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7 No.2 pp.100-139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3.37.2.100

Floristic Study of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Wando-gun)1

Gwang-Il Kim2, Chan-jin Oh3*, Sun-jin Lee4, Soon-Ho Shin5, Kyoung-Pae Yun6
2Jeollanam-Do Wando Arboretum, Wando-gun 59105, Korea
3Jeollanam-Do Wando Arboretum, Wando-gun 59105, Korea
4Jeollanam-Do Wando Arboretum, Wando-gun 59105, Korea
5Jeollanamdo Forest Resources Reseach Office Dept. of Forest Bio research, Naju-si 58213, Korea
6Jeollanam-Do Wando Arboretum, Wando-gun 59105, Korea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ohcj3441@korea.kr
11/01/2023 29/03/2023 31/03/2023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s such as native plants, rare plants, and endemic plants through a flora survey in Sangwangsan Mt. (644m), Wando-gun, Jeollanam-do, a group habitat of warm temperate forests in Korea, and use the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plant species diversity and the study of climate and distribution changes in warm-temperate forests. A total of 32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2018 to 2022. The survey identified 785 taxa, including 8 forms, 53 varieties, 16 subspecies, 708 species, 473 genera, and 132 families. The endangered wil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6 taxa: Woodwardia japonica, Metanarthecium luteoviride, Bulbophyllum inconspicuum, Dendrobium moniliforme,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and Cymbidium macrorhizon.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identified as 26 taxa. The red list designated b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as identified as 7 taxa, the red list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identified as 29 taxa, and endemic plants in Korea were identified as 17 taxa.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were identified as 200 taxa, specifically 6 taxa of grade Ⅴ, 13 taxa of grade Ⅳ, 73 taxa of grade Ⅲ, 29 taxa of grade Ⅱ, and 79 taxa of grade Ⅰ.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73 taxa,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6 taxa.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Korea were identified as 55 taxa, specifically 8 taxa of endemic plants, 46 taxa of southern plants, and 1 taxon of northern plants.



완도 상왕산 일대의 식물상 연구1

김광일2, 오찬진3*, 이선진4, 신순호5, 윤경배6
2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완도수목원 녹지연구사
3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완도수목원 녹지연구관
4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완도수목원 연구원
5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산림바이오과 녹지연구사
6전라남도산림자원연구소 완도수목원 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난대림 집단자생지인 전남 완도군 상왕산(644m) 일대의 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 희귀식물 및 특산식 물 등 식물 분포와 특징을 밝히고 식물종다양성 보전과 난대림의 기후변화 대비 분포변화 연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조사하였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 32회의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32과 473속 708종 16아종 53변종 8품종으로 총 7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f.) Sm.), 칠보치마(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혹난초(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 Sw.), 지네발란(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Makino) Aver.), 대흥란(Cymbidium macrorhizon Lindl.) 6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2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국립수목원에서 제시한 적색식물은 7분류군,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한 적색목록식물은 29분류군, 한국특산식물목록은 1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200분류군으로 Ⅴ등급 6분류군, Ⅳ등급 13분류군, Ⅲ등급 73분류군, Ⅱ등급 29분류군, Ⅰ등급 7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3분류군, 생태계교란종은 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조사지역의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특산식물 8분류군, 남방계식물 46분류군, 북방계식물 1분류군으로 총 5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서 론

    상왕산은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왕봉(644m), 백운봉(601m), 심봉(598m), 숙승봉(461m), 업진봉(544m) 5개의 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완도군은 265개의 크고 작은 섬들 이 군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왕산은 완도군 본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69년 연륙교가 설치되기 전까지 섬으로 이루어져 있어 난대림 집단자생지로 이루어져 다양한 산림자원이 풍부한 곳이 다. 상왕산은 전라남도완도수목원, 전라남도완도자연휴양림, 전 라남도청소년수련원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정상에 오르면 다도 해를 한눈에 볼 수 있어 많은 등산객이 찾는 곳이다. 최근 완도수 목원의 국립난대수목원 유치가 결정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 난대림은 북위 35° 이남의 연평균기온 14℃이상 되는 해안 및 도서지역의 산림을 말하며 주로 상록활엽수로 구성되어 있다.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난·온대 상록활엽수 의 북방한계선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고위도 및 남부내륙 으로 분포가 확대되고 있다(Yoon et al., 2011). 또한 소나무, 낙엽송 등과 같은 침엽수림이 우리나라 주요 활엽수림인 참나 무류보다 기후변화에 취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0). 기후변화에 대한 전망이 지속적으로 보 고되면서 미래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생육적지 예측, 분포변화 연구 등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Park et al., 2010;Yoon et al., 2011;Kang et al., 2012;Hwang et al., 2015;Park et al., 2016).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미래 난대림의 식물종 분포변화 파악을 위해 현재 난대림의 식물상 조사가 필요하다.

    인근지역의 식물상에 대해서 두륜산(700m) 831분류군 (Park and Do, 1971)과 달마산(489m) 545분류군(Lee et al., 2009)이 보고된 바 있으며 상왕산 일대의 식물상에 대해서는 Lee et al.(1990)에 의해 682분류군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조사 는 상왕산 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식물 분포와 특징을 밝히 고 식물종 다양성 보전과 난대림의 기후변화 대비 분포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1. 조사 대상지

    상왕산은 행정구역상 완도군 완도읍과 군외면에 위치한다. 조사지역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는 해남 달마산(489m), 북쪽으로는 해남 두륜산(700m)이 자리잡고 있다. 최근 우리나 라 남부의 식물상 구조는 한반도 중부의 고해발 지역인 한랭 온대 식물상 지역, 한반도 남부의 고해발 지역인 상량 온대 식물상 지역, 한반도 중부 및 남부의 저지대인 중남부 온난 온대 식물상지역, 제주도 및 울릉도가 포함되는 해양성 온난 온대 식물상 지역 4개 지역으로 구분한다(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상왕산은 높은 식물다양성을 나타내는 해양 성 온난 온대 식물상 지역에 해당된다. 완도기상대의 최근 30년 간(1992~2021) 기상연보를 살펴보면 최근 30년간 연평균기온 은 14.4℃, 최저평균기온 –4.2℃, 최고평균기온 33.3℃로 나타 났으며 연평균강수량은 1,515.9mm로 나타났다.

    2. 조사방법 및 내용

    조사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8년 6월부터 2022 년 11월까지 수시조사를 포함하여 총 32회에 걸쳐 계절별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계곡부와 능선부 및 사면부를 포함하 여 상왕산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Figure 1, Table 1). 정확한 동정을 위해 원칙적으로 꽃과 열매 등 생식기관이 있는 개체만을 채집대상으로 하였으며 채집된 식물들은 석엽표본으 로 제작하여 완도수목원 식물표본실(WDAH)에 보관하였다. 희귀식물, 멸종위기식물 등 특정식물은 보존을 위해 현지조사에 서 동정이 가능할 경우 표본으로 수집하지 않고 화상자료만 촬영하였다. 분류군의 동정은 Lee(2014a;2014b), Kim and Kim(2018) 등의 도감과 전문책자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학명 및 분류체계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자생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0),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국가표준재배식물목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16)을 참고하였으며 국가표준식물목 록(Korea National Arboretum, 2022;http://www.nature.go .kr/kpni/index.do)에 준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법률 제19088호), 산림청 지정 희귀식 물(농림축산식품부령 제527호), 국립수목원에서 제시한 희귀, 적색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과 한반도 특산식 물(Chung et al., 2017)을 분석하였다. 또한, 환경부 국립생물자 원관에서 제시한 국가생물적색자료집 관속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을 비교연구 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을 분석하였다.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은 국가표준 식물목록 외래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Kang et al.(2020)과 생태계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생물의 종류를 정한 환경부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환경부고시 제 2021-176호, 2021.8.31.)를 참고하여 조사하였다. 기후변화 대 비 우선관찰 대상식물로서 제시된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 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0)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식물목록에는 과거에 식재된 것으로 판단되는 종도 포함되어 있으며, 국명 옆에 ‘재’라고 별도 표기하였다(Appendix 1).

    결과 및 고찰

    1. 식물상

    상왕산 일대의 식물은 132과 473속 708종 16아종 53변종 8품종으로 총 78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양치식물 16과 31속 47분류군(6.0%), 나자식물 4과 6속 9분류군(1.1%), 피자식물 112과 436속 729분류군(92.9%)으로 이 중 쌍자엽식물은 96 과 325속 541분류군(69.0%), 단자엽식물은 16과 111속 188 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Table 2). 과별로는 벼과 76분류 군, 국화과 74분류군, 콩과 46분류군, 사초과 35분류군, 장미과 34분류군 등의 순이었다(Appendix 1).

    Lee et al.(1990)의 연구에서는 상왕산 682분류군이 보고되 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785분류군으로 더 많은 수가 조사되었 다. 이는 선행연구(Lee et al., 1990)가 진행 되었을 당시에는 상왕산 일대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전라남도완도수목원 이 조성되기 전으로 순환임도나 등산로 등이 정비되지 않아 그 주변에서 많이 발생되는 식생들이 조사되지 않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현재와는 조사지역과 경로가 다를 것으로 보 이며 본 연구에서는 확증표본에 의한 결과이기 때문에 직접적 으로 비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습지는 크게 연안습지, 내륙습지, 인공습지로 구분하며 세부적으로 저류지습지, 사구습지, 소택지, 갯벌습지 등으로 구 분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1). 본 조사대상지는 인 공호습지인 신학저수지, 영풍저수지, 대야저수지, 장좌저수지, 중도저수지 등 다수의 저수지가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수생 및 습지식물이 확인되었다. 특히 2021년부터 2022년 완도지역 가뭄으로 저수지의 수위가 내려감에 따라 일시적으로 드러난 저수지 바닥에서 잠재식물들이 발현되어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군락 등 다양한 습지식물이 관찰되었다.

    2. 멸종위기야생식물

    환경부에서 지정한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Ⅰ급은 조사되지 않았고 Ⅱ급으로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f.) Sm.), 칠보치마(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혹 난초(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 Sw.), 지네발란(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Makino) Aver.), 대흥란(Cymbidium macrorhizon Lindl.) 6분 류군이 조사되었다(Figure 2). 칠보치마(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는 상왕봉에서 불목리방면 임도 사면부의 습기가 있는 노출부,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f.) Sm.)는 완도자 연휴양림에서 백운봉 방면에서 발견되었다.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 Sw.), 지네발란(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Makino) Aver.), 혹난초(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는 암벽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대흥란(Cymbidium macrorhizon Lindl.)은 매년 관찰되지 않고 해에 따라 불규칙하게 발견되어 자생지의 입지, 토양환경 분석과 함께 자생지 및 개체수 모니터링 등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희귀식물 및 적색식물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26분류군으로 멸종위기종(CR) 범주에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f.) Sm.), 칠보치 마(Metanarthecium luteoviride Maxim.),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 Sw.), 지네발란(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Makino) Aver.) 4분류군, 위기종(EN) 범주에 혹난초 (Bulbophyllum inconspicuum Maxim.), 대흥란(Cymbidium macrorhizon Lindl.) 2분류군, 취약종(VU) 범주에 세뿔석위 (Pyrrosia hastata (Thunb. ex Houtt.) Ching), 거지딸기 (Rubus sumatranus Miq.), 야고(Aeginetia indica L.) 등 9분류 군, 약관심종(LC) 범주에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수정난풀(Monotropa uniflora L.), 새박(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ex Cogn.) 등 9분류군, 자료부족종 (DD) 범주에 단풍딸기(Rubus palmatus Thunb. var. coptophyllus (A.Gray) Kuntze), 갈사초(Carex ligulata Nees) 2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2021년 국립수목원에서 제시한 적색 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21)은 총 7분류군으로 위기(EN) 범주에 칠보치마, 혹난초, 석곡, 대흥란 4분류군, 취약 (VU) 범주에 새깃아재비, 지네발란 2분류군, 약관심(LC) 범주 에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Dunn) Nakai)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3).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한 적색목록식물(National Institute of Biologial Resources, 2021)은 총 29분류군으로 위기(EN)범주에 새깃아재비 1분류군, 취약(VU)범주에 칠보 치마, 혹난초, 석곡, 붉은사철란(Goodyera biflora (Lindl.) Hook.f.), 지네발란, 대흥란 6분류군, 준위협(NT)범주에 자루 나도고사리삼(Ophioglossum petiolatum Hook.), 약난초 (Cremastra variabilis (Blume) Nakai) 2분류군, 최소관심 (LC)범주에 삼도하수오(Fallopia koreana B.U.Oh & J.G.Kim), 낙지다리, 수정난풀 등 18분류군, 자료부족(DD)범 주에 갯마디풀(Polygonum arenastrum Boreau), 단풍딸기 2 분류군으로 나타났다(Table 3).

    4. 특산식물

    완도 상왕산 일대에서 확인된 한국특산식물은 완도호랑가시 나무(Ilex × wandoensis C.F.Mill. & M.Kim),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Nakai), 삼색싸리(Lespedeza buergeri Miq. subsp. tricolor (Nakai) Hatus.),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 등 17분류군으로 특산식물 360분류군(Chung et al., 2017)의 4.7%에 해당한다(Table 4).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의 경우 완 도자연휴양림 인근에 비교적 많은 개체수가 분포하고 있었으며 상왕산 동쪽사면부 곳곳에서 관찰되었다. 완도 상왕산 일대 특 산식물은 대부분 등산로 및 임도 주변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인위적인 간섭이 없다면 현재는 훼손의 우려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완도호랑가시나무는 국명에 완도를 포함하고 있는 특수성으로 완도지역 가로수 등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 나 자생지는 간벌 및 굴취 등으로 많이 훼손되어 다양한 식물종 들과 경쟁하는 등 생육이 왕성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완도호랑가시나무 자생지 보전을 위해 경쟁을 완화할 수 있는 적절한 자생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자연환경 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국내 주요 종의 보존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며, 등급화하여 어느 특정한 지역공간 내 분포현황을 통해 자연환경 우수성의 정도 및 비교 우, 열세를 파악하는 데 이용하고자 선정한 관속식물종을 의미 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은 총 200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특정식물 1,476분류군의 1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등급별 로는 Ⅴ등급이 새깃아재비, 칠보치마, 혹난초, 석곡, 지네발란, 대흥란 6분류군, Ⅳ등급이 새우나무, 갯마디풀, 자리공, 돌채송 화, 단풍딸기, 거지딸기, 등, 묏대추나무, 야고, 추분취, 대반하, 자란, 붉은사철란 13분류군, Ⅲ등급이 산꽃고사리삼, 발풀고사 리, 풀고사리, 별고사리, 애기일엽초,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 무, 붉가시나무 등 73분류군, Ⅱ등급이 자루나도고사리삼, 세 뿔석위, 오리나무, 번행초, 갯장구채, 나문재, 해홍나물, 동의나 물, 낙지다리, 돌양지꽃, 수정난풀, 자라풀, 천마 등 29분류군, Ⅰ등급이 실고사리, 일엽초, 개비자나무, 새끼노루귀, 나래완 두, 새박, 좀비비추, 뻐꾹나리, 지리대사초, 보춘화 등 79분류군 으로 나타났다(Table 5).

    본 조사대상지는 주로 남방계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3개 또 는 2개 아구에 분포하는 분류군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Ⅴ, Ⅳ등급 범주에는 대부분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로 평가된 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어 다른 등급의 식물 군보다 환경변화에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 및 서식지 보전 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6. 귀화식물 및 생태계교란종

    완도 상왕산 일대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소리쟁이(Rumex crispus L.),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 흰명아주 (Chenopodium album L.), 서양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L.),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L.) 등 총 73분류군으로 확인 되었으며, 생태계교란종은 환삼덩굴(Humulus scandens (Lour.) Merr.), 서양금혼초(Hypochaeris radicata L.),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L.), 도깨비가지(Solanum carolinense L.), 양미 역취(Solidago altissima L.), 물참새피(Paspalum distichum L.) 6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6).

    조사결과를 토대로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귀화 율(PN)은 9.3%, 도시화지수(UI)는 11.8%로 산출되었다. 환삼 덩굴, 돼지풀, 도깨비가지, 양미역취, 물참새피, 서양금혼초와 같은 생태계교란종은 마을길 주변의 풀밭, 등산로 입구, 임도변 등에 단독 혹은 군락으로 관찰되었다. 이 중 서양금혼초는 군락을 이루어 확산하고 있어 주변 식물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현재 생태계교란 종은 아니나 나도솔새(Andropogon virginicus L.)의 경우 임도 일부지역에서 단독 혹은 군락을 지어 많은 개체가 관찰됨에 따라 향후 급격하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7.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Korea National Arboretum, 2010)과 비교결과 특산식물은 삼도하수오(Fallopia koreana B.U.Oh & J.G.Kim),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Nakai), 좀땅비싸리(Indigofera koreana Ohwi), 나래완두(Vicia anguste-pinnata Nakai),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Dunn) Nakai), 좀비비추(Hosta minor (Baker) Nakai), 지리대사초(Carex okamotoi Ohwi) 8분류군, 남방계식물은 발풀고사리(Dicranopteris linearis (Burm.f.) Underw.), 봉의꼬리(Pteris multifida Poir.), 새우나무(Ostrya japonica Sarg.),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sieboldii (Makino) Hatus.),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등 46분류군, 북방계식물은 조선현호 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er) 1분류군으로 총 55분류군 으로 조사되었다(Table 7). 이는 전체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 300분류군의 18.3%에 해당하며 특히 남방계식물은 전체 100분류 군의 46%에 해당한다.

    상왕산 일대의 지역적 위치로 인해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은 대부분 남방계식물로 나타났으며 남방계식물은 기후변화로 인해 북상하여 서식지 이주 등 확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북방계식물과 특산식물은 기후변화에 따라 더 민감하게 반응하 여 취약해질 수 있는 식물들로 상왕산 일대에 출현한 북방계식 물과 특산식물의 자생지 모니터링 등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장기적인 측면에서 상왕산 일대를 우점하고 있는 상록 활엽수의 면적은 기존 보고(Kamijo et al., 2002;Yang and Shim, 2007;Yoon et al, 2011; Park et al., 2021)와 같이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상왕산 내의 소나무 와 같은 침엽수의 도태, 능선부의 낙엽활엽수림과의 경쟁에 따 른 우세 등 상록활엽수림으로의 지속적인 확산이 진행될 것으 로 보인다.

    Figure

    KJEE-37-2-100_F1.gif

    Map of investigation routes of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KJEE-37-2-100_F2.gif

    Photographs of endangered plants observed in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A; Woodwardia japonica, B; Metanarthecium luteoviride, C; Bulbophyllum inconspicuum, D; Dendrobium moniliforme, E; 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 F; Cymbidium macrorhizon).

    Table

    The dates and routes of investigations

    List of vascular plants of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regions

    The summary of vascular plants in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The list of the rare plants and red list plants in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The list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list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Sangwang Mt. and its adjacent areas

    The list of plant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Sangwangsan Mt. and its adjacent areas

    Reference

    1. Hwang, J.S. , J.T. Kang, Y.M. Son and H.S. Jeon (2015) Prediction of the optimal growth site and estimation of carbon stocks for Quercus acuta in Wando a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6(4): 319-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amijo, T. , Y. Kitayama, A. Sugawara, S. Urushimichi and K. Sasai (2002) Primary succession of the warm-temperate broad-leaved forest on a volcanic island, Miyake-jima, Japan. Folia Geobotanica 37: 71-91.
    3. Kang, E.S. , S.R. Lee, S.H. Oh, D.K. Kim, S.Y. Young and D.C. Son (2020) Comprehensive review about alien pl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0(2): 89-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J.T. , J.W. Kim and C.M. Kim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the optimal site predic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 temperate zon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3): 47-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T.Y. and J.S.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688pp.
    6. Korea Forest Service·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492pp.
    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a) Field guide naturalized plants of Korea. 239pp.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b) Rare plants in Korea. 412pp.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Standard checklist of cultivated plants in Korea. 510pp.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Native Plants). 1006pp.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20b) Forest of Korea(Ⅵ) biogeography of Korea: Flora and vegetation. 196pp.
    12. Korea National Arboretum (2021)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Alien Plants). 305pp.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Native Plants). Retrieved Jan. 28, 2022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22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Alien Plants). Retrieved Jan. 28, 2022 from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15. Lee, J.S. , H.C. You and C.J. Oh (1990) Studies on vegetation flora and natural plant community of Sang whang-bong Area, Wando. Theses Collection of Chonnam University 35: 39-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T.B. (2014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 Hyangmunsa, Seoul, 914pp.
    17. Lee, T.B. (2014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Ⅱ. Hyangmunsa, Seoul, 910pp.
    18.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1688pp.
    19. Lee, Y.M. , S.H. Park, H.S. Choi, J.C. Yang, G.H. Nam, G.Y. Chung and H.J. Choi (2009) Floristic study of dalmasan and its adjacent regio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1): 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339pp.
    2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The guidebook of climate 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153pp.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second edition) Volume 5. Vascular Plants. 523pp.
    23.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8) Floristic target species(FT species) in Korea. 728pp.
    24. Park, J.C. , K.C. Yang and D.H. Jang (2010) The movement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in the warm temperate region due the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1): 29-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S.H. and S.H. Do (1971) Plant resources of Mt. Du Ryun. Kor. J. Pharmacog. 2(2): 99-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S.U. , K.A. Koo and W.S. Kong (2016)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distribution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1(2): 201-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ang, K.C. and J.K. Shim (2007) Distribution of major plant communities based o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opographic feature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2): 168-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un, J.H. , J.H. Kim, K.H. Oh and B.Y. Lee (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47-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un, J.H. , K. Nakao, C.H. Park, B.Y. Lee and K.H. Oh (2011) Change prediction for potential habitats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by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4): 590-6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