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27 No.6 pp.777-793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13.27.6.777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탐방환경 평가와 개선방안1a
-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중심으로 -

이경찬2, 김남조3*
2한양대학교 관광학과
3한양대학교 관광학과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생태공원의 탐방환경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개선해야 될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바람직한 생태공원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문헌고찰과 법적 기준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조사항목을 선정하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공원 내 단위시설에 서는 모든 시설에서 손잡이가 미설치되어 있어 탐방객의 이동성이 부족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위시설은 유니버설 디자인측면에서 고려가 되어져 있지만 실제 법적 기준과는 상이한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사용편리성에 초점을 맞추어 세부적인 기준을 반영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존별 탐방구간에서는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용 시설은 모두 미설치되어 있으며, 바닥높이차가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독립적인 탐방활동을 제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법적 기준이 단위시설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생태 공원과 같은 넓은 장소에 적용 가능한 기준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원과 같은 대규모 활동공간에 알맞은 유니버설 디자인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단위시설에 대한 보완도 중요하지만 생태공원내 체험활동공간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 것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An Visiting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Ecological Park of Sun-Cheon Bay¹a -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Principle -

Nam-Jo Kim3*, Kyung-Chan Lee2
3Dept. of Tourism, Hanyang Univ., Seoul(133-791), Korea
2Dept. of Tourism, Hanyang Univ., Seoul(133-791), Korea
Received 1 September 2013; Revised (1st: 9 December 2013, 2nd: 10 December 2013); Accepted 11 December 20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reference for appropriate ecological park planning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inviting environment of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within the framework of‘universal design. For this, investigating items were se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legal standard of ecological park suggested by laws. Field survey on Suncheon Bay Ecological Park was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ing analy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guided handles of any facilities were not equipped, so urgent supplementation is needed with legal standard of universal design. Especially, detailed criterion of universal design focusing on visitors' convenience should be reflected. Second, all facilities for the blind were not equipped and the floor height of entrance was also unsuitable. It implies that the disabled and the senior are restrained from doing independent activity, therefore, appropriate standard focusing on ‘universal design’ for the wide open activity space such as the park area should be re-provided. Finally, guidelines for applicable universal design of the activity space for the experience on the ecological park should be re-established.

0054-01-0027-0006-12.pdf2.16MB

서 론

  생태공원이란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에 인간이 자연을 학습하고 휴식 등의 기능을 더한 공원을 말한다(Kim,2008). 또한 자연환경을 최대한 이용하여 방문객의 생태환경과의 접촉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관찰, 해설 활동을 통해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는데 그 역할이 있다(Kim, 2003). 이와 같이 생태공원은 국민 모두가 이용하는 대표적인 관광공간으로서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조성하는 대표적인 장소로서 누구나 이용 및 접근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차별을 두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사회변화 중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인구의 고령화는 2026년에 65세 이상의 인구가 20.8%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된다(NSO, 2011). 이러한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는 기존에 부각되지 않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발생시키는데, 예를 들면, 도덕적 가치관의 혼란, 집단(세대간, 지역간, 계층간)간의 갈등, 보건·복지 및 노인 소외문제 등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킨다(Kim,2004). 앞으로는 여성, 노인, 어린이, 장애인 및 다문화 가정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사회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며 삶에 있어 양적 확대보다는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주관적인 삶의 만족감은 인간생활에 있어 기본적이고 하위단계인 의식주 등의 욕구에서 사회적 욕구의 단계에이어 자아실현 욕구의 상위단계로 점차적으로 욕구가 이동된다는 점이다(Lim, 2012). 이는 국민의 의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물질적인 측면보다는 삶의 질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거뿐만 아니라 근로환경, 여가선용 등 인간 활동을 위한 공간에 대해서도 이러한 가치관의 전환이 반영되고 있다(Lee and Jung, 2010). 

   일반 시민들의 공공시설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질적인 수준과 관련된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데, 공공시설측면에서도 방문자들의 다양한 신체적 특성 및 욕구를 충족시키면서공공성과 보편성을 제공하는 환경조성이 필요함을 의미한다(Lee, 2000). 이에 따라 어린이, 노인, 임산부, 장애인 등이 편리하고 건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물은 건강한 사람들에게도 편리함을 제공하여야 한다(Hwang and Shin,2002).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개념인 유니버설 디자인은 ‘사용자의 능력,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사용 및 이용할 수 있는 제품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다양한 신체적·정신적 차이를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상호호혜적인 관계성을 만들어 나가는 디자인 철학이다. 또한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제약 없이 모든 사람이 최대한 사용하기 쉽게 만들어진 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디자인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는 노인 및 장애인구의 증가에 따른 소외된 사회적 약자의 인권과 관련된 문제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Lee et al., 2012). 이에 따라, 최근 정부나 지방정부 등에서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에 대한 다양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장애인 복지법, 장애인·노인· 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등 다양한 법률에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법률 및 정책들이 장애인 및 이동약자의 편의를 보장하기에 부족하며, 이동권을 대하는 사회전반의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Huh and Shin,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공원과 같은 다중이 이용하는 관광공간에서 방문객의 이동 및 이용편리성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생태공원을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개선해야 될 사항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방문자의 보편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생태공원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1.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으로서 환경부 지정 한국형 10대 생태관광지로 선정된 지역이다. 또한 세계 5대 연안습지이며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41호로서 대중관광지를 생태관광지로 전환한대표적인 지역이다. 매년 200만명이 넘는 사람이 방문하는 국내의 대표적인 생태관광지이며, 최근에는 다수의 장애인 단체나 협회에서 단체관람을 통해 방문하고 있다(Suncheon city, 2013).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구역으로 시설유형으로는 교통시설, 편의시설, 주요 프로그램 시설, 관광정보시설이며, 숙박시설은 공원구역내에 위치하지 않아 제외시켰다(Table 1). 

Table 1. Facilities in the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조사대상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구역의 면적은 50,268㎡이다. 자연생태관은 지상 3층으로 기획전시실 1개, 상설전시실 3개, 영상관 1개이며 최대 동시 수용인원은 약 200명이다. 1층에는 승강기, 화장실, 영상관, 2층에는 상설전시실, 승강장, 3층에는 세미나실, 승강장, 화장실이 위치하고 있다. 순천만 천문대는 1층에 천체투영실,화장실, 승강기와 2층에는 과학전시실, 화장실, 승강기, 3층에는 보조관측실, 주관측실이 위치하고 있다. 쉼터는 탐방객의 휴식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갈대탐방로 입구 앞에 위치하고 있고, 판매시설, 휴게시설, 화장실로 구성되어 있다. 공방은 지역특산물과 생태공원 기념품을 제작과 판매를 하고 있으며, 주요시설로는 특산물판매시설, 기념품을 제작하는 작업실이 위치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용산전망대는 공원구역에서 가장 먼 위치에 있으며, 지상 2층 규모로서 관찰데크, 전망대와 휴게실이 위치하고 있다. Table 2는 순천만자연생태공원의 주요시설에 대한 개요이다. 

Table 2. The main facilities of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2. 조사방법

  본 연구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내 조성된 시설과 탐방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탐방환경이란 생태공원을 방문한 탐방객의 활동에 필요한 탐방시설, 탐방로, 탐조시설 등의 이용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법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Lee et al.(2012)의 생태관광지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방안을 토대로 현장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현장조사표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서 규정한 세부기준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항목들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또한 현장조사에 사용한 실측 기준표는 상기에 서 제시한 법률을 토대로 구성하였으며 조사자가 직접 방문하여 해당항목의 치수를 측정하여 법규에 적합한지를 산출하였다. 본 조사는 2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조사는 2012년 9월 24일부터 26일 3일간, 그리고 2차 조사는 2013년 8월 27일부터 28일 2일간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시 미비한 사항을 체크하여 현장을 재방문하여 실시하였고 1차 조사와 비교하여 해당 탐방시설의 특이 변화사항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 시 조사대상의 시설과 공간별로 작성된 유니버설 디자인 조사표를 이용하여 기록하였으며 실측과 사진촬영을 병행하였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내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시설인 자연생태관, 천문대, 쉼터, 용산전망대, 주차장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공간을 조사하였다(Figure 1). 세부적으로는 수평이동공간인 출입구와 복도 및 통로부분, 수직이동공간인 계단과 경사로 및 승강기 부분, 화장실 등 6개 공간에대해 조사하였다. 각 시설별로 조사대상에 대한 개요는 Table 3과 같다. 

Table 3. Check lists on the facilities

또한 생태관광지인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은 시설내 공공서비스공간에 대한 평가 및 공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4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Figure 2). 주차장 존은 주차장에서 주출입구까지의 구간으로 방문객이 공원구역내로 진입하기 위한 존이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존은 주요시설이 위치하는 구간으로 주출입구와 외부화장실, 자연생태관, 쉼터 등의 시설접근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갈대탐방로 존은 무진교에서 마지막 화장실 구간으로서 갈대탐방로내 목재데크, 화장실, 휴게시설, 관찰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용산전망대 존은 2.3㎞로서 순천만생태공원에서 가장 긴 탐방로 구간 및 시설 특성상 구릉지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을 위한 편의시설, 보조시설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Table 4). 

Figure 1. Unit site of a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Figure 2. Zoning site of a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Table 4. Ecological park zone of the Suncheon Bay’s

이론적 논의 및 평가틀

1. 이론적 논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인, 노인 등 사회의 인구구조의 변화 및 법률적 요구를 해결하고자 나타난 개념으로서 다양한 능력을 가진 사람간의 차이를 제거하고 접근성, 안전성, 지원성 등의 원리를 제시하는 디자인 철학이다(Lovovich,1993). 또한 전 생애를 통해 모든 사람이 이용 가능한 환경을 만들려는 것이 그 핵심이다(Wilkoff and Abed, 1994). 유니버설 디자인은 1950년대 후반에 미국에서 도시시설물이나 건축물이 신체장애인의 생활을 위협한다는 문제에서시작하여 1960년대 중반에 스웨덴이나 캐나다 등의 선진국에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Ha and Je, 1997). 이는 론 메이스(R. Mace)가 처음으로 제시한 개념으로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제품을 포함한 물리적 환경과 제도적 환경 개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Lee et al., 2007). 국내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킴으로써 인간을 평등하게 포용하는 환경을 창조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의 생애주기에 대한 욕구의 변화를 만족시키기 위한 삶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 요구로서 발현되었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은 이같은 사회구조적 변화속에서 탄생했다 (Lee et al., 2012). 유니버설 디자인은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정치·경제·문화를 포함하는 총체적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긍정적 효과로서 개인들이 자기관리, 생산적 활동, 여가활동 등에 참여촉진을 통해 자신감과 즐거움을 회복하고, 사회적 관계를 보다 원활하게 하여 자신의 건강과 안녕과 같은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Cooper et al., 1991; Kim, 2004). 따라서 유니버설 디자인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와 이에 따른 사회·문화적인 변동, 장애인의 지속적 증가, 복지정책의 확대 등 21세기에 중요한 화두로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1년 심신장애자복지법을 시작으로 관련 법규 및 제도가 시작되어 1985년 건축법, 1989년 장애인복지법, 1997년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2006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2008 년 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 등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이에 따라 국가 및 지방정부 등 관련 공공기관에서 제도, 법률 등 형성 움직임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Lee and Kwon, 2009). 

  이와 같은 유니버설 디자인은 본 연구의 대상인 생태공원의 탐방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이다. 왜냐하면 장애인을 포함한 사회적 약자가 탐방활동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이동 및 접근의 문제를 완화하거나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생태공원에서 모든 계층을 배려하는 물리적 환경에 대한 논의는 유무형의 사회적 차별을 완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다. 

2. 선행연구 고찰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평가연구, 지침과 가이드라인 개발, 디자인모델, 효과 및 인식, 원리의 이론연구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평가연구는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인 업무시설, 구청사, 종합병원, 대학교육공간, 지하상업공간, 주거단지 커뮤니티 시설, 하천 친수공간, 지역문화시설, 지하공공보도시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으로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다(Lee, 2007; Oh, 2010; Sung, 2010;Choi et al., 2012; Park and Lee, 2012). 또한 도시공원에 적용가능한 평가도구에 관한 연구가 진행(Lee and Jung, 2010)되었지만, 세부적인 법률을 토대로 적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생태공원은 다중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시설이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평가 척도 및 항목이 마련되어 있지않아 생태공원에 대하여 유니버설 디자인관점에서 평가하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되었다.

Table 5. Evaluation item of units in a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5. Continuous)

3.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문헌고찰, 관련법규 등과 Oh(2010), Lee and Ha(2007), Choi et al.(2012)의 문헌을 통해 발전시킨 Lee et al.(2012)의 생태관광지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방안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이에 따라 체험성, 이용성, 안전성, 접근성, 환경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장애인· 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에서 규정한 세부기준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평가항목은 이용성(availability), 안전성(safety), 접근성(accessibility) 이다. 이용성은 방문객 누구나 사용시 유연성과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방식을 추구하는 것이며, 안전성은 방문객의 사용에 있어 사고방지 및 오작동, 신체적 부담을 경감하는것이고 접근성은 방문객의 체격이나 자세, 사용상황을 고려한 이용공간을 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Lee et al., 2012;Lee and Jung, 2010). 체험성과 환경성은 대상지를 방문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외하였다(Table 5, 6). 또한 평가기준은 모든 기준에 부합하면 fit, 부분적으로만 기준에 부합하면 semi-fit, 모든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unfit으로 구분하였다. 

Table 6. Evaluation item of the zone in the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결과 및 고찰

1. 단위시설별 평가

1) 출입구

  조사대상의 출입구는 총 4개이고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칙을 적용하였으며 평가결과는 Table 7, 실측결과는 Table8과 같다. 유효폭과 바닥 높이차 제거, 단차 제거와 회전문에 대해서는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손잡이와 공간 점자표지판은 모두 미설치되어 있어 장애인과 노약자에 대한 배려가 미흡하였다. 또한 문 옆 활동공간은 천문대 출입구에서만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점형 블록은 공방에서만 미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7. Survey result on a entrance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8. Survey result on a entrance (unit: m)

  실측결과를 살펴보면 출입구 유효폭은 모든 시설이 1.0m 이상으로 조사되어 기준인 0.8m 이상의 유효폭을 충족하였으며 활동공간도 천문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기준인 0.6m이상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손잡이는 모든 시설에서 미설치되어 추후 우선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복도 및 통로

  복도 및 통로부분의 조사결과는 Table 9와 Table 10과같다. 유효폭과 바닥높이차는 모든 시설에서 적합하였다. 바닥재질은 천문대에서만 논슬립(non-slip)재료의 미사용으로 안전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측면손잡이는 모든 시설에서 미설치되어 있어 이용성측면이 매우 부족하였다. 또한 복도 모서리 부분의 경우 천문대만이 벽모양이 둥글게 처리하였고 나머지 시설에서는 벽의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지 않아 안전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점자표지판은 모든 시설에서 미설치되어 있어 안전성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복도 및 통로는 손잡이와 점자표지판을 우선적으로 설치할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이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중요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Table 9. Survey result on a corridor and pass way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10. Survey result on a corridor and pass way (unit: m, ㎝)

  실측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시설이 유효폭(1.2m)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바닥 높이차는 모든 시설에서 기준에 적합하였다. 하지만 모든 시설에서 손잡이의 미설치로 실측자료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3) 계단

  계단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결과는 Table11과 Table 12와 같다. 계단의 유효폭은 모든 시설에서 충분히 확보되어 접근성이 확보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계단의 유효폭은 최소 1.6m에서 최대 4.0m 로 조사대상 모두 기준치인 1.2m를 확보하고 있었다. 챌면의 높이는 기준치인 18㎝ 이하로 설치되었으며, 디딤판 넓이 기준인 28㎝를 모두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손잡이의 점자표지판 미부착 및 시작과 끝 지점의 점형블록은 생태관과 공방에는 미설치로 시각장애인에 대한 배려와 이용성이 미흡하였으며 경사면 손잡이 끝부분에 30㎝ 이상의 수평손잡이 설치 부족, 미끄러운 바닥재 사용과 계단코의 처리가 부분적으로 미설치되어 안전성측면에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1. Survey result on a stair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12. Survey result on a stair (unit: m)

Table 13. Survey result on a slope way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14. Survey result on a slope way (unit: m)

4) 경사로

  경사로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결과는 Table13과 Table 14와 같다. 경사로는 충분한 유효폭과 바닥재질을 확보하고 있어 접근성과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특히 바닥재질은 모두 미끄러지지 않는 재질로 마감되어 있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그 외 다른 기준들은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울기는 1/12이하로 설치기준이지만 생태관은 1/8, 천문대 1/10으로 조사되어 접근성측면에서 미흡하였고 중간 경사로 참, 활동공간, 차양과 손잡이 연장설치는 모든 곳에서 미설치되어 있어 이용성과 안전성이 미흡하였다. 

5) 승강기

  승강기는 생태관과 천문대시설에 총 2곳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Table 15와 Table 16과 같다. 승강기는 대부분의 경우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설치장소, 가로 조작반 높이만이 기준이 충족되지 않아 접근성과 이용성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입문 폭은 기준치인 0.8m를 모두 만족하고 있으며 스위치 높이의 기준치인 0.8~1.2m를 모두확보하고 있고 내부 바닥면적은 1.1m×1.35m 이상인 기준치를 모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설치장소는 출입구에서 먼 곳에 위치하고 있어 이용성 측면에서 매우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가로 조작반 높이는 휠체어를 타고 이용할 수 있는 높이인 0.85m 내외이지만 생태관은 1.1m이고 천문대에는 미설치로 이용성측면에서 매우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5. Survey result on a elevator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16. Survey result on a elevator(unit: m)

6) 화장실

  화장실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의 결과는 Table 17과 Table 18과 같다. 생태관, 쉼터, 외부 2는 남자용과여자용이 구분되어 있으나 외부 1은 남녀구분 없이 같이 사용하게 되어 있어 구분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독립형과 혼합형 모두 공통요소인 장애인용 출입구은 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통로연결위치는 외부 2 만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바닥 높이차는 외부 2만 부적합하였다. 전면 점형블록은 생태관, 쉼터만이 법적 기준을 만족하였고 나머지는 미설치되어 이용성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점자 남녀표지판과 수도꼭지 방식은 모두 기준에 부적합하여 이용성이 매우 부족하였다. 소변기는 설치기준인 양옆 수평수직 손잡이, 수평손잡이 높이는 외부 1에서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수직 손잡이 높이는 모든 시설에서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7. Survey result on a toilet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18. Survey result on a toilet (unit: m)

  세면대는 상하단 높이, 하부공간 개방에 있어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으나 냉온수 점자표시는 모든 화장실에서 미설치되어 있어 향후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변기는 출입구 유효폭, 양변기 좌대높이, 세정장치 위치, 유효바닥면적, 출입문 형태, 양변기 형태, 수평수직 손잡이와 수평손잡이 치수에서 모두 기준에 적합하였다. 그러나 수직손잡이 치수는 부적합하였고 사용여부 시각표시는 모두 미설치되어 있어 이용성측면에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존별 평가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은 공원 특성상 이동을 통해 체험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원 내 시설내 공공서비스공간뿐만 아니라 탐방지역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평가를 병행하였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은 크게 네 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차장 존은 주차장에서 주출입구까지의 구간으로서 방문객들의 생태공원내로 진입하기 위한 공간이다. 자연생태공원 존은 주출입구에서 쉼터, 생태체험선을 이용하는 구간으로 시설뿐만 아니라 공원내 넓게 산재되어 있는 체험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갈대 탐방로 존은 무진교에서 마지막 화장실까지의 구간으로서 순천만 생태공원의 랜드마크 중 하나인 갈대숲 구간이다. 용산전망대 존은 마지막 화장실에서 시작하여 용산전망대 구간으로서 지형특성상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어 탐방객들이 이동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구간이며, 이에 따라 경사지에 접근 및 이동에 대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였다. 

Table 19. Ecological park zone of a Suncheon bay’s

Table 20. Survey result on a parking lot zone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1) 주차장 존

  주차장 존은 주차장에서 생태공원 주출입구 구간의 유니버설 디자인적용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닥높이차는 법적 기준을 초과하여 조성되어 있으며, 바닥재질은 논슬립이 가능한 재질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유도점자블록은 부분적으로만 설치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연결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1. Survey result on a parking lot zone (unit: m,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차장~생태공원 구간에서는 보행로 유효폭은 최소 1.8m에서 최대 3m이상으로 법적 기준인 1.8m를 초과하여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차도, 보행로, 생태공원 입구로의 보행로에서 바닥 높이 차는 5~7㎝로 조사되어 법적 기준인 2㎝를 초과하여 휠체어로의 이동시 접근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휠체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 높이차를 제거하는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gure 4. Examples of a unfit parking lot zone within the application of U.D

2) 자연생태공원 존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존은 생태공원 주출입구에서 자연생태관, 천문대, 쉼터, 생태체험선 등 주요시설이 위치하고 있는 구간이다.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존의 조사결과는 Table 22와 같다. 시각장애인용 바닥재는 미설치, 시각장애인용 유도블록은 설치는 되어 있으나 설치기준에는 부적합하였고 시각장애인용 음성안내장치는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바닥 높이차 제거는 기준에 부적합하였으며 바닥재질과 보도블록 설치기준과 같은 안전성부분에서 모두 미흡한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휠체어의 상호교행이 가능한 유효폭만이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2. Survey result on a ecological park zone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존에서 휠체어 상호교행이 가능한 유효폭은 2.0~4.5m로 법적 기준인 1.8m를 확보하고 있는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바닥높이차에서는 모든 구간에 서 법적 기준인 2㎝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탐방객들에게 이동에 제약을 주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개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23. Survey result on a ecological park zone (unit: m, ㎝)

Figure 5. Examples of a unfit ecological park zone within the application of U.D

3) 갈대 탐방로 존

  갈대 탐방로 존은 갈대 숲의 시작지점인 무진교에서 마지막 화장실까지이며, 전체구간이 갯벌지역으로 보행데크가 설치된 구간이다. 

  갈대 탐방로 존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을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용 바닥재, 유도블록, 음성안내장치는 모두 미설치되어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닥높이차와 바닥재질은 부분적으로 기준에 부합하였고, 특히 손잡이는 전 구간에서 미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탐방환경에 대한 이용성정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24. Survey result on a reed trail-way zone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휠체어 상호교행을 위한 보행로의 유효폭은 법적기준인 1.8m를 상회하여 조성되어 있으나 바닥높이차에서는 최소 5~30㎝로 법적기준인 2㎝를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바닥높이차가 가장 높은 곳은 30㎝로 조사된 갈대 탐방로 내 휴게공간지역으로 실제 노인, 장애인 등이 접근이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어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탐방로내 손잡이는 미설치, 탐방로의 안전펜스는 다리구간이외에는 높이 0.23m 로 설치되어 있어 측면손잡이의 설치기준인 0.8~0.9m에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아이들과 휠체어 사용자가 난간을 넘어 전복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Table 25. Survey result on a reed trail-way zone (unit: m, ㎝)

Figure 6. Examples of a unfit reed trial-way zone within the application of U.D

4) 용산전망대 존

  용산전망대 존은 마지막 화장실에서 용산전망대구간으로서 지형특성상 평지구간과 구릉지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지구간을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용 바닥재, 유도블록, 음성안내 장치와 손잡이는 미설치되어져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닥재질과 바닥 높이차는 유효폭 만이 법적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릉지 구간은 시각장애인용 바닥재, 유도블록과 음성안내 장치와 손잡이가 미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구릉지 구간 내 경사구간의 휴식참이 미설치되어 있어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용산전망대 탐방활동에서 이동성에 제약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휴식참의 설치는 우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able 26. Survey result on a Yongsan observation platform zone within the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Table 27. Survey result on a Yongsan observation platform zone (unit: m,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지구간과 구릉지구간 모두에서휠체어의 상호교행을 위한 유효폭은 법적 기준인 1.8m를 충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바닥높이차는 여러 구간에서 법적기준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이는 구릉지 구간에서 장애인과 노약자와 같은 탐방객의 활동에 제약을 넘어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구릉지구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Figure 7. Examples of a unfit Yongsan observation platform zone within the application of U.D

4. 종합고찰

  본 연구는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을 대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관점에서 평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문헌고찰과 법적 기준 등을 통해 본 연구에 적합한 조사항목을 선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생태공원의 시설내 공공서비스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를 살펴보면 우선 손잡이는 모든 시설에서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우선적으로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경사로, 복도, 탐방로는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려가 요구된다. 손잡이의 위치와 높이치수는 기준에 따라 사용이 편리해야 하며 디자인과 색상, 재질 등은 주변 디자인과 조화롭게 설치하여야 한다(Oh, 2010). 또한 각 시설별로 살펴보면 출입구와 복도 및 통로는 공통적으로 손잡이, 점자표지판이 미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계단에서는 손잡이, 점자표지판과 계단코 처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사로는 기울기, 참설치, 활동공간, 차양 및 손잡이의 연장설치에서 매우 부족하였으며, 승강기는 설치장소, 가로조작반 높이가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마지막으로 화장실은 통로연결위치, 점형블록, 남녀표지판, 수도꼭지 방식, 수직손잡이 높이, 냉온수 점자표시 사용여부 시각표시에서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순천만 생태공원 시설내 공공서비스공간에는 유니버설 디자인측면에서 다방면으로 시설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지만 실제 법적 기준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실제 방문객의 이용성정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태공원의 방문객의 이용의 편리성을 고려한 기준을 만족하면서 장소에 알맞은 디자인이 고려된다면 신체적 특성에 관계없이 방문객의 이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약자를 포용할 수 있는 생태공원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 및 평가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침을 우선적으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침을 통해 생태공원을 방문하는 모든 사람들이 탐방활동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의 존별 탐방구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주차장존에서는 유도점자블록 미설치, 바닥높이차 제거가 적용성기준에 부적합하였다. 이는 휠체어를 통해 이동 및 접근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바닥높이차를 없애는 시설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자연생태공원 존, 갈대탐방로 존과 용산전망대 존은 시각장애인용 바닥재, 유도블록, 음성안내장치와 손잡이, 점자표지판, 바닥높이차에서 모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내 거의 모든 구간에서 시각장애인에 대한 배려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시각장애인이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없는 탐방환경으로 조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이동제약은 활동의 제한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활동보조시설의 설치가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법률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기준은 최소한의 법적 기준으로서 장애인의 활동패턴과 실제 활동상 느끼는 제약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들의 유형과 활동패턴과 제약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에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장애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범용성을 지닌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용산전망대 존은 구릉지 구간으로서 이동환경이 다른 존보다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이동보조시설의 설치가 중요하지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경사지로 오르는 구간에서는 손잡이와 중간 휴식참의 설치가 필요하지만 이를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은 중요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체험과 탐방을 중시하는 공간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 법적 기준이 시설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생태공원과 같은 넓은 장소에 적용 가능한 기준이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에는 공원과 같은 활동공간에 알맞은 법적 기준, 계획 및 설계기준을 마련하여야 할것이다. 또한 생태공원과 같이 정부가 제공하는 다양한 여가관광공간에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에는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시설에 적용이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확대적용을 하여야 할것이다.  

  셋째, 생태공원과 같은 이동을 통해 다양한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는 공원특성을 반영한 탐방공간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기준이 미흡하여 기존 시설과 이와 유사한 법적 기준을 바탕으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향후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인 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지침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각 시설에 대한 보완도 매우 중요하지만 생태공원내 체험활동공간에 있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마련도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기존연구뿐만 아니라 본 연구에서도 법적 기준을 중심으로 탐방환경 평가를 진행하였다. 하지만 탐방객의 심리적 요인도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을 모두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지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향후에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뿐만 아니라 탐방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심리적 환경측면까지도 포함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는 다양한 공원내 인적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생태관광지인 순천만 자연생태공원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함에 있어 시설내공공서비스공간과 존(zone)을 구분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적용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는데 에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결과가 모든 생태공원에 적용 가능한지에 대한 일반화의 문제가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추가사례조사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개별시설과 공공공간에 대한 물리적 환경의 평가 및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위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적용이 왜 미흡한지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며, 특히 이러한 문제가 관리자와 계획가의 인식과 이해부족에서 비롯되고 있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또한 실제 방문자를 대상으로 방문 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조사 역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법적 기준과 방문객이 느끼는 심리적 측면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성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필요한 연구이며 본 연구자의 후속연구로 미루기로 한다. 

Reference

1.Choi, D.S., J.W. Moon and S.H. Kim(2012) An assessment on the urban riverfront in Shincheon, Daegu: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Cooper, B.A., U. Cohen and B.R. Hasselkus(1991) Barrier-free design: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5(4): 344-350.
3.Ha, M.K. and H.S. Je(199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applying universal design on buildings and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e 13(5):107-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Huh, C.D. and J.Y. Shin(2011) The current state of mobility rights for disabled persons in Korea and its direction for improve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5(3): 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Hwang, W.K. and K.J. Shin(2002) A study o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s for subway stations: Mainly development of checklist for the subway sta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4(4): 130-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Kim, E.J.(2003)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and Improvement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Management in Ecological Parks. Master Degree Thesis of the Kyungwon University, 6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Kim, H.J.(2008) A Study on Ecological Park Construction Strategics to Increase Biodiversity: Focused on the Domun-ri Ecological Park in Dangjin. Master degree of the Dankook University, 6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Kim, H.J. and B.H. Yoo(2009) A study on the user-oriented evaluation method of the U.D. applied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and Art 10(2): 152-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Kim, K.T.(2004)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the role of the universal design in an aged socie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7(2): 231-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Lee, H.C. and K.H. Chung(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al design assessment tool application to urban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and Art 11(5): 402-4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Lee, H.C. and M.K. Ha(2007) A study o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underground commercial spaces: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underground passage shopping center. Journal of Korean Architecture 23(11): 151-1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Lee, J.O.(2000) Evaluation of Application for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Public Environment. Master degree of the Yonsei University, 11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Lee, K.C., W.K. Min and N.J. Kim(2012) Exploratory study on application as an ecological tourist attraction of universal desig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5):423-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Lee, S.J., H.S. Lee and K.S. Lee(2007) Understanding, need and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in home environment: focusing o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n occupational therap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Lim, G.S.(2012)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on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cing Factors–Focused on the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Province. Ph. D degree of th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1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Lovovich, W.L.(1993) Design for Dignity: Studies in Accessibility,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272pp.
17.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1)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65pp. (in Korean)
18.Oh, C.O.(2010) A study an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principles to culture centers in loc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9(2):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Park, H.H. and G.J. Lee(2012) Universal design appraisal of underground public pedestrian facil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e 28(5): 223-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Suncheon city(2011) Suncheon Bay's Ecological park, 40pp. (in Korean)
21.Suncheon city(2013) Major Statistics Data, 16pp. (in Korean)
22.Sung, K.C., B.K. Kang., G.J. Park., S.W. Kim., Y.S. Yun., T.S. Kang., I.Y. Kim. and Y.H. Lee(2010) The Planning Directions of the Accommodation in Recreational Facilities Considering the Use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e 26(9): 3-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Willkoff, W.L. and L.W. Abed(1994) Practicing Universal Design: An Interpretation of the ADA,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210pp.
24.www.ada.gov/regs2010/2010ADA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