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857(Print)
ISSN : 2288-131X(Onlin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37 No.6 pp.429-438
DOI : https://doi.org/10.13047/KJEE.2023.37.6.429

Abundance and Occupancy of Forest Mammals at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1a

Hai-Long Li2, Chang-Yong Choi3*
2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hai3456@snu.ac.kr)
3Dept. of Agriculture, Forestry and Bio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 (sub95@snu.ac.kr)

a 이 논문은 중국 자연과학기금(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Grant, 41830643, 31971539)과 국가과학기술 기초자원연구프로그 램(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Basic Resources Survey Program, 2019FY101700) 및 서울대학교 연구처에서 지원하는 신임교 수 연구정착금(과제번호 500-20200268)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sub95@snu.ac.kr
23/10/2023 22/11/2023 23/11/2023

Abstract


The forest in the lower Tumen River serves as an important ecosystem spanning the territories of North Korea, Russia, and China, and it provides habitat and movement corridors for diverse mammals, including the endangered Amur tiger (Panthera tigris) and Amur leopard (Panthera pardus). This study focuses on the Mijiang area, situated as a potential ecological corridor connecting North Korea and China in the lower Tumen River, playing a crucial role in conserving and restoring the biodiversity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ammal species and estimate their relative abundance, occupancy, and distribution based on the 48 camera traps installed in the Mijiang area from May 2019 to May 2021. The results confirmed the presence of 18 mammal species in the Mijiang area, including large carnivores like tigers and leopards. Among the dominant mammals, four species of ungulates showed high occupancy and detection rates, particularly the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Wild boar (Sus scrofa). The roe deer was distributed across all areas with a predicted high occupancy rate of 0.97, influenced by altitude, urban residential areas, and patch density. Wild boars showed a predicted occupancy rate of 0.73 and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entire area, with factors such as wetland ratio, grazing intensity,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aspects of the landscape influencing their occupancy and detection rates. Sika deer (Cervus nippon) exhibited a predicted occupancy rate of 0.48, confined to specific areas, influenced by slope, habitat fragmentation diversity affecting detection rates, and the ratio of open forests impacting occupancy.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displayed a very low occupancy rate of 0.06 along the Tumen River Basin, with higher occupancy in lower altitude areas and increased detection in locations with high spatial heterogeneity in aspec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ijiang area serves as a habitat supporting diverse mammals in the lower Tumen River while also playing a crucial role in facilitating animal movement and habitat connectivity. Additionally, the occupancy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dicting mammal distribution within the disrupted Tumen River basin due to human interference and identifying and protecting potential ecological corridors in this transboundary region.



두만강 하류 밀강 지역의 산림성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1a

이해룡2, 최창용3*
2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림과학부 박사과정
3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조교수

초록


두만강 하류의 숲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산림생태계로서,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호랑이(Panthera tigris)와 표범(Panthera pardus)을 포함한 다양한 야생동물들에게 서식환경과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준다.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 특히 중국과 북한을 연결하는 잠재적인 생태통로로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밀강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이 지역에 설치한 48대의 무인센서카메라 를 통해 출현하는 포유류 종을 확인하고 그들의 상대개체수와 점유율 및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결과 총 18종의 포유류가 밀강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그 중에는 호랑이와 표범 등 대형 육식동물도 포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포유류인 유제류 4종에 대한 점유율과 탐지율, 분포를 추정한 결과, 특히 노루 (Capreolus pygargus)와 멧돼지(Sus scrofa)가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노루는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예측 점유율은 0.97로 높게 나타났으나, 고도, 도시 주거용지, 패치 밀도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멧돼지는 0.73의 예측 점유율을 보이며 전 지역에 분포했으며, 습지 비율, 방목 강도, 사면에 대한 공간이질성 등의 인자가 점유율과 탐지율에 영향을 주었다. 꽃사슴(Cervus nippon)의 예측 점유율은 0.48로서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하였으며, 경사도와 서식 지 파편화 다양성이 탐지율에, 방목 강도와 개방된 숲의 비율이 점유율에 각각 영향을 주었다. 고라니(Hydropotes inermis)는 아주 낮은 점유율(0.06)을 보이며 두만강 유역을 따라 분포했으며, 고도가 낮은 곳의 점유율이 높고 사면의 공간이질성이 높은 곳에서 탐지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밀강 지역이 두만강 하류의 다양한 포유류 개체군을 유지하는 서식지인 동시에, 동물의 이동성과 서식지의 연결성을 유지하는 잠재적 생태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점유율 예측 모형은 향후 인간의 교란에 노출된 두만강 유역의 포유류 분포를 예측하고 국경지대의 생태통로를 파악하고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 론

    생물다양성의 소실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환경 문제로 서 다양한 방식으로 인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Cardinale et al. 2012). 특히 대형 육식동물들은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들의 존재는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Sergio et al. 2004). 서식지의 단편화와 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생물다양성의 소 실 위협을 감안할 때, 야생동물의 생태통로는 대형 육식동 물을 포함한 육상 생태계의 종 다양성 유지, 개체군의 건강 과 유전자 교류 촉진, 인간과 야생동물 간의 충돌 감소, 그리 고 생태계 기능 복원과 보전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Beier and Noss 1998;Gilbert-Norton et al. 2010).

    총 연장 520km에 달하는 두만강은 북한, 중국, 러시아를 통과하면서 국경선을 형성한다(Zhu and Kim 2002). 특히 두만강 하류에는 호랑이(Panthera tigris)와 표범(Panthera pardus)을 보전하기 위한 호랑이와 표범 국가공원(Northeast Tiger and Leopard National Park)과 러시아 표범의 땅 국립공 원(Land of the Leopard National Park, LLNP)이 조성되어 있다(Zhang et al. 2022;Miquelle et al. 2015). 두만강 하류의 생태적 연결성은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서식지와 국립공원 간에 야생동물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고, 더 나아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의 보전하고 멸종을 방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두만강 하류의 산림생 태계는 인간 활동, 도시건설, 농경지 증가, 도로 건립 등으로 인한 산림 파괴와 단편화로 인하여 단절된 숲이 많아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산림 생태계의 구조적, 기능적 단편화가 증가함에 따라 야생동물 이동과 분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Zheng et al. 2017;Zhu et al. 2014;Zhang et al. 2023).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에서 도로에 의해 분단되지 않고 북한과 중국의 숲이 연결되어 있는 밀강 지역에 대하여 무인 센서카메라를 이용한 포유류 조사를 통해, 현재 두만강 하류 에서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의 종과 다양성을 파악하고, 이들 의 상대적인 개체수, 점유율과 발견율, 분포 현황을 추정하 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두만강 하류에서 포유류의 서식 지이자 잠재적 생태통로로서의 건전성을 평가하고, 더 나아 가 주요 포유류이자 호랑이와 표범의 주요 잠재먹이원이 될 수 있는 유제류 4종의 분포를 예측함으로써 두만강 유역 에서의 대형 육식동물의 잠재적 이동통로의 특성과 분포를 파악하고 보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연구대상지역인 밀강(Mijiang)은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 족자치주 훈춘시에 속하는 향급 행정단위로서, 두만강 하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N42.90° - 43.10°, E130.02° - 130.40°; Figure 1). 이 지역에는 주로 소를 중심으로 한 일부 말, 양, 돼지 사육 등과 같은 방목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기타 인간 활동으로는 개구리 사육, 과수원, 인 삼 재배, 광업, 발전소, 공설묘지 등이 있다(Feng et al. 2021). 반면 야생동물의 주요 서식지는 해발 200-600m의 산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숲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중국 G12 국가고속도로 (Hunwu or Hunchun–Ulanhot Expressway)가 관통하고 있 어, 포유류의 서식지는 고속도로로 인해 뚜렷하게 단절되어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 고속도로의 밀강터널(Mijiang Tunnel; N42.97°, E130.20°)은 이 지역 내에서 산림의 연결 성이 훼손되지 않은 유일한 지역으로서 야생동물의 이동통 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는 단절된 산림서식지를 연결하는 생태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밀강터널을 중심으로 이와 연결된 총면적 256km2 의 산림지역에서 수행되었다(Figure 1).

    2. 포유류 모니터링 및 환경요인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G12 고속도로의 밀강 터널 양쪽 산림에서 포유류가 주로 지나다니는 이동로(산 맥, 계곡, 강가 등)를 중심으로 무인센서카메라(HuntCam 3601, Zhuhai Ltl Acorn Electronics Co. Ltd., China) 48대 를 설치하여 2년동안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했다. 각 카 메라는 데이터 캡처를 위해 15초간 영상을 녹화하였으며, 최소 트리거 시간 간격은 1분, 독립적 감지 사건의 임계값은 30분으로 설정하였다(Rovero et al. 2016). 이후 메모리카 드를 정기적으로 수거하여 기록된 종 및 개체수를 정리하였 으며, 수집된 모든 파일에서 사용하여 날짜, 시간, 종 및 개체수가 같은 추가 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출하였고 (McShea et al. 2020), 이 자료들은 상대개체수지수(RAI: Relative Abundance Index), 점유율(occupancy) 등을 통해 중심으로 분석하였다(O’Brien 2011;Rovero et al. 2016;MacKenzie et al. 2017;Xiao et al. 2019;Beirne 2022).

    밀강 지역에서 무인센서카메라로 확인된 상대개체수지 수는 본 지역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인접한 법정 보호지역 인 길림-훈춘 자연보호구(Jilin-Hunchun National Nature Reserve)에서 산출된 값(Xiao 2014)과 비교함으로써, 호랑 이와 표범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들이 보호받고 있는 지역과 대비하여 연구 대상지의 포유류상과 상대적인 개체 수가 어느 수준인지를 비교하였다.

    포유류의 종별 분포와 점유율을 분석하기 위해 총 20개 의 환경인자를 선정하였다(Table 1). 고도 데이터는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 (ASTER GDEM; https://www.jspacesystems.or.jp/ersdac/GDEM/E/)의 30m 해상도를 이용하였으며, 이후 ArcGIS 10.8 소프트웨어 (ESRI, USA)을 사용하여 경사도, 방위 등의 지형 특성을 추출하였다. 고도, 경사도, 방위(aspect) 등은 모두 1 km × 1 km인 크기의 격자로 분리하였고, Reclassify 도구를 사용 하여 고도 4가지, 경사도 4가지, 방위 5가지로 재분류하였 다(Chang and Xiao 1988;Sheng et al. 2020).

    토지 피복은 2019년 기준 25m의 해상도의 글로벌 토지 피복 및 토지 이용 데이터(v1.0; https://glad.umd.edu/ dataset/global-land-cover-land-use-v1)를 사용하였으며(Hansen et al. 2022), 이는 다시 관목(short vegetation), 개방된 숲 (open forest), 울창한 숲(dense forest), 습지(wetland), 농경 지(cropland) 및 주거지(infrastructure)로 재분류하였다. 지 형 특성과 동일하게 연구지역을 1 km × 1 km 격자로 나누 었으며, 각 격자 내에서 각 토지 이용 범주의 비율이 계산하 였다.

    경관의 단편화 분석을 위해 연구지역을 1 km × 1 km 격자로 나눈 후, Fragstats 4.2 소프트웨어(McGariga et al. 2012)를 이용하여 토지 이용 요인을 기반으로 각 격자별 경관 통계를 추출하는 데 사용하였다(Yu et al. 2020). 모델 에 적용한 세 가지 경관 매트릭스는 패치 밀도(PD), 접촉지 수(CONTAG) 및 Shannon의 다양성 지수(SHDI)를 포함하 였다(Fahrig 2003;Fischer and Lindenmayer 2007;Börger et al. 2008;Gergel and Turner 2017).

    본 연구에서는 가장 흔히 탐지되고 대형 육식동물의 주요 잠재 먹이원인 유제류(ungulates)에 대하여 단일 계절 점유율 모형(single species-single season occupancy model)을 사용 하여 점유율을 예측하였다(Bolker 2008). 이를 위해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 모니터링 데이터를 R 소 프트웨어의 unmarked 패키지(Fiske and Chandler 2011)를 통해 탐지율(p: detection probability) 및 점유율(ψ: occupancy probability) 모형을 설정하였다(Rovero et al. 2016). 모형 선택은 아카이케 정보기준(Akaike Information Criterion, AIC)을 사용하여 후보 모형을 우선순위로 정렬하 였으며, ΔAIC가 2.5 미만의 모든 모델모형을 복합하여 최적 의 모형 조합으로 선택하였다(Burnham and Anderson 2002;Konishi and Kitagawa 2008). 최적의 모형 선택을 위하여 AICcmodavg 패키지(Mazerolle 2023)의 mb.gof.test 테스트 함수 및 unmarked 패키지(Kellner et al. 2023)에서 점유 모델을 1,000회의 반복 시뮬레이션하여 모형의 적합도 (MacKenzie and Bailey Goodness-of-fit Test)를 파악하였다 (Mackenzie and Bailey 2004).

    결과

    1. 밀강 지역 내부의 포유류 풍부도와 점유율

    2019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무인센서카메라를 이용 한 모니터링 결과, 두만강 하류의 밀강 지역에서는 포유류 총 18종이 확인되었다(Table 2). 여기에는 호랑이(Panthera tigris), 표범(Panthera pardus)의 대형 육식동물을 비롯하여, 삵(Prionailurus bengalensis),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여우(Vulpes vulpes), 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오소 리(Meles leucurus), 족제비(Mustela sibirica), 담비(Martes flavigula), 수달(Lutra lutra), 멧돼지(Sus scrofa), 노루 (Capreolus pygargus), 꽃사슴(Cervus nippon), 고라니 (Hydropotes inermis), 다람쥐(Tamias sibiricus), 청설모 (Sciurus vulgaris), 고슴도치(Erinaceus amurensis), 만주토끼 (Lepus mandshuricus) 등이 포함되었다.

    밀강 지역에서 가장 흔히 확인된 종들은 노루(RAI = 11.87, Ψ* = 1.00), 너구리(RAI = 6.07, Ψ* = 0.96), 멧돼지 (RAI = 4.46, Ψ* = 0.98), 오소리(RAI = 3.56, Ψ* = 0.98), 여우(RAI = 2.69, Ψ* = 0.98), 만주토끼(RAI = 0.88, Ψ* = 0.50), 꽃사슴(RAI = 0.54, Ψ* = 0.42), 족제비(RAI = 0.37, Ψ* = 0.38), 담비(RAI = 0.27, Ψ* = 0.56), 삵(RAI = 0.26, Ψ* = 0.42)이었다(Table 2).

    본 연구를 통해 밀강 지역에서 확인된 포유류 군집은 인 접한 길림-훈춘 자연보호구의 호랑이 표범 핵심지역과 차이 를 보였다(Table 3). 길림-훈춘 자연보호구에서는 호랑이와 표범의 상대개체수가 많았으나, 너구리, 오소리, 여우 등의 중소형 포유류는 밀강 지역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형 맹수류의 주요 먹이원에 해당하는 유제류는 자연 보호구에서 꽃사슴이 가장 많았으나, 밀강 지역에서는 노루 가 가장 많았다.

    2. 밀강 지역의 유제류 점유율 분석

    노루는 연구지역에 설치된 모든 카메라에서 탐지되었으 므로, 점유율 예측 모형은 점유율과는 상관없이 탐지율만 영향을 받았다. 600m 이상의 높은 고도(T_4), 건물의 비율 (Lu_6)이 높은 지역에서는 노루의 탐지율이 다소 낮았으며, 파편화된 경관 패치 밀도(Li_1)가 높을수록 탐지율이 다소 높았다. 최적 적합 모형의 weight 값과 c-hat 값은 0.96과 1.02였다(Table 4).

    고라니에 대한 최적 모형에서는 사면의 공간이질성(T_9) 이 높은 곳에서 고라니의 탐지율이 높고, 200m 이하의 낮은 고도(T_1)에서 고라니의 점유율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이 최적 적합 모델형의 weight 값과 c-hat 값은 각각 0.96, 1.23 였다(Table 4).

    꽃사슴에 대한 최적 모형 결과에서는 10° 이하의 경사도 비율(T_5)을 보이는 지역에서는 탐지율이 낮게 나타났으 며, 서식지 파편화의 다양성(Li_3)은 탐지율과 양의 상관관 계를 보였다. 방목 강도(Hi_2)는 점유율에 강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수관부가 개방된 숲의 비율(Lu_2)이 점유율 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적합 모형의 weight 값과 c-hat 값은 각각 0.93, 1.07였다(Table 4).

    멧돼지에 대한 최적 모형 결과에서는 습지 비율(Lu_4)이 탐지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방목 강도(Hi_2)는 탐지 율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습지의 비율(Lu_4)과 사면의 공간이질성(T_9)이 높은 곳에서 멧돼지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적합 모델모형의 weight 값과 c-hat 값은 각각 0.69, 0.81로 나타났다(Table 4).

    3. 밀강 지역에서의 유제류 점유율의 공간분포 예측

    노루는 연구대상지역의 모든 곳에서 기록되어, 밀강 지역 에서의 예측 점유율은 0.97 (SE=0.02)에 달했다. 그 외에 꽃사슴의 점유율은 0.48 (SE=0.12), 멧돼지는 0.73 (SE=0.13), 고라니는 0.06 (SE=0.05)였다(Figure 2).

    점유율의 공간적인 분포예측 결과에 따르면 노루는 전 구역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멧돼지도 전 지역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 나 특히 밀강 지역 중간 구역과 두만강 하류 접경지역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꽃사슴의 점유율은 밀강 지역 내에서 지역별로 선명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밀강 지역 북쪽과 중간 지역 및 두만강 하류 쪽의 3곳에서 높게 나타났 다. 최근 이 지역으로 분포를 확대하고 있는 고라니는 두만 강 유역과 밀강 지역의 가장자리에서만 낮은 점유율을 보이 며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Figure 3).

    고찰

    밀강 지역에서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포유류는 총 18종이었다. 연구지역과 인접해 있는 호랑이-표범 국가 공원에서 무인센서카메라에 식별될 수 있는 포유류는 25종 이므로(Xiao 2014;Feng 2021), 본 지역에서의 출현 종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는 호랑이-표범 국가공 원에 기록된 포유류 종의 72%에 해당한다. 밀강 지역에서 확인되지 않은 종들로는 불곰(Ursus arctos), 검은담비 (Martes zibellina),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산양 (Naemorhedus caudatus), 말사슴(Cervus canadensis), 하 늘다람쥐(Pteromys volans), 스라소니(Lynx lynx) 등의 7개 종이 있으나, 국가공원의 장기 모니터링 연구수준을 감안하 면 본 연구는 2년에 걸친 단기간의 모니터링에 해당하므로 밀강지역은 국가공원에 서식하는 포유류상에 근접하는 수 준의 다양성을 보인다고 볼 수 있다.

    밀강 지역의 포유류 중에서 상대풍부도와 점유율이 높은 동물로는 노루(RAI = 11.87, Ψ* = 1.00), 너구리(RAI = 6.07, Ψ* = 0.96), 멧돼지(RAI = 4.46, Ψ* = 0.98)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이 밀강지역에 일정 규모의 개체군이 안정 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밀강 지역의 유제류 중에서 노루의 점유율의 가장 높고 널리 분포하고 있어, 가장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꽃사슴의 예측된 점 유율의 공간적 분포는 밀강 구역에서 3개 부분으로 나누어 져 있었으며, 연구대상지의 중부 지역에서 제일 많이 감지 되었고 하부의 두만강 부근의 숲에서는 점유율이 매우 낮았 다. 이는 밀강지역의 중부 지역은 해발이 높은 산들로 많이 구성되었는 반면, 점유율이 높은 지역들 사이에는 주민 주 거지와 가까워 소 방목과 인간 활동 등의 교란이 높기 때문 으로 판단된다. 고라니의 예측 점유율은 두만강과 지류 등 을 따라 아주 좁은 범위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따라서 고라 니는 밀강 지역에 새롭게 침입하고 있는 종(Li et al. 2022) 으로 아직까지는 개체수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 나 고라니는 북한과 중국의 접경지역에서 수계를 따라 확산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향후 개체수가 증가하고 그 분포도 크게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Li et al. 2022). 인접한 보호구역인 호랑이-표범 국가공원에서는 식생이나 환경적 요인보다 가축 방목과 인간 활동이 포유류 종 풍부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Feng et al. 2021). 노루와 고라니의 탐지율과 점유율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에서 인 간 교란과 관련된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대적 으로 안정된 환경을 추구하는 꽃사슴은 인간 교란 중 방목 강도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멧돼지도 방목의 강도에 부정 적 영향이 보였다. 실제 연구 대상지역의 방목 강도는 인접 한 자연보호구 대비 약 5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강 지역과 인접해 있는 보호구역인 호랑이-표범 핵심 지역의 포유류와 비교할 때, 호랑이-표범 핵심지역의 주요 유제류는 꽃사슴이었으나 밀강 지역의 우점종인 노루의 상 대출현빈도는 자연보호구보다 10배에 높았다(Table 3). 대 형 포식동물이자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에 해당하는 호랑이 와 표범의 주요 먹이원은 노루, 멧돼지 등의 유제류로 알려 져 있으므로(Yang et al. 2018),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밀강 지역의 종 다양성과 풍부한 노루 개체수와 분포, 대형 유제 류인 꽃사슴의 분포 등을 감안할 때, 이 지역은 호랑이와 표범을 부양할 수 있는 풍부한 먹이자원이 있다고 판단된 다. 다만 본 연구와 유사하게, 밀강 지역의 잠재 먹이원은 호랑이보다는 중소형의 먹이를 더 이용하는 표범의 서식에 더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Yang et al. 2018).

    본 연구 대상지역인 밀강 지역을 중심으로 두만강 하류는 호랑이와 표범 등을 포함한 다양한 포유류의 서식지인 동시 에, 이들이 북한과 중국, 러시아 사이를 넘나드는 중요한 생태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이곳에는 아직도 호랑이와 표 범을 포함한 18개 종이 생활하고 있으며 특히 노루, 멧돼지, 너구리, 오소리 등은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다만 밀강 지역은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비보호지로서, 산림 내 에서도 목축, 산삼 재배, 채집, 벌목 등 다양한 인간의 활동 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밀강 지역의 포유류상은 현재의 표범이나 호랑이 서식지와 과거 북한 내의 분포지역을 연결 하고 개체군의 분산을 위한 생태통로로 작용할 수 있는 충 분한 잠재적 먹이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서 확인된 높은 방목 활동(Table 3)은 호랑이와 표범 의 생태통로로 이용되는데 부정적인 요인으로 판단된다. 따 라서 두만강 하류의 방목과 인간의 활동을 제한하며 산지의 개발이나 훼손 등을 엄격히 통제함으로써 이 지역의 숲을 보존하고 호랑이와 표범을 비롯한 야생동물들이 안전한 이 동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조치는 이 지역 의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특히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의 보호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본 연구는 두만강 하류의 서 식지 보전을 위한 보호구역 설정이나 서식지 연결성 보호 및 복원 등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호랑이와 표 범과 같은 종의 보전을 위한 생태통로 및 국경보호구역 (Transboundary Protected Area, TBPA)의 설정과 국제 협 력의 필요성(Vitkalova et al. 2018)을 강조한다.

    Figure

    KJEE-37-6-429_F1.gif

    Location of and habitats at the study area in Mijiang area, the lower Tumen River.

    KJEE-37-6-429_F2.gif

    Estimated occupancy of four major ungulate species (Roe deer Capreolus pygargus,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Sika deer Cervus nippon, Wild boar Sus scrofa) at the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KJEE-37-6-429_F3.gif

    Spatial distribution maps representing the occupancy of four main ungulate species (Roe deer Capreolus pygargus,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Sika deer Cervus nippon, Wild boar Sus scrofa) in the Mijiang area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able

    Environmental factors utilized in estimating mammal occupancy within the Mijiang area along the lower Tumen River

    Note: The Moran's I index (ranging from 0 to 1) in the aspect (T_9) category serves as an indicator reflecting crucial terrain characteristics. The index values range between -1 and 1. A value close to -1 signifies even spatial distribution of data, while a value around 0 suggests random spatial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a value approaching 1 indicates a concentrate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ata (O'Sullivan and Unwin, 2014).

    Relative abundance and occupancy of mammal species detected at the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Comparison of mammalian state-specific abundance between the study area (Mijiang) and the adjacent Tiger Reserve

    Optimal models selected by the single-season occupancy model for four major ungulate species at the Mijiang area in the lower Tumen River

    Reference

    1. Beier, P. and R.F. Noss (1998) Do habitat corridors provide connectivity? Conservation Biology 12(6): 1241-1252.
    2. Beirne, C. (2022) An introduction to camera trap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in R. https://bookdown.org/c_w_beirne/wildCo-Data-Analysis/
    3. Bolker, B.M. (2008) Ecological models and data in R.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J, 139pp.
    4. Börger, L. , B.D. Dalziel and J.M. Fryxell (2008) Are there general mechanisms of animal home range behaviour: A review and prospects for future research. Ecology Letters 11(6): 637-650.
    5. Burnham, K.P. and D.R. Anderson (2002) Model selection and multimodel inference. Springer Verlag, New York, 80pp.
    6. Cardinale, B.J. , J.E. Duffy, A. Gonzalez, D.U. Hooper, C. Perrings, P. Venail, A. Narwani, G.M. Mace, D. Tilman, D.A. Wardle, A.P. Kinzig, G.C. Daily, M. Loreau, J.B. Grace, A. Larigauderie, D.S. Srivastava and S. Naeem (2012) Biodiversity loss and its impact on humanity. Nature 486 (7401): 59-67.
    7. Chang, H. and Q. Xiao (1988) Selection of winter habitat of red deer in Dailing region. Acta Theriologica Sinica 8(2): 81-88.
    8. Fahrig, L. (2003) Effects of habitat fragmentation on biodiversity. Annual Review of Ecology, Revolution, and Systematics 34(1): 487-515.
    9. Feng, J. (2021). The effects of livestock grazing on flora and fauna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in China's Northeast Tiger and Leopard National Park. Ph.D. Dissertation, Beijing Normal University, 89pp.
    10. Feng, J., Y. Sun, H. Li, Y. Xiao, D. Zhang, J.L.D. Smith, J. Ge and T. Wang (2021) Assessing mammal species richness and occupancy in a Northeast Asian temperate forest shared by cattle. Diversity and Distributions 27(5): 857-872.
    11. Fischer, J. and D.B. Lindenmayer (2007) Landscape modification and habitat fragmentation: A synthesis.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6(3): 265-280.
    12. Fiske, I. and R. Chandler (2011) unmarked: An R package for fitting hierarchical models of wildlife occurrence and abundance.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3(10): 1-23.
    13. Gergel, S.E. and M.G. Turner (2017) Learning landscape ecology: A practical guide to concepts and techniques. Springer, New York, NY, 350pp.
    14. Gilbert‐Norton, L. , R. Wilson, J.R. Stevens and K.H. Beard (2010) A meta‐analytic review of corridor effectiveness. Conservation Biology 24(3): 660-668.
    15. Hansen, M.C., P.V. Potapov, A.H. Pickens, A. Tyukavina, A. Hernandez-Serna, V. Zalles, S. Turubanova, I. Kommareddy, S.V. Stehman and X.P. Song (2022) Global land use extent and dispersion within natural land cover using Landsat data.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7(3): 034050.
    16. Kellner, K.F. , A.D. Smith, J.A. Royle, M. Kéry, J.L. Belant and R.B. Chandler (2023) The unmarked R package: Twelve years of advances in occurrence and abundance modelling in ecology. Methods in Ecology and Evolution 14: 1408-1415.
    17. Konishi, S. and G. Kitagawa (2008) Information criteria and statistical modeling. Springer, New York, NY, 75276pp.
    18. Li, Y. , Y. Peng, H. Li, W. Zhu, Y. Darman, D.K. Lee, T. Wang, G. Sedash, P. Pandey, A. Borzée, H. Lee and Y. Mo (2022) Prediction of range expansion and estimation of dispersal routes of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in the transboundary region between China, the Russian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PLoS One 17: e0264660.
    19. MacKenzie, D.I. and L.L. Bailey (2004) Assessing the fit of site-occupancy models. Journal of Agricultur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tatistics 9: 300-318.
    20. MacKenzie, D.I. , J.D. Nichols, J.A. Royle, K.H. Pollock, L.L. Bailey and J.E. Hines (2017) Occupancy estimation and modeling: Inferring patterns and dynamics of species occurrence. Academic Press, London, 641pp.
    21. Mazerolle, M.J. (2023) AICcmodavg: Model selection and multimodel inference based on (Q)AIC(c). R package version 2.3.2. https://cran.r-project.org/package=AICcmodavg
    22. McGariga, K. , S.A. Cushman and E. Ene (2012) FRAGSTATS v4: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ategorical and continuous map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http://www.umass.edu/landeco/research/fragstats/fragstats.html
    23. McShea, W.J. , X. Shen, F. Liu, T. Wang, Z. Xiao and S. Li (2020) China’s wildlife camera-trap monitoring needs a unified standard. Biodiversity Science 28(9): 1125-1131.
    24. Miquelle, D.G. , V.V. Rozhnov, V. Ermoshin, A.A. Murzin, I.G. Nikolaev, J.A. Hernandez‐Blanco and S.V. Naidenko (2015) Identifying ecological corridors for Amur tigers (Panthera tigris altaica) and Amur leopards (Panthera pardus orientalis). Integrative Zoology 10(4): 389-402.
    25. O’Brien, T.G. (2011) Abundance, density and relative abundance: A conceptual framework. In: A.F. O’Connell, J.D. Nichols and K.U. Karanth(eds.), Camera traps in animal ecology, Springer Japan, Tokyo, pp.71-96.
    26. O'Sullivan, D. and D. Unwin (2014) Geographic information analysis. Wiley, Hoboken, NJ, 432pp.
    27. Rovero, F. , F. Rovero and F. Zimmermann (2016) Camera trapping for wildlife research. Pelagic Publishing, Exeter, 320pp.
    28. Sergio, F. , L. Marchesi and P. Pedrini (2004) Integrating individual habitat choice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 biodiversity indicator and top predator. Journal of Biogeography 31(4): 619-628.
    29. Sheng, Q. , L. Dong and Z. Liu (2020) Suitability assessment of wild animal habitat with GIS-Take Martes zibellinain Pangu Forest Farm of Daxing’ an mountains as an example. Journal of Northeast Forestry University 48(6): 157-162.
    30. Slabbekoorn, H. and M. Peet (2003) Birds sing at a higher pitch in urban noise. Nature 424 (6946): 267-267.
    31. Vitkalova, A.V. , L. Feng, A.N. Rybin, B.D. Gerber, D.G. Miquelle, T. Wang, H. Yang, E.I. Shevtsova, V.V. Aramilev and J. Ge (2018) Transboundary cooperation improves endangered species monitoring and conservation actions: A case study of the global population of Amur leopards. Conservation Letters 11(5): e12574.
    32. Xiao, W. (2014) Amur tiger (Panthera tigris) and its prey in Hunchun Nature Reserve, Jilin, China: Their population size, distribution and occupancy. Ph.D. Dissertation, Beijing Normal University. (in Chinese)
    33. Xiao, W. , Z. Shu, L. Chen, W. Yao, Y. Ma, Y. Zhang and Z. Xiao (2019) Using occupancy models in wildlife camera-trap ping monitoring and the study case. Biodiversity Science 27(3): 249-256.
    34. Yang, H. , H. Dou, R.K. Baniya, S. Han, Y. Guan, B. Xie, G. Zhao, T. Wang, P. Mou, L. Feng and J. Ge (2018) Seasonal food habits and prey selection of Amur tigers and Amur leopards in Northeast China. Scientific Reports 8(1): 6930.
    35. Yu, J. , X. Yi, S. Yu, Y. Xu, X. Mi and H. Ren (2020) Analysis on ecological integrity of Qianjiangyuan National Park based on landscape pattern index. Journal of Zhejiang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40(4): 30-36.
    36. Zhang, P. , X. Liu, W. Zhu, C. Li, R. Jin, H. Yan, C. Gu and J. Wang (2023) Spatio-temporal changes in water conservation ecosystem service during 1990-2019 in the Tumen River Basin, Northeast China.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33(1): 102- 115.
    37. Zhang, X. , X. Ning, H. Wang, X. Zhang, Y. Liu and W. Zhang (2022)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risk of human activities on landscape fragmentation: A case study of Northeast China Tiger and Leopard National Park.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851: 158413.
    38. Zheng, X.J. , P. Sun, W.H. Zhu, Z. Xu, J. Fu, W.D. Man, H.L. Li, J. Zhang and L. Qin (2017) Landscape dynamics and driving forces of wetlands in the Tumen River Basin of China over the past 50 years.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3(2): 237-250.
    39. Zhu, W. , C. Miao, X. Zheng, G. Cao and F. Wang (2014) Study on ecological safety evaluation and warning of wetlands in Tumen River watershed based on 3S technology. Acta Ecologica Sinica 34(6): 1379-1390.
    40. Zhu, W.H. and K.G. Kim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etlands: Cases on the watershed of Tumen River downstream i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5: 35-50.