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3 No.1 pp.16-27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9.33.1.16

Proposition of Dragonfly’s Appropriate Survey Period Inhabited in Temperate Zone

Soo-Dong Lee2*
2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52725, Korea
a 이 논문은 2017년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기성회연구비로 수행된 연구임
20/01/2019 30/01/2019 08/02/2019

Abstract


This study was identified the survey period and emergence of main species of dragonfly species, an indicator species that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 ecosystem. I surveyed the species and population of dragonflies once every two weeks from May 2015 to October 2016(29 times). From January to March, November and December were excluded from the cluster classification because the dragonflies were not observed. In April and October, the species was emerged but it was not suitable because it could not represent the time of the seasons. When we divide by month, it was able to judge from April to June as spring. Except the May, there were some changes due to rainfall and temperature, and sometimes June was included in the summer season. June, July and August correspond to summer, and September and October fall in Autumn. In June and October, the change was expected due to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o it was judged as a partial fit. Looking at the change of the species, Coenagrion johansson and Paracercion calamorum were increase at the spring, and then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 Paracercion calamorum, Anax nigrofasciatus, Lyriothemis pachygastra, Orthetrum melania were abruptly enlarge in summer. At last, Sympetrum kunckeli, Lestes temporaris tended to be higher in Autumn.



온대지역에 서식하는 잠자리의 적정 조사 시기 제안

이수동2*
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a 이 논문은 2017년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기성회연구비로 수행된 연구임

초록


습지의존종이면서 습지생태계의 질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종인 잠자리목의 조사 시기를 제안하고자 산청군내 7개소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주 간격으로 총 29회에 걸쳐 잠자리 종과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1~3월과 11월, 12월에는 잠자리목이 관찰되지 않아 조사 시기에서 제외하였다. 군집을 분류한 결과, 4~6월, 6~8월, 9~10월이 각각 다른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4월, 6월, 10월의 경우 강우, 기온 등의 영향으로 연도별 변화가 예상되어 조사 시기를 대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온대 지역의 잠자리 조사 시기에는 5월, 7~8월, 9월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의 변화는 봄철에는 참실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가, 여름철에는 고추잠자리, 등검 은실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큰밀잠자리 등이, 가을에는 큰청실잠자리, 흰얼굴좀잠자리 등의 출현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서 론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 순환 체계의 교란은 생태적인 측면 에서의 영향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의 가치 체계에도 직접적 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Wiensczyk et al., 2012). 온대지역에서 지구온난화는 봄 온도를 증가시켜 생 물계절학적 시기를 앞당기는데(Harrington et al., 1999;Root et al., 2003), 야생조류는 1960년대 이래로 1℃ 증가 시 산란 장소에 약 1~9일 일찍 도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 였다(Beaumont et al., 2006;Marica et al. 2005). 기후 변수 는 나비의 이른 비행 일자 변동을 약 85% 설명한다고 하였 는데(Roy and Sparks, 2000;Stefanescu et al., 2003) 중앙 캘리포니아에서는 23종 중 70%가 약 30년 동안 첫 비행시 간이 평균 24일 빨라진 것으로 밝힌 바 있다(Forister and Shapiro, 2003). 또한 육상에 서식하는 생물의 분포 변화는 중위도에서는 약 11m 위쪽 고도로, 고위도에서는 매 십년 간 16.9km 북상하는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Loarie et al., 2009;Chen et al., 2011). 기후 변화에 대한 생물종의 반응 은 생물계절학적인 변화를 의미하는데 이는 상호작용하는 종들 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다 (Parmesan, 2006;Yang and Rudolf, 2009). 지구온난화는 모든 분류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는데, 장 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 경향 파악과 더불어 적정 시 기 선정 등 조사 방법론에 대해서도 새로운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곤충 개체군은 출생, 사망, 이입, 이출의 변화에 기 인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는 데, 기후 변화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개체군 변동의 원 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Schowalter, 2006). 곤충은 서식처 조건과 자원의 질에 따라 반응하여 변화하는 데, 내성의 범위가 넓은 종이 지역적으로 풍부하며 크기도 큰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Gaston and Lawton, 1988). 일반 적으로 생태계 변화를 평가하는 모니터링은 지표종 또는 지표집단에 의존하는데, 지표는 민감해야하고 반응이 쉽게 측정되어야 한다(Clark and Samways, 1996). 잠자리는 미 성숙 단계에서는 수중에서, 성체도 보통 물 가까이에서 서 식하기 때문에, 비오톱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종으로 서의 적합성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Triplehorn and Johnson, 2005). 잠자리는 생태계 변화, 즉 환경 변화에 잘 견디고 교란된 서식지에서도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경향이 있어 지표종으로서의 가능성은 높다고 하 였다(Oppel, 2005). 한 분류군의 모니터링 결과는 다른 분 류군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하였으므로(Lawton et al., 1998) 습지의존종인 잠자리목에 대한 연구 결과는 습지에 서식하는 다른 종의 출현 시기, 빈도, 풍부도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니터링은 종의 상태, 보전우선순위, 관리행위에 대한 반응 여부를 관찰해야 하므로 대표되는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McCallum, 2005;Dunn et al., 2006). 변동 의 원인이 기후변화 뿐만 아니라 외부 요인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Svensson, 1978) 조사장소 및 시기를 통제할 수 있 는 부분에 대해서는 대표성을 띠거나 반복조사를 통해 오류 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Nichols, 1992;Dunn et al., 2006). 다만 앞서 언급하였듯이 시기에 대한 부분은 기후변 화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지역별 영향요인을 파악하 여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 지구의 온난화라는 과정에 서 봄, 가을의 생물계절학은 성장시기가 길어지는 변화에 반응할 것이지만, 변화에 따른 서식처 선정, 출현 시기, 종간 상호 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제한적이다(Ibáñz et al., 2010). 또한 종의 반응은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Ibáñz et al., 2010)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대표되 는 지역에 대한 반복 조사를 통해 지역별 조사 시기를 선정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Weller, 2012). 다만, 반복 조사는 비 용 대비 효용・효율성에 대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지역별 조사 시기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부 분 연구자들의 입장이다(Svensson, 1978;New Mexico Department of Game and Fish, 2010). 본 연구는 습지의존 종이면서 습지생태계의 질적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 종으로서 중요성이 높은 잠자리목을 대상으로 반복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사 시기와 주요 종의 출현 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산청군내 수변구역에는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매수된 토지 중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의 저감을 목적으로 총 33 개의 인공습지가 조성되었다(Bae and Lee, 2018). 조성된 인공습지 중에서 1년 내내 수면이 유지되어 습지의존종 및 이용종의 생물서식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7개소를 대상 으로 잠자리목을 반복 조사하여 조사 시기가 종구성에 영향 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종구성과 여러 환경 요인 중 온도와 조사하는 시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만, 온대 지역에 출현하는 다양한 잠자리목의 종 을 포함시키고자 다양한 수심과 환경 조건을 가진 습지를 선택하였다. 수심, 수면 등과 종구성과의 관계는 향후에 파 악하고자 하였다. 기후, 식생 등에 대한 동일성이 전제되어 야 생물상에 대한 비교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어 행정구역 을 통일하였다.

    Fgure 1은 연구대상지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과거 전, 답 등 농경지로 활용되었던 지역을 습지로 복원하였다. 잠자 리목의 출현종은 수심, 수면 면적,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달라 진다고 하였으므로(Ubukata and Kurauchi, 2007) 최대 수심 에 따라, 산림, 농경지 등 다양한 주변 환경이 포함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수심에 따라서는 수심 1m 이상인 깊은 습지, 평균 수심 0.2m 내외인 얕은습지, 0.5m 내외의 중간습 지를, 수면 면적을 고려하여 개방수면이 없는 묵논형과 개방 수면이 존재하는 웅덩이형을 각각 조사하였다(Table 1). 이 외에 다양한 생태계와 인접해 있는 경우에는 야생생물의 자연적인 유입이 가능하여 생물다양성에 대한 잠재성이 높 다고 하였으므로(Weller, 1999) 산림 인접형을 추가하였다.

    2. 연구방법

    습지 자체의 기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유식물, 부 엽식물, 정수식물이 출현하는 지역을 합산하여 추수식생대 의 면적을 산출하였고 수면, 건조지성 초본이 우점하는 곳, 기타 등으로 단순화하여 구분하였다. 이는 잠자리의 풍부도 가 정수식물 피도, 수심, 자갈과 모래의 비율과 같은 환경적 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므로(Ubukata and Kurauchi, 2007) 이를 바탕으로 구분하였다. 잠자리 조사구 설정은 수역과 육역을 각각 50% 포함하도록 조사구를 선정 하였다. 정수식물과 부유・부엽식물 조사와 수면 면적, 건조 지성 초본의 피복율은 식물 생육이 왕성한 7월에 항공사진 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잠자리의 출현은 시간의 빈도, 주위의 온도, 비행 시 빛의 강도, 다른 종과의 상호 작용의 영향을 받는데, 대부분 한낮 에 비행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하였다(Lutz and Pittman, 1970). 조사 시간은 이를 고려하여 오전 10시부터 시작하여 오후 3시 전에는 끝나도록 설정하였다. 잠자리 조 사는 각 조사구에서 약 10분 동안 비행하거나 정지하고 있 는 모든 잠자리목 성충에 대해 종명과 개체수를 기록하였 다. 잠자리는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정확하게 구분이 되 지 않는 종류는 망(지름 40cm)을 이용하여 채집하여 동정 하였다. 종 동정과 명명은 Jung(2007)를 참고하였다. 조사 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2주에 한 번씩 총 29회에 걸쳐 반복하였다.

    잠자리목의 조사 시기와 잠자리별 출현 시기를 제안하 고자 군집화를 실시하였다. 29개 조사 시기에 대해서는 classification에 의한 TWINSPAN 기법을 활용하여 구분하 였다. 이는 종구성이 유사한 시기를 군집화하여 하나의 계 절 또는 조사 시즌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은 출현 한 개체수의 편차가 커서 이를 보완하고자 각 시기에 출현 하는 개체수를 백분율로 표준화하여 군집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였다. 통계분석 시에는 상재도 20% 이상으로 확인된 종류를 대상으로 출현종의 개체수를 활용하여 종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은 R3.5.1 프로그램 을 활용하였다. 군집으로 분류된 시기에 출현하는 종의 상 대적 우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Curtis and McIntosh(1951) 의 중요치(Importance Percentage: I.P.)를 통합하여 백분율 로 나타낸 상대우점치를 분석하였다(Brower et al. 1998).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I.P.)는 각 종별 (상대 빈도+상대밀도)/2로 계산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지 개황

    Table 2는 잠자리목의 출현 현황을 조사한 대상지의 환 경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수면 면적은 잠자리목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Weller, 1999) 추수식생대는 우화 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므로 수면, 추수식생대, 건조식생, 기 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잠자리목은 수생식물이 풍부하 면서도 수면이 확보된 환경을 선호한다고 하여(Ubukata and Kurauchi, 2007) 다양한 환경을 가진 대상지를 선정하 였다. 수심에 따라 분류된 깊은습지, 중간습지, 얕은습지는 수면이 11.9%, 19.4%, 0.9%이었다. 깊은습지는 갈대, 달뿌 리풀, 부들 등이, 중간습지와 얕은습지의 부들, 나도겨풀 등 이 얕은 곳을 피복하고 있어 개방수면의 면적은 다소 협소 하였다. 묵논형습지, 웅덩이형습지는 자연적인 교란과 인공 적인 관리에 의해 수면이 15.4%, 35.6%로 넓었다. 묵논형 습지는 예초 등 관리되고 있어 식생 변화는 없었으나 강우 시 개방수면이 일시적으로 형성되었고 웅덩이형습지는 쑥, 강아지풀 등 건조지성 초본이 우점 했던 나대지를 습지로 복원하면서 증가하였다. 산림인접형습지 A, B의 경우 수면 이 각각 3.0%, 2.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갈대, 부들 등이 0.2m의 얕은 수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조사시기별 출현 현황 및 군집 분류

    시기별 잠자리 출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45종류의 잠자리가 출현하였다. 잠자리과가 21종으로 가장 많았고 실 잠자리과 10종, 왕잠자리과와 청실잠자리과가 각각 4종, 2 종이 관찰되었다. 이 외에 물잠자리과, 방울실잠자리과, 장 수잠자리과가 각각 1종, 측범잠자리과와 청동잠자리과가 각각 2종씩 확인되었다. 시기별 출현종 현황을 살펴보면 (Table 3), 종수는 5~35종, 개체수는 7~3,715개체가 확인되 어 월별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름철(7월)에 실잠 자리과에 속하는 종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 그 원인이었 다. 결국 부적합한 조사 시기 선정은 연구 또는 개발 대상지 에 출현하는 종과 개체수를 파악할 수 없거나 누락되는 경 우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시기별 출현 현황을 종합해보면(Table 3) 2015년에는 5월 말부터 9월 말까지 20종 이상 출현하였으나 그 이후 감소하 였고 2016년에는 5월 중순부터 8월까지 20종 이상 관찰되어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 종수 변화를 살펴보 면(Figure 2) 2015년과 2016년 모두 7월까지 증가하였다가 8월 이후에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고온에서 개체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라는 Pritchard(1991)의 연 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개체수의 경우에는 2회의 정점을 보 였는데 7월과 9월 경에 급격히 늘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개체수가 2016년에 감소한 것은 수심이 상대적으로 얕은 인공습지의 천이로 인한 수면 면적의 감소와 종간 경쟁 으로 인한 감소로 판단되었다.

    전체 조사 시기를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군집을 분류한 결과 출현하는 우점종에 따라 6개로 그룹 지어졌다. 하지만 년도별로 정확하게 시기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잠자리의 출현 시기가 기온, 강수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Clark and Samways, 1996). 군집 분 류 결과(Figure 3), 고추잠자리, 두점박이좀잠자리, 긴무늬 왕잠자리 등의 지표종에 의해서 분리되었다. 제Ⅰ Division 에서는 고추잠자리(S33), 등검은실잠자리(S02), 먹줄왕잠 자리(S17), 배치레잠자리(S28), 큰밀잠자리(S32)가 출현하 는 군과 출현하지 않는 군으로 분리되었다. 고추잠자리, 등 검은실잠자리 등 5종의 출현 빈도가 높은 제Ⅱ Division에 서는 두점박이좀잠자리(S37)와 대륙좀잠자리(S44)가 출현 하지 않는 군(f: plot15~18)과 출현하는 군으로 구분되었 다. 출현하는 군은 긴무늬왕잠자리(S19)가 출현하는 군(e: plot19~24)과 출현하지 않는 군(plot1~9)으로 구분되었다. 긴무늬왕잠자리(S19)가 출현하지 않는 군은 등검은실잠리 (S02), 참실잠자리(S07)가 출현하는 군(c: plot1~5)과 출현 하지 않는 군(d: plot6~9)으로 나누어졌다. 한편, 고추잠자 리(S33), 등검은실잠자리(S02), 먹줄왕잠자리(S17), 배치레 잠자리(S28), 큰밀잠자리(S32)가 출현하지 않는 군은 긴무 늬왕잠자리(S19)가 관찰되지 않았던 군(a: plot10~14, plot28, plot29)과 관찰된 군(b: plot25~27)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을 시즌으로 구분해보면, a군은 2015년 9월과 10월 이, b군은 2016년 10월이 포함되어 가을 시즌으로 분류할 수 있겠다. c군은 2015년 5월, 6월, 7월 초에 조사한 시기가 군집으로 묶여 초여름으로, d군은 2015년 7월과 8월로 구성 되어 여름 시즌이라고 볼 수 있었다. e는 2016년 6월 말, 7월, 8월에 조사한 시기가 하나의 군을 형성하고 있어 여름 에 해당되었고, f군은 봄(2016년 5월)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TWINSPAN의 군집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 간 종수 의 평균 차이를 검증하고자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4). 2015년 9월과 10월이 포함된 a, 2016년 10월인 b, 2015년 5월, 6월, 7월 초와 2016년 5월이 각각 조사 시기 인 c, f, 2015년 7월, 8월과 2016년 6월 말, 7월, 8월이 각각 포함된 d, e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r-square 0.738로 0.1% 유의수준에서 군집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 었다.

    3. 조사시기별 유사도지수

    Table 5는 조사 시기를 군집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위한 조사구간 유사도지수를 나타낸 것이다. 잠자리 군집의 종구 성 유사성과 관련된 연구가 드물어 나비, 수서곤충의 유사 성에 대한 고려한 결과 일반적으로 두 군집간 유사도가 50% 이상이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이를 고려하였 다(Lim et al., 2013; Kim et al., 2013). 조사구 간의 유사도 지수를 살펴보면, plot15, plot29와 다른 시기와의 유사도는 대부분 10% 미만으로 유사성이 가장 낮은 반면에, 인접한 조사 시기 간의 유사도는 60% 이상으로 멀리 떨어진 조사 시기보다 상대적으로 종구성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plot4와 plot5, plot9와 plot10 등이 75% 이상으로 높았고 각각 2015년과 2016년 6월과 7월이 조사 시기인 plot4, plot5와 plot19~22가 유사도 50% 이상으로 근접한 조사 시 의 종구성은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늦가을로 접어드는 2015년(plot13, 14), 2016년 하 순(plot27~29)과 초봄(plot15~18)은 인접한 시기와는 유사 도가 높았으나 여름 조사 시기와는 유사도가 낮았다. 특히, 초봄인 2016년 4월과 11월은 유사도가 10% 미만으로 이질 적인 종구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니터링은 종의 상태, 관리 행위 등에 대한 반응을 관찰해야 하므로 대표되 는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는데((Dunn et al., 2006;McCallum, 2005) 잠자리의 경우 계절별 출현종 의 이질성이 높으므로 조사 시기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군집별 출현종 특성

    Table 6은 군집 분류 결과 6개로 구분된 조사 시즌에 출 현하는 잠자리목의 상대우점치를 나타낸 것이다. a군은 2015년 9월과 10월이 포함되어 가을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아시아실잠자리(I.P. 40.6%)가 우점종이었고 푸른아시아실 잠자리(I.P. 15.2%), 밀잠자리(I.P. 7.1%), 두점박이좀잠자 리(I.P. 7.0%) 등이 주요 출현종이었다. b군은 늦가을(2016 년 10월)로, 아시아실잠자리(I.P. 23.7%), 푸른아시아실잠 자리(I.P. 113.6%), 애기좀잠자리(I.P. 11.6%)의 세력이 우세 하였고 노란잠자리(I.P. 8.9%), 두점박이좀잠자리(I.P. 8.9%), 왕등줄실잠자리(I.P. 7.6%), 노란실잠자리(I.P. 7.6%) 등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c군은 2015년 5월, 6월이 포함 되어 봄(일부 여름 포함)으로 구분하였는데 아시아실잠자 리(I.P. 27.0%)가 우점종이었고 노란실잠자리(I.P. 11.6%), 밀잠자리(I.P. 10.7%), 고추잠자리(I.P. 10.5%) 등이 관찰되 었다. d군은 여름(2015년 7월, 8월)으로 아시아실잠자리 (I.P. 41.4%)가 우점종이었고 노란실잠자리(I.P. 9.8%), 밀 잠자리(I.P. 9.1%) 등이 출현하였으나 밀도는 낮았다. e군은 여름(2016년 6월, 7월, 8월)에 해당되었고 노란실잠자리 (I.P. 23.3%), 밀잠자리(I.P. 11.5%), 아시아실잠자리(I.P. 10.8%)가 우점종이었고 배치레잠자리, 두점박이좀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등이 주요 출현종이었다. f군은 2016년 5월 이 포함되어 봄으로 구분하였는데 작은등줄실잠자리(I.P. 26.9%), 아시아실잠자리(I.P. 15.5%)가 우점종이었고 왕실 잠자리(I.P. 9.9%), 배치레잠자리(I.P. 9.0%), 중간밀잠자리 (I.P. 8.5%) 등이 주요 출현종이었다. 군집별 출현종의 세력 을 파악한 결과, 봄과 가을에 비해 여름에 실잠자리속의 우 점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연중 개체군 변동 (Figure 2)과 유사하였다.

    Figure 4는 군집별 잠자리과(family)에 속하는 종수의 변 화를 나타낸 것이다. 분류된 군집을 2015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순서대로 재배열(c → d → a → f → e → b)해서 살펴보면 출현 종수가 가장 많은 잠자리과(Libellulidae)와 실잠자리과(Agrionidae)의 변화 경향은 유사하였는데 여름 에 증가하였다가 가을, 봄에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왕잠자리과(Aeshnidae)에 속하는 종은 봄과 여름에 출현이 활발하였으나 가을에는 줄어들었다. 청실잠자리과(Lestidae), 방울실잠자리과(Plathcnemididae), 측범잠자리과(Gomphidae) 의 경우에는 큰 변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곤충은 계절 에 따라 주기적인 개체군의 변화를 보여주는데(Schowalter, 2006) 잠자리목의 경우에도 과(family)별로 다소 달라지기 는 하지만 봄에서 여름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가을에 감소 하는 일반적인 패턴은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상관관계

    조사결과 확인된 45종 중 상재도 20% 이상인 18종을 대 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Table 7), 통계적 유의성 (p<0.05)이 인정된 종은 16종이었다. 등검은실잠자리는 고 추잠자리, 대륙좀잠자리와, 큰밀잠자리는 등검은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 밀잠자리와, 대륙좀잠자리는 등검은실잠자 리, 왕잠자리,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는 상관계수값이 0.58~0.77의 범위에 있었다. 이 외에 아시아실잠자리는 왕 잠자리, 밀잠자리와, 왕실잠자리는 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와, 고추좀잠자리는 큰밀잠자리와는 상관계수 0.33~0.56의 범위에 있었다.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종은 서식지 및 출 현 시기를 공유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계 수가 낮거나 부의 관계인 종은 경쟁할 가능성이 높은 종으 로 애기좀잠자리-배치레잠자리(r=-0.41), 왕잠자리-노란잠 자리(r=-0.39), 왕잠자리-두점박이좀잠자리(r=-0.31)가 있 었다. 이 외에 좀청실잠자리, 고추좀잠자리 등은 다른 종과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Table 8

    종의 반응은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지역별 조사 시기를 특정하는 것을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Ibáñz et al., 2010). 2015년과 2016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1~3월과 11월, 12월에는 잠자리목의 출현이 없어 조사 시기에서 제외하였다. 군집을 분류한 결과, 4~6월, 6~8월, 9~10월이 각각 다른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4월, 6월, 10월의 경우 강우, 기온 등의 영향으로 연도별 변화가 예상되 어 조사 시기를 대표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변화가 있는 시기를 제외하면, 온대 지역의 잠자리 조사 시기에는 5월, 7~8월, 9월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은 지표종 또는 지표 집단에 의존 할 수밖에 없다고 하였는데(Clark and Samways, 1996) 시 기별 지표종으로는 봄의 경우 참실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의 출현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름은 고추잠자 리, 등검은실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배치레잠자리, 큰밀잠 자리 등이, 가을은 고추잠자리, 등검은실잠자리, 먹줄왕잠 자리, 배치레잠자리, 큰밀잠자리 등 5종의 출현빈도가 낮아 지면서 큰청실잠자리, 흰얼굴좀잠자리 등의 출현빈도가 높 아지는 경향이었다.

    Figure

    KJEE-33-1-16_F1.gif

    Location map of constructed wetlands in Dansung-myeon Sancheong-gun, Korea.

    KJEE-33-1-16_F2.gif

    Variation of observed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by each survey period

    KJEE-33-1-16_F3.gif

    Dendrogram of 29 sites classified by TWINSPAN

    KJEE-33-1-16_F4.gif

    Variation of observed species(each family) numbers by each survey period

    Table

    General status and land use before construction of each constructed wetlands

    Landuse, vegetation, and open water coverage percentage of each wetlands

    Observed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of each survey period

    Results of ANOVA between each communities

    Similarity index among 29 survey seasons

    Importance percentage of each species in 6 communities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species of dragonflies appearing

    Suggestion of investigation period of dragonflies in Southern part of Korea

    Reference

    1. Bae, S.H. and S.D. Lee(2018)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lan of Constructed Wetland for Promoting Biodiversity . J. People Plants Environ.21(3): 185-202.
    2. Beaumont, L.J. , I.A.W. McAllan and L. Hughes(2006) A matter of timing: changes in the first date of arrival and last date of departure Australian migratory birds . Global Change Biology12: 1339-1354.
    3. Brower, J.E. , J.H. Zar and C.N. von Ende(199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CB/McGraw Hill. Boston, U.S.
    4. Chen, I.C. , J.K. Hill, R. Ohlemüller, D.B. Roy and C.D. Thomas(2011) Rapid Range Shifts of Species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Climate Warming . Science333: 1024-1026.
    5. Clark, T.E. and M.J. Samways(1996) Dragonflies(Odonata) as indicators of biotope quality in the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 Journal of Applied Ecology33(5): 1001-1012.
    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 Ecology31: 476-496.
    7. Dunn, E.H. , J. Bart, B.T. Collins, B. Craig, B. Dale, C.M. Downes, C.M. Francis, S. Woodley and P. Zorn(2006) Monitoring bird populations in small geographic areas. Special publication Canadian Wildlife Service, Ottawa.
    8. Forister, M.L. and A.M. Shapiro(2003) Climatic trends and advancing spring flight of butterflies in lowland California . Glob. Change Biol.9: 1130-1135.
    9. Gaston, K.J. and J.H. Lawton(1988) Patterns in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insect populations . Nature331: 709-712.
    10. Harrington, R. , I. Woiwood and T.H. Sparks(1999) Climate change and trophic interactions . Trends in Ecol. Evol.14: 146-150.
    11. Ibáñz, I. , R.B. Primack, A.J. Miller-Rushing, E. Ellwood, H. Higuchi, S.D. Lee, H. Kobori and J.A. Silander(2010) Forecasting phenology under global warming . Phil. Trans. R. Soc. B365: 3247-3260.
    12. Jung, K.S. (2007) Odonata of Korea Ilgongyouksa, Seoul.
    13. Kim, D.S. , D.S. Park, H.S. Oh, D.H. Kim and J.C. Jeong(2013)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onal Park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2): 196-203.
    14. Lawton, J.H. , D.E. Bignell, B. Bolton, G.F. Bloemers, P. Eggleton, P.M. Hammond, M. Hodda, R.D. Holt, T. B. Larsen, N.A. Mawdsley, N.E. Stork, D.S. Srivastava and A.D. Watt(1998) Biodiversity inventories, indicator taxa and effects of habitat modification in tropical forests . Nature391: 72-75.
    15. Lim, H.M. , Y.H. Cho, Y.J. Park, Y.G. Han and S.H. Nam(2013) A Comparative Study ofInsect Community at Streamside zones at the Daejeon and Yudeung Streams . Korean J. Environ. Ecol.27(1): 30-51.
    16. Loarie, S.R. , P.B. Duffy, H. Hamilton, G.P. Asner, C.B. Field and D.D. Ackerly(2009) The velocity of climate change . Nature462: 1052-1055.
    17. Lutz, P.E. and A.R. Pittman(1970) Som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a Community of Adult Odonata . Ecology51(2): 279-284
    18. Marica, P.P. , C.M. Francis, R.S. Mulvihill and F.R. Moore(2005) The influence of climate on the timing and rate of spring bird migration . Oecologia142: 307-315.
    19. McCallum, D.A. (2005) A conceptual guide to detection probability for point counts and other count-based survey methods. USDA Forest Service Gen. Tech. Rep. PSW-GTR-191.754-761.
    20. New Mexico Department of Game and Fish(2010) Baseline wildlife study guideline.
    21. Nichols, J.D. (1992) Capture-recapture models: Using marked anim alsto study population dynamics . BioScience42(2): 94-102.
    22. Oppel, S. (2005) Habitat associations of an Odonata community in a lower montane rainforest in Papua New Guinea .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ology8(2): 243-257.
    23. Parmesan, C. (2006) Ecological and Evolutionary Responses to Recent Climate Change . Annu. Rev. Ecol. Evol. Syst.37:637-669.
    24. Pritchard, G. (1991) Insects in thermal springs . Mem. Entomol. Soc. Can.155: 89-106.
    25. Root, T.L. , J.T. Price, K.R. Hall, S.H. Schneider, C. Rosenzweigk and J.A. Pounds(2003) Fingerprints of global warming on wildanimals and plants . Nature421: 57-60.
    26. Roy, D.B. and T.H. Sparks(2000) Phenology of British butterflies and climate change . Glob. Change Biol.6: 407-416.
    27. Schowalter, T.D. (2006) Insect ecology: An ecosystem approach. MA, USA, Elsevier.
    28. Stefanescu, C. , J. Peñuelas and I. Filella(2003) Effects of climatic change on the phenology of butterflies in the northwest Mediterranean Basin . Glob. Change Biol.9: 1494.
    29. Svensson, S.E. (1978) Efficiency of two methods for monitoring bird population levels: breeding bird census contra counts of migrating birds . OIKOS30: 373-386.
    30. Triplehorn, C.A. and N.F. Johnson(2005) Borror and Delong’s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Belmont, CA, Thomson Brooks/Cole.
    31. Ubukata, H. and Y. Kurauchi(2007) Assessment of lake environment using dragonfly assemblage: A case study at Lake Takkobu, Kushiro Marsh, northern Japan . Japanese Journal of Limnology68: 131-144.
    32. Weller, F. (2012) A comparion of different approaches to monitoring bird density on New Zealand sheep and beef farms . New Zealand Journal of Ecology36(3): 1-9.
    33. Weller, M.W. (1999) Wetland birds-Habitat resource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34. Wiensczyk, A. , D. Gayton, T. Redding, J. Leach, K. Swift, S. Ran, A. Krishnaswamy, E. Simmons, L. Joseph, P.L. Almuedo and D. Cuzner(2012) Climate-induced changes to natural disturbance regimes and management responses in British Columbia: Impacts on natural and human systems. FORREX Forum for Research and Extension in Natural Resources, Kamloops, B.C. FORREX Series 28. URL: http://www.forrex.org/sites/default/files/forrex_series/FS28-Chapter-1-Introduction.pdf
    35. Yang, L.H. and V.H.W. Rudolf(2009) Phenology, ontogeny an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timing of species interactions . Ecology Letters12: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