내는 샤논균등지수(SHEI)의 경우, 가로녹지(0.7)나 공원(0.8)에 비해 자투리공지, 개인정원, 옥상정원 등이 높은 값(0.9)을 보여, 이러한 유형의 패치가 대상지 전반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어 소규모 정원조성을 통해 녹지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녹지의 유형별로 특징을 정리해보면, 가로녹지의 경우 전 체 녹지 중 34.1%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녹지분류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가로녹지의 LPI 값은 28.0%로 공원(31.9%)을 제외한 다른 녹지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가지면서, SHEI가 0.7로 가장 낮은 값을 가졌는데, 이는 대상지 내 가로녹지 패치형태들이 불균등하면서도 편 중되어 나타났음을 의미하였다. 반면, TCA값은 1,618㎡로 대상지 내 녹지 분류군 중 가장 높은 값을 가지는데, 이는 선형 가로 녹지들이 공간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큰 패치로써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공원의 경우 LPI 값이 31.9%이면서 ENN값이 107.0m로 크게 나타나 대면적의 패치가 일정 거리 이상을 두고 분포 되어 있는 특성이 반영되었다. 개인정원의 경우 ED값이 78.1m/㏊로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 ENN값이 33.9m로 나타나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조성을 통 한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 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LPI값이 5.7%로 가장 낮고 SHDI와 SHEI가 3.9, 0.9로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 녹지유형임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정원으로 활용하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패치형태가 불규칙하고 (LSI=22.9) 핵심지역면적이 낮게 나타나 (TCA=66㎡) 외부교란에 취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3.녹지 연결성 분석 결과

    대상지 내 녹지들은 (Figure 6)과 같이 전체 면적의 89% 가 50m 버퍼 내에서 잠재적인 연결이 기대되었고, 녹지유 형별 연결성 기여도의 경우 자투리공지(27%), 가로녹지 (26%), 개인정원(17%), 옥상정원(7%), 공원(4%)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넓은 연결성을 보여주는 자투리공지 연결통 로(27%)는 대상지 곳곳에서 나타나, 개인정원, 공원, 옥상 정원 패치들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뼈대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로녹지 연결통로(26%)의 경우 대상 지 경계 및 도로 주변(테헤란로, 논현로, 역삼로)에 주로 나 타나면서 큰 블록단위의 계획 구획 경계부를 따라 개인정 원, 공원, 옥상정원의 녹지패치들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이러한 자투리공지 연결통로와 가로 녹지 연결통로의 조합을 통해 타유형 녹지패치들이 효과적 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개인정원 연결 통로(17%)와 옥상정원 연결통로(7%)의 경우 각각 주택과 근린생활시설에서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공원 연결 통로(4%)의 경우에는 다른 녹지유형 연결통로에 의하여 연 결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전체 녹지연결통로에 의하여 연결된 건물은 전체 1,011 동 중 912(90%)개동으로 대상지 내 건물의 대부분을 포함 하였으나, 나머지 단절된 지역의 건물 99개동(Figure 6- buildings in black color)의 용도는 주로 주택(50동)과 근린 생활시설(44동)로 나타났다. 그 공간 분포를 보면 대상지 중심부 녹지단절지역은 주택이 밀집한 곳으로, 주민들의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주택가 내 생활권 녹지환경 구축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으며, 대상지 남쪽의 도곡로와 맞닿은 녹지 단절지역의 경우 근린생활시설이 밀집한 곳으로 가로환경 개선을 통한 녹지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Table 7Table 8

    4.생활권 녹지 도입 방안

    (Figure 6)을 보면 녹지 단절지역 내 주택가가 밀집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주택가 주변의 근린생활시설 또한 단절지 역 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대상지 내 일정 규모 이상의 녹지공간을 새로이 조성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주택 밀집 지역에 기 존재하는 소규모 녹지를 활용하여 가로녹지를 조성해 줌으로써 대상지 내 새로운 녹지네트워크 연결선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가로녹지를 조성할 때 있어 단순히 가로녹지를 식재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주민들이 직접 가꿀 수 있는 생활밀착형 정원의 형태로 조성한다면 지속적인 녹지체계의 관리와 더불어 주 민들의 심신건강의 증진, 생태계 다양성 및 서비스 증진 등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 판단되며, 가로녹 지 형태의 불균등한 분포(SHEI=0.7)를 해소할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건물과 건물 사이 자투리 공간을 정원으로 활용 하게 된다면 새로운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상지 내 미관을 형성할 수 있기에 유휴공간의 효 율적 사용이 가능해 진다. 가로공원을 조성할 때에는 보행 공간을 구분하고, 지역주민들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약속과 만남의 장소를 제공하거나 경관을 감상하고 힐링할 수 있는 휴게 공간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즉, 주거지 주변의 가로 공간이 거주자들의 생활공간으로써의 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거주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구체 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방향으로 조성되어야 하며, 보행과 통행의 기능을 갖는 도로, 보행로와의 일종의 매개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성되어야 한다(Kim and Jeong, 2013). 이와 같은 가로정원의 조성은 사적 영역에서 의 개인적인 취미활동뿐만 아니라, 공공성을 제공할 수 있 는 공적 영역까지 확장하여, 가로 환경의 개선에도 긍정적 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다른 항목의 녹지들보다 패치간 샤논 균등지수가 높다(SHEI=0.9). 이는 다양한 여러 형태의 녹 지패치로 자투리공지가 구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 니라 LPI값이 다른 항목의 녹지들보다 낮은 값(5.7%)을 가 지는데, 이는 대상지 내 자투리공지패치가 고루 분포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자투리공지가 대상지 내 여러 다른 지역에서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 타낸다. 예를 들어, 근린생활시설 주변의 녹지의 경우 자투 리공지를 활용하여 정원을 조성해 줌으로써 직장인들을 포 함한 도시민들의 쉼터 및 활동공간이 될 수 있으며, 주택가 근처의 자투리공지의 경우 텃밭정원과 같은 주민들이 직접 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커뮤니티 가든을 위한 공간을 조성 해 줌으로써 지속적인 관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다. 커뮤 니티가든은 사전적으로 커뮤니티(공동체)와 가든(정원)의 의미가 결합되어 있는 개념으로, 지역주민의 자연체험, 교 육활동 및 공동체 생활 및 활동을 위한 정원을 의미한다 (Kim et al., 2006). 우리나라의 커뮤니티가든은 주로, ‘공공 텃밭’, ‘공공재원’, ‘동네정원’, ‘도시농업’ 의 유사용어와 혼 용되어 농업의 생산적 의미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취급되고 있지만, 도시 커뮤니티가든은 지역 주민의 활동적인 참여와 리더십을 기반으로, 도시 사회 내 다양한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 세대간, 계층 간의 사회통합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계층의 참여와 구성원들의 자기조직화, 그리고 현장에서의 교육 및 실습을 통한 적응관리 계획수립 등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 로그램의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Tidball and Krasny, 2007).

    이와 같은 커뮤니티가든은 조성 목적과 이용형태에 따라 채소 등 자가 소비용 생산을 위한 생산형, 지역 주민들 간의 체험 활동 교류를 위한 교류형, 정원 조성 및 관리, 감상 등 여가 활동의 기능을 하는 치유형, 생태적 체험 학습이 가능한 교육형 등으로 가든의 유형을 구분 하여 특징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Kim et al., 2010; http://www.lifelab.org). 이 때, 도시 내 생물다양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원예 품종 및 텃밭모종의 활용하고 이용 형태 및 입지유형에 따 라 적응 관리가 쉬운 정원 식물을 도입하여 생활형 커뮤니 티 가든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원 도입을 위하여, 녹지 공간이 부 족하고 고밀 시가화지역으로 볼 수 있는 역삼동 일대를 연 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대상지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 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 분석을 통한 연결성 평가 분석 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기존 보고서 및 관련 데이터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상지 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규모는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 원의 면적 순으로 녹지 패치가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연구의 대상지는 새로운 녹지 공간을 확보하기에 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고밀 시가화 지역임에도 불구하 고, 적은 분포의 녹지 면적에 비해 각각의 패치들 간의 연결 성이 우수하여 기존 녹지 공간의 활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녹지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한 공간으로 판단된다. 특히, 가로녹지는 대장지 내 특정 공간에 편중된 분포를 보이고 있어, 불균등한 분포 해소와 동시에 대상지 내 녹지 단절공간을 연결시켜주는 방안으로 가로정원의 도 입을 제안할 수 있다. 녹지가 단절된 대상지 중심지역은 주 택이 밀집한 지역으로, 거주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거주공 간의 가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가로 정원의 도입할 수 있는 주요 대상지가 될 수 있다. 패치의 형태가 가장 다양하 면서도 고루 분포하고 있는 자투리 공지는, 대부분 건물에 인접한 소규모 공간으로 관리 부족으로 인하여 자칫 유휴공 간으로 방치될 가능성이 큰 공간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자투리공간의 지속적 관리와 지역 내 네트워크 구축에 일조 할 수 있도록 해당 녹지 패치를 커뮤니티 가든이나 포켓정 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 과는 실제 이용자인 시민들의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정원의 도입방안을 구체적으로 제 시하지는 못한 한계를 갖는다. 향후, 대상지 내 거주민 및 구성원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구체적인 정원 도입 방안 제 시와 함께 연구 대상지 내 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지 주변 간의 연결성 분석을 통하여 역삼동 일대에 알맞은 도시정원 조성 및 네트워크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 료된다.

    Figure

    KJEE-31-252_F1.gif

    Flow chart of analysis

    KJEE-31-252_F2.gif

    Surrounding the site(Left-‘Daum’ aerial photograph) and the site(Right – See (Table 2).)

    KJEE-31-252_F3.gif

    Example of connection path analysis ; buffers and connection path(light gray) are produced based on green space patches(dark gray) using multi-buffer procedure(Hou et al., 2017, refer to the method and apply)

    KJEE-31-252_F4.gif

    Green area classification by class -(Table 5)

    KJEE-31-252_F5.gif

    Average area of green patches depending on the types

    KJEE-31-252_F6.gif

    The result of connection path analysis(See (Table 7) and (Table 8))

    Table

    Study area and data basis(2015 Urban biotope map green rate and land use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uilding Uses Status - Nationwide Continuous Numerical Map Ver2.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Data source for the analysis
    Description of landscape indices applied to this study (FRAGSTATS 4.2 Manual)
    Classification of green area.
    Values of landscape indices depending on the green patch types
    *TA in this table calculated by FRAGSTATS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areas in (table 5) computing by ArcGIS 10.2.2 because of the errors in converting the aerial image from vector(table 5) to raster(table 6).
    Potential connectivity analysis
    Building uses in the areas of connected and disconnected potential greenery (Nationwide continuous numerical map ver2.0)

    Reference

    1. Bastian O. , Schreiber K.F. (1999) Analyse und ökologische Bewertung der Landschaft (Analysis and ecological assessment of the landscape). Verlag: Spektrum, Akad.,
    2. Fuller R.A. , Irvine K.N. , Irvine P. , Warren P.H. , Gaston K.J. (2007) Psychological benefits of green space increase with biodiversity , Biol. Lett, Vol.3 ; pp.390-394
    3. Goddard M.A. , Dougill A.J. , Benton T.G. (2010) Scaling up from gardens: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urban environments, Volume 25, Issue 2, Cell press , Trends Ecol. Evol, ; pp.90-98
    4. Han B.H. , Kwak J.I. , Park S.C. , Hur J.Y. (2014)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 Korean J. Environ. Ecol, Vol.28 (2) ; pp.128-141
    5. Hou W. , Neubert M. , Walz U. (2017) A simplified econet model for mapping and evaluating structural connectivity with particular attention of ecotones, small habitats, and barriers , Landsc. Urban Plan, Vol.160 ; pp.28-37
    6. Ji S.Y. , Choi J.Y. , Lee S.H. , Lee S.H. (2016) Prediction of fragmentation impact range of forest development analyzing the pattern of landscape indexes. J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9 (2) ; pp.109-119
    7. Jung S.G. , Oh J.H. , Park K.H. (2005)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8 (2) ; pp.145-156
    8. Kang W.M. , Koh I.S. , Park C.R. , Lee D.W. (2012)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Vol.26 (6) ; pp.941-951
    9. Kim H . S. , Oh C. H. (2011)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5 (3) ; pp.389-403
    10. Kim H.S. , Oh C.H. (2011) Classification of rural villages based on landscape indices: focusing on landscape ecological aspect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17 (3) ; pp.1-13
    11. Kim J.H. , Ra J.H. , Lee S.J. , Kwon O.S. , Cho H.J. , Lee E.J. (2016) Fragmentation analysis of Daejeon City’s green biotope using landscape index and visualization method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19 (3) ; pp.29-44
    12. Kim K.H. , Cho T.B. , Kim M.H. (2006) Eco-symbolic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community gardens and common spaces of Eco-Villages in Europe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17 (5) ; pp.117-127
    13. Kim M.J. , Jeong J.S. (2013) A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al alternations and the using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place by the Wall Removal Project Types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24 (2) ; pp.25-33
    14. Kim T. G. M.H. (2010) Vision and Assignment for the Urban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15. Kwon S.S. , Choi S.H. , Lee S.D. (2012) A study of the landscape analysis at Su-ji/Gi-heung in Young-in city using the FRAGSTATS mode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21 (5) ; pp.781-787
    16. Lillesand T. , Jonathan C. , Ralph W.K. (2015) Remote Sensing and Image Interpretation, John Wiley & Sons Inc,
    17. McGarigal K. , Barbara J.K.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Version 2.0,
    18. McGarigal K. (2015) FRAGSTATS HELP, https://www.umass. edu/landeco/research/fragstats/documents/fragstats.help.4.2.pdf
    19. Mitchell R. , Popham F. (2008) Effect of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on health inequalities: an observational population study , Lancet, Vol.372 ; pp.1655-1660
    20. Müller F. (1981) Die Bedeutung von Rainen, Hecken und Feldgehölzen in der Landschaft (The importance of balks, hedges and copses in the landscape) , Unser Wald, Vol.34 ; pp.6-12
    21. Oh Y.K. , Choi J.Y. , Bae S.J. , Jang M.W. (2007) A spatio- temporal change analysis of rural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ecology indices: focused on a part of Gyeonggi-d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49 (6) ; pp.65-76
    22. (2006) Übersicht zur Abschätzung von maximalen Entfernungen zwischen Biotoptypen für Tierpopulationen in Bayern (Overview for estimating maximum distances between habitats for animal populations in Bavaria), http://www.pan-gmbh.com/content/dload/TabEntfernungen.pdf
    23. Park K.H. , Jung S.G. , Lee H.T. , Oh J.H. , Kim K.T. (2004) An analysis on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of the Geumho river watershed forest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7 (3) ; pp.22-34
    24. Savard J-P. , Clergeau P. , Mennechez G. (2000) Biodiversity concepts and urban ecosystems , Landsc. Urban Plan, Vol.48 ; pp.131-142
    25. Seoul (2015) Seoul Green Space Planning,
    26. Sim J.Y. , Zoh K.J. (2015)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43 (2) ; pp.1-12
    27. Tidball K. G. , Krasny M. E. (2007) From risk to resilience : What role for community greening and civic ecology in cities , Social learning towards a more sustainable world,
    28. (2006) Urbanization Prospects: The 2005 Revision,
    29. Woo K.S. , Suh J.H. (201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 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44 (5) ; pp.1-11
    30.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00,
    31. http://stat.seoul.go.kr/jsp3/stat.db.jsp?link=1&cot=017,
    32. http://stat.seoul.go.kr/jsp3/stat.db.jsp?cot=017&srl_dtl=10255,
    33. http://www.lifelab.org,
    34. http://map.daum.net/,
    35. http://www.un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