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6 No.6 pp.923-933
DOI :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훼손 실태 및 복원방안 연구1

한봉호2, 기경석3*, 노태환4
2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3도시생태학연구센터, 4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본 연구는 최근 이용압력이 높은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숲길의 분포와 훼손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도심 내 숲길 정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초안산근린공원 숲길(25,964m)의 훼손 현황 중 노폭2m 이상 20.3%, 침식 깊이 30㎝ 이상 36.3%, 훼손이 심한 형태인 나지침식이나 근계노출, 암석노출 구간 47.0%이었고,환경피해도 등급 Ⅳ 이상이 70.6%로 숲길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훼손이 심한 숲길 노선은 대부분 주능선을따라 형성된 주요 숲길과 저지대 급경사 숲길, 주요 숲길과 연결된 샛길이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초안산근린공원숲길의 복원유형을 숲길 확산방지, 숲길 지반안정, 숲길 노면정비,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유지 등 5가지로 구분하였고,유형별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숲길 확산방지는 나지가 노출되어 있는 숲길 폭원 확대를 방지하고, 숲길 지반안정은숲길 내 침식 및 뿌리노출을 방지하며, 숲길 노면정비는 훼손이 심각한 숲길의 노면을 목재데크, 목재계단, 노면 포장실시 등을 통하여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Status of Damage and Restoration Planning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Seoul, South Korea¹

Kyong-Seok Ki3*, Bong-Ho Han2, Tai-Hwan Noh4
3Urban Ecology Research Center
2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Seoul, 4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 of Seoul
Received 1 November 2012, Revised(1st: 22 December 2012), Accepted 23 December 201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argeting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in Seoul of South Korea, whose levelof visitation and use pressure has been recently increasingly high, was to understand distribution and damagestatus of forest trail and accordingly, set up direction of how to improve forest trail in urban area. With regardsto current damage on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the damaged trail with road width ofover 2m and with erosion depth of over 30㎝amounted to 20.3% and 36.3% respectively. And the trail sectionwith bare land erosion, root exposure or rock exposure and the section whose impact rating class exceeded Ⅳoccupied 47.0% and 70.6%, indicating the forest trail was severely damaged. The severely injured trail routemainly included the main forest trail formed along the main ridge, the byroad connected to the main forest trailand the steep forest trail in low-lying a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ve types of restoration of forest trail inChoansan(Mt.) Neighborhood Park were offered, including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stabilizationof forest trail bas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closing forest trail and maintenance. Ecological restoration was additionally offered. The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wasplanned to prevent expanded width of forest trail where bare land was exposed. The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base was planned to prevent erosion in the forest trail and exposure of roots. The maintenance of forest trailsurface was planned in a way to protect the severely damaged forest trail surface by using wood deck and woodstairs and surfacing the road.

26(6)-08 KE2012-93 기경석.pdf10.87MB

서 론

 우리나라에서 걷기와 등산활동은 생활체육 유형중 선호도가 각각 1, 2위로 가장 인기 있는 취미활동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인구(37백만명 기준)의 약81.3%가 연 1회 이상 산행에 참여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1). 연 1회 이상 산을 찾는 인구는 30,081천명이고, 월 1회 이상은 15,022천명이며, 한 달에 1회 산행인구는 2006년 23.3%에서 2010년 25.8%로 약 2.5% 증가하였다(Korea Forest Service, 2011). 향후 주5일 근무제의 확대시행 및 정착에 따른 도시민들의 여가시간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웰빙문화의 확산 등으로 산행문화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동안의 우리나라 숲길 이용 패턴은 정상정복형 등산활동 행태로 이루어져 지속적으로 훼손되었으며, 이에 따라 숲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국립공원 및 백두대간 등 보호지역 내 분포한 등산로의 이용행태, 등산로 훼손 실태 및 정비에 관한 연구(Park and Bang, 2000; Kwon et al., 2004; Kwon et al., 2005; Jeong and Kwon, 2008; Park et al., 2010; Cho, 2012)와 등산로 및 숲길 이용에 따른 영향 및 이용객 인식 연구(Yoo and Kim, 2009; Lee et al., 2011; Yoo, 2011; Son and Ha, 2012)가 주로 이루어졌다. 숲길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이용객들에 의한 물리적인 인간간섭은 숲길의 노면침식과 세굴, 노폭의 확장, 샛길의 증가 등이 야기되며(Kwon et al., 2004; Kwon et al., 2005), 이는 자연식생과 야생동물 서식처의 훼손으로 이어져 자연생태계에 대한 훼손이 가중된다고 하였고 (James et al., 1979), 계속되는 과잉이용은 생태계의 자연적인 재생이나 회복마저 불가능하게 하고(Jo et al., 1987), 이용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Kim and Park, 1998). 

 도심 내 산림의 경우 도시화로 인해 산림이 고립되고 사방에서 연결되는 진출입로와 더불어 과도한 압력으로 샛길의 발생과 숲길의 훼손이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숲길에 대한 보전과 이용에 적절한 관리전략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 도봉구와 노원구의 경계에 위치한 초안산근린공원은 조선시대 내시들의 무덤이 있는 산림으로 사적 439호로 지정되어 있다. 흔히 “내시묘”로 잘 알려진 이 무덤군은 내시들의 무덤뿐만 아니라 단장이 잘 된 이름 있는 문중의 선산도 있어 조선시대의 ‘공동묘지’였을 것으로 추측된다(Lee, 2012). 1971년 8월 6일 건설부고시 제465호로 월계공원으로 지정되었고(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1997), 1997년 초안산근린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최근 도시민들의 고밀 이용에 의한 생태계 교란 및 무분별한 샛길 발생에 대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강도가 높아 숲길 훼손이 심하고 샛길이 많은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숲길의 분포와 훼손 실태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복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본 연구의 대상지인 초안산근린공원은 행정구역상 서울 특별시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걸쳐있는 대규모 도심 내부에 위치한 잔존산림으로 최고 표고는 114m이다. 남북으로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산림 내 계곡부에 조성되었고, 서측으로는 고밀도 다세대 주거지가 접해있으며, 동측으로 녹천역과 월계역이 인접해 있어 산림 전체적으로 진출입로가 분포하고 있어 무분별하게 샛길이 형성된 산림이다 (Figure 1).

Figure 1. Location map of study site

 본 연구는 도심 내 산지형 근린공원의 숲길 훼손 실태 및 복원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자연적으로 발생한 샛길을 포함하여 총 25,964m 구간을 2007년 9월에 조사하였다.

2. 조사분석방법

 숲길 노선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모든 숲길을 현장조사를 통하여 1/1,000 수치지형도에 도면화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숲길 주변의 훼손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rapid survey technique(Cole, 1983)를 참고로 훼손현황을 조사ㆍ분석하였다. 숲길 현황 조사는 조성 형태, 노폭, 침식 깊이, 암석과 뿌리노출 유무 등을 조사하였고, 환경피해도 등급을 산정하였다. 환경피해도 등급은 Frissell(1978)이 제안한 condition rating class(5등급)를 우리나라 산림과 이용 특성을 감안하여 보완한 Kwon et al.(1991)의 환경피해도 등급 기준(Table 1)을 적용하여 조사한 뒤 도면화하였고, 길이 및 비율을 산정하였다.

Table 1. Human impact rating classes and specification of forest environment

숲길 훼손 구조는 사면부와 능선부의 훼손 현황을 비교하기 위하여 폭 10m, 길이 60m의 Belt-transect 2개소를 사면부(A-A')와 능선부(B-B')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식생조사는 조사구 내에서 출현하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수종명,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관목층은 수종명, 수고, 수관폭을 측정하였고 평면도와 입면도를 작성하였다. 

측정한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숲 내부와 숲길의 구간별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나지비율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종다양도지수는 식생구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으로(Krebs, 1985) 녹지의 안정성을 유추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지역의 종다양성을 같은 척도로 비교할 수 있다. 종구성 상태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희귀종(rare species)을 강조한 Shannon지수 (Pielou, 1975)의 수식에 따라 종다양도지수(species diversity: H')를 산출하였다. 

 숲길 복원방안은 주요 숲길을 유지하고, 무분별하게 이용되는 샛길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유지 노선에 대해 훼손 유형별 복원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숲길 훼손 현황

1) 조성 형태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조성 형태 현황을 살펴보면(Table 2, Figure 2), 숲길의 총 길이 25,964m 중 흙이 20,376m(78.5%)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그 외에는 목재계단 5,300m(20.4%), 고압블록 135m(0.5%), 목재데크 119m(0.5%), 자갈포장 34m(0.1%) 순이었다. 대부분의 조성된 숲길은 저지대 및 경사지에 분포하였으며, 특히 목재계단은 사면부 경사지 숲길에 조성되어 있었다.

Table 2. Length and ratio for establishment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2. Establishment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2) 노폭

 Table 3과 Figure 3은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노폭별 길이 및 비율과 노폭 현황도이다. 전체 숲길 중 노폭이 가장 많이 분포한 유형은 1~2m 미만(14,135m, 54.4%)이었으며, 1m미만 6,559m(25.3%), 2~3m 미만 3,807m(14.7%), 3m 이상 1,463m(5.6%) 순이었다. 노폭이 넓은 노선은 대부분 주요 숲길 노선이거나 연결된 샛길이 대부분이었다. 노폭이 넓은 노선은 산림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노폭이 좁은 노선은 저지대 샛길이었다.

Table 3. Length and ratio for road surface width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3. Road surface width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미국에서 하이커(hiker)를 위한 탐방로(trail) 설계기준 (Wenger, 1984)으로 제시된 노폭 0.6~1.2m와 비교할 때 초안산근린공원의 숲길은 이용압력을 심하게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숲길 노폭의 확산은 이용객 수와 이용집단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높다는 선행연구 결과(Bayfield, 1973; Cole, 1983)를 고려하였을 때, 이용밀도가 높은 초안산근린공원의 숲길은 지속적으로 노폭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3) 침식 깊이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침식 깊이 현황을 살펴보면 (Table 4, Figure 4), 전체 숲길 중 10~20㎝ 미만이 7,459m(28.7%)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20~30 ㎝ 미만 7,046m(27.1%), 30~40㎝ 미만 5,905m(22.7%), 50 ㎝ 이상 2,717m(10.5%), 10㎝ 미만 2,044m(7.9%), 40~50 ㎝ 미만 793m(3.1%) 순이었다. 침식 깊이가 심한 30㎝ 이상 노선은 대부분 주요 숲길 노선이거나 연결된 샛길이 대부분이었고, 침식 깊이가 약한 10㎝ 미만 노선은 저지대에 분포한 샛길이었다.

Table 4. Length and ratio for erosion depth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4. Erosion depth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4) 훼손 형태

 Table 5와 Figure 5는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훼손 형태별 길이 및 비율과 훼손 형태 현황도이다. 전체 숲길 중 훼손 형태가 가장 많이 분포한 유형은 나지(12,965m, 49.9%)이었으며, 가장 적게 분포한 유형은 암석노출(244m, 0.9%)이었다. 그 외에는 나지침식+근계노출 4,973m(19.2%), 나지침식 3,826m(14.7%), 근계노출 3,162m(12.2%), 자연상태 794m(3.1%) 순이었다. 훼손 형태가 심한 근계노출, 나지침식, 암석노출 등은 주로 경사지 숲길에 주로 분포하였고, 자연상태인 노선은 저지대에 분포한 샛길이었다. 나지, 근계노출, 나지침식, 암석노출 등의 훼손 형태는 산악자전거 이용, 산림 내 산재해 있는 소규모체육시설 이용, 수용력을 넘은 이용자수 등 이용자의 과도한 이용에 의한 답압이 원인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답압은 근계노출, 나지침식, 암석노출 등은 물론 숲길 주변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5. Length and ratio for damaged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5. Damaged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2. 환경피해도 등급

 Table 6은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환경피해도 등급별 길이 및 비율을 제시한 것이다. 전체 숲길 중 등급 Ⅴ가 10,657m(41.0%)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등급 Ⅳ 6,131m (23.6%), 등급 Ⅲ 4,683m(18.0%), 등급 Ⅱ 2,152m(8.3%), 등급 Ⅵ 1,547m(6.0%), 등급 Ⅰ 794m(3.1%) 순이었다.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훼손 실태를 살펴보면 총 길이 25,964m 중 나지가 75% 이상 발달하는 등급 Ⅳ 이상이 18,335m(70.6%)로 과중한 이용압력에 의해 날로 훼손되어 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훼손과 침식이 가장 심한 등급 Ⅵ 구간도 1,547m(6.0%)이었고, 전체적으로 초안산근린공원의 숲길은 나지가 발달하여 침식이 일어난 형태로 숲길 훼손이 심각한 상태였다. 훼손 정도는 주능선을 따라 형성된 주요 숲길과 저지대 급경사지 숲길, 주요 숲길과 연결된 샛길이 심각하였다(Figure 6).

Table 6. Length and ratio for impact rating class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6. Impact rating class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3. 숲길 훼손 구조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훼손에 의한 식생구조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 숲길을 대상으로 사면부와 능선부에 Belt-transect 각각 1개소씩을 설치하였다. Table 7은 초안 산근린공원 숲길 사면부 및 능선부 훼손지역의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나지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종수 및 개체수 분석결과 사면부 및 능선부 모두 숲길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면부보다 능선부에서 종수 및 개체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Table 7. Damaged structur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종다양도 분석결과 숲길에서 멀어질수록 대체로 종다양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0~20m, 40~50m 구간에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경미한 피해지에서 식물 종수가 높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Coombs, 1976; Choi and Lee, 1994)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경미한 피해지가 지속적으로 훼손을 받아 심피해지가 되면 종다양도는 급격히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지비율은 사면부 숲길에서는 20~30m 구간 49.2%, 30~40m 구간 21.0%이었고, 능선부 숲길에서는 20~30m 구간 40.8%, 30~40m 구간 9.6%이었다. 사면부 및 능선부 모두 20~30m 구간에서 40.8~49.2%로 나지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구간에서도 식생이 피복되지 않은 구간은 낙엽이 쌓인 나지로 이용 압력에 의해 숲길 주변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사료된다. 

Figure 7은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사면부 대규모 훼손지역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교목층에는 아까시나무와 상수리 나무가 우점종이며, 아교목층은 아까시나무, 층층나무, 산벚나무가 우점종이고, 관목층에서는 찔레꽃, 산딸기, 누리장나무, 아까시나무 등이 주요 출현종이었다. 숲길 주변으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였으며, 숲 내부로 들어갈수록 관목층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 수종을 살펴보면 숲길 가장자리 주변에는 산딸기, 찔레꽃 등 산림 주연부 수종들이 주로 출현하였으며, 숲 내부에는 상수리나무, 노린재나무, 산벚나무 등 낙엽활엽수가 출현하였다. 

Figure 7. Vegetation structure in slope(A-A') of damaged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8은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능선부 대규모 훼손지역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교목층에는 아까시나무와 상수리나무가 우점종이며, 아교목층은 팥배나무, 상수리나무, 아까시나무가 우점종이고, 관목층에서는 땅비싸리, 산딸기, 아까시나무, 신갈나무, 노린재나무 등이 주요 출현종이었다. 사면부 숲길과 마찬가지로 숲길 주변으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였으며, 숲 내부로 들어갈수록 관목층의 피도가 높게 나타났다. 출현 수종을 살펴보면 땅비싸리, 국수나무, 산딸기 등이 출현하였고, 숲길 주변에는 수목이 생육하고 있지 않았다.

Figure 8. Vegetation structure in ridge(B-B') of damaged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4. 숲길 복원방안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복원방안은 숲길 확산방지, 숲길 지반안정, 숲길 노면정비,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현재상태의 유지 등 5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Table 8). 숲길 확산방지는 환경피해도 등급 Ⅱ, Ⅲ으로 나지가 노출되어 있는 숲길폭원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노선이며, 숲길 지반안정은 숲길 내 침식 및 뿌리노출이 있는 환경피해도 등급 Ⅳ, Ⅴ으로 숲길 침식방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숲길 노면정비는 환경피해도 등급 Ⅵ으로 훼손이 심각한 숲길의 노면을 목재데크, 목재계단, 노면 포장 실시 등을 통하여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은 현재 이용이 적은 숲길구간과 분기된 샛길 중 중요도가 낮은 노선을 설정하였다. 현재 양호한 숲길로 유지되고 있는 구간은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구간으로 설정하였다. 

Table 8. Restoration methods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특히 훼손 정도가 심각한 등급 Ⅳ 이상 구간은 나지비율이 75% 이상으로 자연적인 식생회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인위적인 복원이 뒤따르지 않을 경우 훼손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큰 곳으로(Oh, 1991; Kwon et al., 1994) 시급한 복원이 필요하며, 복원 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변화상태 점검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숲길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해서는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나지의 확산 방지 및 복원, 산림 내부에 산재하여 분포하고 있는 소규모체육시설,배드민턴장 등의 관리와 산악자전거를 이용하는 행위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Table 9와 Figure 9는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복원 유형별 길이 및 비율과 복원 구상도이다. 초안산근린공원 전체 숲길 정비 유형 중 숲길 지반안정이 12,269m(47.2%)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고, 다음으로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7,652m (29.5%), 숲길 확산방지 4,587m(17.7%), 숲길 노면정비 1,262m(4.9%), 유지 194m(0.7%) 순이었다.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구간은 주로 산림 저지대에 분포한 이용이 적은 숲길과 주요 숲길과 연결된 샛길 구간이었고, 숲길 훼손 상태가 심각한 노선을 대상으로 한 숲길 노면정비 구간은 주로 급경사지 사면부 숲길이 해당되었다. 

Table 9. Length and ratio for restoration type of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Figure 9. Restoration plan for forest trail in Choansan (Mt.) Neighborhood Park

 Figure 10은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복원 구조 구상도를 제시한 것이다. 숲길 복원은 노폭을 2m 이하로 노면을 정비하고, 숲길 경계는 주변 자연환경과 어울리는 경계시설이나 밀식이 가능한 주연부식생으로 조성하여 이용자의 침입을 방지한다. 산림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서는 숲길에 의한 훼손 및 교란 지역에 대한 자연적인 생태학적 복원이 이루어져야 하므로(Lee et al., 2008) 노폭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숲길 주변에 아교목층에는 졸참나무, 신갈나무 등을 관목층에는 국수나무, 찔레꽃, 노린 재나무 등 자생수종을 식재하여 숲길의 경계를 명확하게 정비하고 불필요하게 훼손이 확대되고 있는 지역은 토양과 식생복원을 실시한다. 또한 숲길 정비 시 노면정비와 부대시설 공사와 함께 훼손된 주변지역의 지형복구와 복원, 지반안정과 식생복원 공사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Cho et al., 2004). 숲내부 나지는 내부로의 이용자 유도를 방지하여 천이유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복원되도록 한다.

Figure 10. Restoration structure plan for damaged forest trail in Choansan(Mt.) Neighborhood Park

 본 연구는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을 대상으로 도심 내산지형 근린공원의 숲길 훼손 실태를 분석을 통해 복원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도심 내 숲길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다만 이용객수, 이용행태, 통행패턴 등의 다양한 분석을 통해 세부적인 관리방안 제시는 미흡하였다. 도심 내 숲길은 최근 이용량이 증가하는 실태를 보면 중요한 역할과 가치를 고려할 때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

1.Bayfield, N.G.(1973) Use and deterioration of some scottish hill paths. J. Appl. Ecol. 10: 635-644.
2.Cho, W.(2012) Deterioration Status of Closed-Trail of National Park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Korea. Kor. J. Env. Eco. 26(5): 827-8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Cho, W., K.I. Oh and J.N. Bae(2004) Trail Deterio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uth-North Green Corridor in Incheon, Korea - A Case Study of Mountainous Type Urban Natural Parks -. Kor. J. Env. Eco. 18(4): 359-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Choi, S.H. and K.J. Lee(1994) A Study on the injury of Nature Environment in Chŏngnŭng Valley of Mt. Puk'an - In the Case of Trail and Rest A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4): 83-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1997) Mountain of Seoul. Seoul, 478pp. (in Korean)
6.Cole, D.N.(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10pp.
7.Coombs, E.A.K.(1976) The impacts of camping on vegetation in the Bighorn Crags, Idaho Primitive Area. M. S. thesis. Univ. Kdaho, Moscow, 63pp.
8.Frissell, S.S.(1978) Judgi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 J. of For. 76: 481-483.
9.James, T.D., D.W. Smith, E.E. Mackintosh, M.K. Hoffman and P. Monti(1979) Effects of camping recreation on soil, jack pine, and understory vegetation in a Northwestern Ontario Park. Forest Science 25(2): 333-349.
10.Jeong, W.O. and H.G. Kwon(2008) Trail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evaluation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n J. of Forest Recreation 12(1): 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Jo, H.K., K.J. Lee and K.K. Oh(1987) A Study on Impacts of Camping Recreation on Vegetation and Soil - The Case of Hwaum-Temple District Campsite in Mt. Jiri National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4(3): 2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Kim, S.C. and C.M. Park(1998) Study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Use Impacts in Moaksan Provinci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5(4): 39-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Korea Forest Service(2011) Master Plan of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Forest Trail for Conservative Application for the Promotion of Forest. Korea Forest Service, 85pp. (in Korean)
14.Krebs, C.J.(1985) Ecology. N. Y., Harper Low, 800pp.
15.Kwon, T.H., D.W. Kim and J.W. Lee(2005) Trail Deterioration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9(2): 130-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Kwon, T.H., J.W. Lee and D.W.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eogyusan and Sosagogae-. Kor. J. Env. Eco. 18(2): 175-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Kwon, T.H., K.K. Oh and J.W. Lee(1994)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Tŏkyusan National Park. J. Kor. App. Eco. 7(2): 241-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Kwon, T.H., K.K. Oh and S.D. Kwon(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J. Kor. App. Eco. 5(1): 9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Lee, H.R., J.J. Kim, E.K. Cho, M.J. Kang and S.Y. Han(2011)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Jirisan Trail of Korea. Jour. Korean For. Soc. 100(2): 273-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Lee, W.S., K.H. Park and D.P. Kim(2008) The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Effect of Forest by Trail-Building. Kor. J. Env. Eco. 22(2): 128-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Lee. H.W.(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Planting of Mountainous Neighborhood Park Facility Area -In Case of Choansan Neighborhood Park, Seoul-.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21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Oh. K.K.(1991) Studies on Restoration of Forest-Floor Vegetation Devastated by Recreational Trampling -A Case Study of the Mt. Kwanak Region-.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Philosophy,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8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Park, E.H., T.I. Kim, W.O. Jeong, H.G. Kwon and P.H. Jeong(2010) Trai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type of Jirisan National Park Chilseon Valley. Korean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14(2): 9-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Park, J.G. and W.B. Bang(2000)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ople's Mountaineering the Puk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13: 721-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65pp.
26.Son, J.W. and S.Y. Ha(2012) A Study on Visitor's Behavior as a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Forest Trails. Jour. Korean For. Soc. 101(2): 309-3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Wenger, K.F.(ed.)(1984) Forestry handbook(s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1,335pp.
28.Yoo, K.J. and J.M. Kim(200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il Use and Trail Users' Perception Regarding Visitor Impact Levels on Baekdudaegan Trails of Korea. Kor. J. Env. Eco. 23(6): 603-6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Yoo, K.J.(2011) A Study on the Use Impact on the Trail in Gwanak Mountain, Korea. Kor. J. Env. Eco. 25(1): 111-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